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정보 |이름 = 유소사 체칠리아 |출생일 = [[1761년]] |사망일 = [[1839년]] [[11월 23일]] |축일 = [[9월 20일]]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그림 = |크기 = |설명 = |출생지 = 서울http://newsaints.faithweb.com/martyrs/Korea1.htm |사망지 = 서울 서소문 |직업 = 순교자 |시복일 = [[1925년]] [[7월 5일]] |시복인 = [[교황 비오 11세]] |시성일 = [[1984년]] [[5월 6일]] |시성인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상징 = |수호 = |매장지 = |성당 = |기도 = }} '''유소사'''(柳召史, [[1761년]] ~ [[1839년]] [[11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다. [[세례명]]은 '''체칠리아'''(Caecilia)이다. == 생애 == 유소사는 [[1801년]] [[신유박해]] 때에 순교한 [[정약종 아우구스티노]]의 후처이며, [[정하상 바오로]]와 [[정정혜 엘리사벳]]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남편의 권유로 [[천주교]] 신자가 되었고, [[박해]] 동안에 엄청난 신앙과 용기를 보여주었다. 그녀의 남편이 [[체포]]되자, 그녀 또한 세 자녀와 함께 체포되었다. 얼마 지나 그녀는 세 자녀와 함께 석방되었지만, 남편과 마찬가지로 전처의 아들 [[정철상 가롤로]]도 [[순교]]한 뒤였으며, 그녀의 가산은 모두 몰수되고 없었다. 그녀는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의 [[마현 다산마을|마재(마현) 마을]]에 있는 시동생 [[정약용]]의 집에 가서 살았지만, 시아주머니는 그들에게 냉랭하였으므로, 그들은 갖은 고생을 다하였다. 얼마 못가 큰 딸과 [[정철상]]의 아내와 아들도 세상을 떠나고 유소사의 가족들 중 그녀와 자녀 [[정하상]]과 [[정정혜]]만 남았다. 하루는 그녀가 [[꿈]]에 순교한 남편이 나와서 자신에게 [[천국]]에 여덟 개의 방을 지었는데, 그 중 다섯 칸은 쓰여지고 있고 세 칸은 그녀와 남은 자식들이 쓸 방들로 비어 있다고 말하는 꿈을 꾸었다. 실제로, 당시 그녀의 여덟 명의 가족 중 다섯 명은 이미 [[순교]]한 뒤였다. 그 꿈은 유소사에게 커다란 용기를 주었다. 그녀의 아들 [[정하상]]은 [[외국인]]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에 깊히 연관되어 있었고, 그녀는 그와 몇 해를 떨어져 지내왔다. 그 이별은 그녀에게 고통이었으므로, 정하상이 [[주교]]와 [[사제]]들의 조수가 되자, 그녀는 그들을 찾아가서 아들과 같이 살 수 있었다. 그녀는 늙어서 더 이상 일을 못하게 되자, [[기도]]에 매진했다. 또한 그녀는 깊은 자애심으로 자신이 굶어 다른 사람을 먹이곤 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기해년에 박해]]가 발발하자, 유소사의 조카 중 한 명이 그녀를 위해 시골에 집을 한 채 마련해 그녀에게 박해를 피해 내려오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 집에 들어가기를 거절했고 아들 [[정하상]]과 함께 [[순교]]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1939년|1839년]] [[7월 19일]]에 유소사는 79세의 나이로 [[체포]]되었다. 그녀는 고령에도 불구하고, [[천주교]] 신앙으로 인해 여러 명이 [[사형]]되거나 [[유배]]되어 죽은 그녀 가문의 명성 때문에 중범죄자 취급을 받았다. 그녀는 배교하고 교우들이 있는 곳을 대라는 포장의 요구를 끝까지 거절하였으므로, 다섯 차례의 [[심문]] 동안에, 230여대의 [[태형]]을 맞았다. 유소사는 [[참수]]로 [[순교자]]가 되기를 웠했지만, 당시 [[국법]]에 노인을 참수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다. 재판관들은 그녀를 때려 죽이려 했지만, 그녀는 용기와 인내로 모든 매질을 견뎌냈다. 그녀는 결국 [[감옥]]의 맨땅 위에서 [[예수]]와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마리아]]의 이름을 부르며 숨을 거두었다. 그때는 [[1839년]] [[11월 23일]], 그녀의 나이는 79세였다. == 시복 · 시성 == 유소사 체칠리아는 [[1925년]] [[7월 5일]]에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백과사전 인용 |url =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mtt_id=8 |제목 = 103위 성인 (百三位聖人) |백과사전 =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확인월일 = 2014-11-23 |인용문 = }} [[시복|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뉴스 인용 | 제목 = 교황, 화해와 평화..8월의 크리스마스되길 | url = http://www.pbc.co.kr/CMS/news/view_body.php?cid=520930&path=201407 | 출판사 = 평화방송 | 저자 = 이상도 | 날짜 = 2014-07-24 | 확인날짜 = 2014-11-23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41017165028/http://www.pbc.co.kr/CMS/news/view_body.php?cid=520930&path=201407 | 보존날짜 = 2014-10-17 | 깨진링크 = 예 }} [[1984년]] [[5월 6일]]에 [[서울특별시]]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에 이뤄진 103위 [[시성|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 참고 문헌 == * [http://www.mariasarang.net/saint_bbs/bbs_view.asp?index=bbs_saint&no=2964&col=&sort= 마리아 사랑넷: 聖女 유소사 체칠리아(1760-1839)] * [http://english.cbck.or.kr/Saints103/303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103 Martryr Saints: 유소사 체칠리아 Caecilia Yu So-sa] == 각주 == {{각주}} [[분류:1761년 태어남]][[분류:1839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분류:19세기 기독교 성인]][[분류: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