'''윤태빈'''(尹泰彬, 일본식 이름: 伊藤泰彬, [[1886년]]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다. == 생애 == [[한성부]] 출생이다. 말기에를 졸업하고 곧바로 외국어학교 교관으로 근무했다. [[일본어]]에 능통한 윤태빈은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부터 [[조선총독부]] 소속 관리로 근무하기 시작했다. [[경기도]] 도청 내무부에서 일하다가 [[1935년]] 서울도 참여관에 올랐으며, 이후 [[강원도 (남)|강원도]]와 [[충청북도]]의 지사를 지내면서 [[1942년]] 퇴임 때까지 약 22년간 총독부 소속 고위 관료를 역임했다. 퇴임 무렵에는 [[조선귀족]]의 예우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 [[종4위]], [[정4위]]에 서위되기도 했다. 총독부가 [[1935년]]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뉴스 인용 |저자 = 성강현 |제목 =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2-29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258/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뉴스 인용 |저자 = 성강현 |제목 =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2-29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303/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 서울도 참여관으로 재직하던 [[1936년]], 《[[매일신보]]》에 신년사를 실어 총독부의 시정방침을 선전하고 일본 황실의 번영과 만수무강을 기원하였다. 서울도 참여관과 산업부장을 겸하고 있던 [[1938년]]에는 매일신보의 대담기사에서 [[중일 전쟁]]과 관련하여 조선의 병참기지로서의 사명을 강조하고, 경기도의 역할에 특히 기대되는 바가 크다는 발언을 했다. [[1939년]]에 또다시 [[매일신보]]에 기고하여 “[[내선일체]]의 제일선에 활약하는 황군장병의 노고를 격려”하면서 후방에서도 국책수행에 매진할 것을 주문했다. 충청북도 지사로 재임 중이던 [[1941년]]에도 《[[조광 (잡지)|조광]]》과 매일신보에 전쟁 지원을 역설하는 친일 기고문을 실었다. 관직 활동 외에 [[1933년]] [[조선신궁]] 설치 10주년 기념사업을 위해 결성된 [[조선신궁봉찬회]]에서 평의원을 지냈고, [[중일 전쟁]] 발발로 인한 전시체제 구축을 위해 조선총독부가 추진한 사회교화방송 상식강좌에는 강사로 참여했다. 같은 해 [[애국금차회]]가 발족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발기인회에 참석해서 모임 결성의 취지를 설명한 일이 있다. [[1938년]]에는 [[신사참배 강요]] 정책에 따라 [[궁성요배]]와 [[신사참배]]를 실행하며 황국신민으로서의 각오를 다지고 후방의 동요를 막자는 취지로 결성된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참사를 역임했다. 지방관을 지내는 동안 [[군국주의]] 성격이 강한 관제 외곽단체 조선국방의회연합회와 [[반공주의]]를 주창하는 [[조선방공협회]], 치안 유지를 내세우며 반일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해 조직된 지역 단체인 [[조선경방협회]]에도 꾸준히 가담했다. [[1939년]] 조선경방협회 강원도 연합지부장 자격으로 "지금 항일정권은 변방에 숨어서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 운동을 비하한 일이 있다. 관직에서 퇴임한 후인 [[1943년]]에는 식량 수탈을 위한 조선중요물자영단 감사, [[1944년]]에는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을 지내면서 광복 직전까지도 활발한 활동을 했다. [[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에 의해 납북되었으며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 약력 == === 대한제국 시기 === * [[1903년]] : 관립한성일어학교 졸업 * 1903년 : 외국어학교 교관 (판임관 6등) * [[1910년]] : 관세국 촉탁 === 일제 강점기 === * [[1912년]] : 경기도 도서기 * [[1915년]] : 경기도 제1부 도서기 * [[1917년]] : 경기도 장관 관방 도서기 (겸임) * [[1921년]] : 경기도 도이사관/산업과장 * [[1922년]] : 경기도 내무부 도이사관 상공과장 * [[1924년]] : 고등관 6등 * [[1930년]] : [[전라남도]] 도사무관/재무부장 * [[1932년]] : [[충청남도]] 도사무관/내무부장 * 1932년 : 충청남도 도농회장 * [[1934년]] : 충청남도 도사무관 * [[1935년]] : 경기도 참여관 및 산업부장 * [[1936년]] : 경기도 지방미곡통제조합연합회 회장 * [[1939년]] : 경기도 도농회장 * 1939년 : [[강원도 (남)|강원도]] 지사 * [[1940년]] : [[충청북도]] 지사 * [[1942년]] : [[종4위]] 서위 * 1942년 : [[정4위]] 서위 * * 항목 === 훈포장 서훈 내역 === * [[1928년]] : [[쇼와기념대례장]] * [[1929년]] : [[훈6등]] [[서보장]] * [[1934년]] : [[훈5등]] 서보장 * [[1939년]] : [[훈4등]] 서보장 * [[1942년]] : [[훈3등]] 서보장 == 사후 == * [[2002년]] : [[친일파 708인 명단]] 3개 부문 수록 - 도지사, 도 참여관, 조선총독부 사무관 * [[2007년]]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 관료 부문 수록 * [[2008년]]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부문 수록 == 같이 보기 == * [[조선신궁봉찬회]] * [[애국금차회]]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국민총력조선연맹]]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제목=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연도=2007 |발행월=12 |id=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출판위치=서울 |쪽=996~1027쪽 |장=윤태빈 |장url=http://www.pcic.go.kr:8088/pcic/UserFiles/File/2007JOSA/SUJAKSUBSAK/87-YTB.pdf }} == 각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시권]] |후임자 = [[다카오 진조]] |대수 = 11 |직책 = [[강원도지사]] |임기 = [[1939년]] [[5월 17일]] ~ [[1940년]] [[9월 2일]] }} [[분류:1886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파평 윤씨]][[분류:납북자]][[분류:강원도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