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5/%EA%B9%80%EA%B3%A0%EB%9D%BC.jpg/200px-%EA%B9%80%EA%B3%A0%EB%9D%BC.jpg 윤고려 '''윤고려'''(尹高麗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11170009920501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11-17&officeId=00009&pageNo=5&printNo=5448&publishType=00020,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명은 김고려, 김고라였다. 그는 [[윤치오]]의 [[한국]] 최초의 공개구혼 광고에 응모하여 결혼하였다. [[1907년]] [[양원여학교]]의 [[영어]][[교사]]가 되었고, [[1908년]] [[11월]]부터는 양심여학교 창립을 주관하여 [[11월 11일]] [[양심여학교]]를 개교하고 교장이 되었으며, 이후 [[양원여학교]] 교장직을 겸직했다. 양심여학교와 양원여학교는 후에 [[1915년]] [[3월]] [[동덕여학교]] 1908년 이재극이 설립하였다.에 흡수되었다. [[조선]]과 [[대한제국]]의 문신 [[김윤정 (1869년)|김윤정]](金潤晶)의 딸{{웹 인용 |url=http://leekcp.new21.org/zb41/zboard.php?id=rmswjs&no=267 |제목=이경찬의 국사교실 |확인날짜=2010년 10월 22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4022939/http://leekcp.new21.org/zb41/zboard.php?id=rmswjs&no=267 |보존날짜=2016년 4월 14일 |깨진링크=예 }}로, 윤고려는 본래 성이 김씨였으나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었다.다른 이름으로 윤고라(尹高羅), 김고라(金高羅)라는 이름도 있다.《뉴스플러스》 (1999.4.1) [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s_plus/news177/np177gg030.html 20세기 한국의 풍물 풍속사⑫ 옷 - '미니스커트 단속' 그 때를 아시나요] 결혼 후 김고라는 남편을 따라 성을 바꿔 ‘윤고라’로 불렸고, 여성교육운동을 전개하는 등 활발한 사회활동을 했지만, 20대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http://newwoman.culturecontent.com/cp0423e/cp0423e0101.asp?pageNum=2&sub=2&depth=2&spageNum=1&ssub=1 근대여성]{{깨진 링크|url=http://newwoman.culturecontent.com/cp0423e/cp0423e0101.asp?pageNum=2&sub=2&depth=2&spageNum=1&ssub=1 }}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윤치호]]의 사촌이며 대한민국 4대 대통령 [[윤보선]]의 큰아버지인 [[윤치오]]의 둘째 부인이다. 의학자 [[윤일선]]의 계모이다. 본관은 [[청도 김씨|청도]]이다. == 생애 == === 초기 활동 === 1891년(고종 28년) [[김윤정 (1869년)|김윤정]]의 딸로 태어났다. 일찍이 친정아버지 [[김윤정 (1869년)|김윤정]]을 따라 [[미국]]으로 이주, [[미국]] 서울 워싱턴의 여학교에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그 뒤 [[일본]]으로 유학하여 동경(도쿄)에서 여자학원에 입학하고 도쿄여자학원을 졸업한 뒤 귀국국민보 제41호, 1914년 01월 07일자 기사, 교육사업에 전념하였다. [[1909년]](융희 3년) [[노병희]]의 《여자수신교과서》를 교열할 때, 프라이 교수 및 [[이화학당]] 출신인 [[예몌례 황]]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1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75페이지 등과 함께 교과서 교열에 참여하였다. === 교육 활동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9/%EC%9C%A4%EC%B9%98%EC%98%A4.png/140px-%EC%9C%A4%EC%B9%98%EC%98%A4.png 남편 윤치오 김고라는 신문과 방송으로 공개구혼한 [[윤치오]](尹致旿)의 공개구혼에 응모하였다. 초창기의 자유결혼론은 연애와 무관했다. 대신 합리성과 투명성이 최고 원칙으로서 강조되었다. 신문에 구혼광고를 낸 후 후보자의 사진 및 제반 조건을 보고 결혼 상대를 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졌다. 청년 문관 [[윤치오]]는 이 주장에 따라 결혼 상대를 공모했고, 몇 명을 두고 저울질하다 김윤정의 딸 김고라를 선택했다. 당시 윤치오는 재혼이었고 그녀는 초혼이었다. 신문에 윤치오의 배우자 물색 소식이 실린 후 김고라 외에도 몇 명의 ‘신여성’이 후보에 지원했으며, 결국 김고라가 최종 낙점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그는 양원여학교의 영어교사로 초빙되었고, 후원회인 양원여학교유지회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남편 [[윤치오]]는 공개 구혼으로 재혼한 후처 윤고려가 [[양원여학교]]의 [[영어]][[교사]]로 교단에 서는 것을 후원하였다. 당시 주변의 편견과 맏며느리라는 위치를 들어 윤고려를 중상비방하는 이들이 있었으나 [[윤치오]]는 오히려 아내 윤고려를 신뢰하고 적극 지지하였다. 그 뒤 윤고라는 유지와 정관계 인사들의 부인들을 설득하여 [[1908년]] [[11월]]초에 부인 이씨와 함께 양심여학교 발기회를 조직하고, [[양심여학교]]를 창립하는데 기여한다. 창산군의 어머니이자 [[경원군]]의 처 서대혜는 이들의 뜻을 이해하여 [[양심여학교]]의 재정을 지원하였다. [[11월 11일]] [[양심여학교]]가 개교되자 [[윤치오]]는 양심여학교의 개교, 자금을 후원하였다. [[11월 11일]] [[윤치오]], [[유길준]], [[윤치호]] 등을 [[양심여학교]] 재단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이후 [[양심여학교]] 교장, [[양원여학교]]의 교장을 역임하였다. === 최후 === [[한일합방]] 이후에도 [[양원여학교]]의 교장과 영어교사, [[양심여학교]] 교장 직을 맡았다. 그러나 [[1913년]] [[12월 28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슬하에 2남 1녀가 있었다. 그가 사망하고 [[양심여학교]]와 [[양원여학교]]는 [[1915년]] [[3월]] [[동덕여학교]]([[동덕여대]]의 전신)에 흡수되었다. === 사후 === [[아산시|아산군]]남편 [[윤치오]]와 합장되었다. == 평가 == 김고라는 '외교관이었던 아버지 덕에 일본ㆍ미국에서 여학교를 마친 보기 드문 여성이었다.'는 평가도 있다. 국민보는 그녀의 서거 기사를 취재할 때, 여성교육을 위한 활동에 열심이였고 경성 있는 양심·양원 두 여학교 교장으로 재직 중 불행히 요절하였다.며 아쉬워했다. == 기타 == [[1899년]] 외국생활에서 돌아온후 양장착용을 하였는데, 그가 양장착용을 한 것이 여성 양장착용의 효시라 한다. == 가족 관계 == * 남편: [[윤치오]](尹致旿, [[1869년]] [[8월 5일]] - [[1949년]] [[12월 2일]]) ** 딸: 윤융희 ** 아들: 윤욱선 ** 아들: 윤창선 * 친정아버지: [[김윤정 (1869년)|김윤정]](金潤晶,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 == 함께 보기 == * [[양심여학교]] * [[양원여학교]] * [[윤치오]] * [[윤치호]] * [[김윤정 (1869년)|김윤정]] == 각주 == == 참고 문헌 == * 유수경, 《한국여성양장변천사》 (일지사, 1990) 131쪽 * 이화100년사편찬위원회, 《이화100년사, 1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분류:1891년 태어남]][[분류:1913년 죽음]][[분류:조선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사]][[분류:윤치호]][[분류:윤보선]][[분류:청도 김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