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배우/한국]]
[[분류:고성군(강원도) 출신 인물]] [[분류:1980년 데뷔]] [[분류:한국 남배우]] [[분류:1956년 출생]]
[Include(틀:이매진아시아 소속 아티스트)]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유동근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D4F4FA><:> [[한국방송공사|[[파일:KBS_로고.png|width=60]]]] {{{+1 ''' [[KBS 연기대상|{{{#00001E 연기대상}}}]] ''' {{{#00001E '''대상'''}}}}}} ||
||<:> [[강부자]][br](1996) || → ||<#ffffa1><:> '''유동근[br](1997)''' || → ||<:> [[최수종]][br](1998) ||
||<:> [[최수종]][br](2001) || → ||<#ffffa1><:> '''유동근[br](2002)''' || → ||<:> [[김혜수]][br](2003) ||
||<:> [[김혜수]][br](2013) || → ||<#ffffa1><:> '''유동근[br](2014)''' || → ||<:> [[고두심]][br][[김수현(배우)|김수현]][* 역대 최초 공동 대상 수상][br](2015) ||
----
||<-5><#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이병헌]][br](1996) || → ||<#FFFFA1> '''유동근[br](1997)''' || → || 유동근[br](1998) ||
|| 유동근[br](1997) || → ||<#FFFFA1> '''유동근[br](1998)''' || → || [[최수종]][br](1999) ||
|| [[김영철(배우)|김영철]][br](2001) || → ||<#FFFFA1> '''유동근[br](2002)''' || → || [[이병헌]][br](2003) ||
----
}}} ||
|||| http://post.phinf.naver.net/20151009_269/hanwooooool_1444375209479jy4x9_JPEG/mug_obj_144437520696125213.jpg ||
||<:><#cccccc> '''이름''' ||<(> '''유동근'''(劉東根) ||
||<:><#cccccc> '''출생''' ||<(> [[1956년]] [[6월 18일]]([age(1956-06-18)]세), [[강원도]] [[고성군(강원도)|고성군]] ||
||<:><#cccccc> '''본관''' ||<(> [[유(성씨)|강릉 유씨]][* 시조 33세손 '根'자 항렬] ||
||<:><#cccccc> '''최종학력''' ||<(> [[서울예술대학]] 연극과[br][[대경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 (재직 중) ||
||<:><#cccccc> '''데뷔''' ||<(> [[1980년]] [[동양방송|TBC]] 23기 공채 탤런트[* [[동양방송|TBC]] 23기 공채 텔런트는 [[동양방송|TBC]]가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폐국되기 이전에 뽑은 마지막 기수이다.] ||
||<:><#cccccc> '''혈액형''' ||<(> [[AB형]] ||
||<:><#cccccc> '''가족''' ||<(> 아내 [[전인화]], 슬하 1남 1녀 ||
||<:><#cccccc> '''소속사''' ||<(> [[이매진아시아]] ||
[목차]
== 소개 ==
'''사극지왕(史劇之王)'''[* 그전까지는 왕 전문배우라고 불렸었다. 알음알음 전파되어 이제는 어느 정도 대중성을 갖게된 이 별명은 대략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0071770|2006년 부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0047748|최수종]]과 함께 양분하면서 얻은 유서깊은 찬사다.][* [[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9&aid=0000035683|언론들의 기사]]를 보면 90년대 유동근의 사극지왕의 후계자 자리를 00년대에 최수종이 훌륭하게 인수인계 받은 걸로 평가 받는 듯.]
'''[[최수종]], [[고두심]]과 함께 단 셋뿐인 [[KBS 연기대상]] 트리플 크라운.'''
[[강원도]] [[고성군(강원도)|고성]]에서 태어나 [[인천광역시|인천]]에서 성장했다. [[서울예술대학|서울예대]] 연극과 출신으로 사극 [[용의 눈물]], [[장녹수]], [[명성황후]], [[연개소문]], [[정도전(드라마)]] 등에 출연하고 그 외에도 [[드라마]] [[야망의 전설]], [[애인]], [[아내(드라마)|아내]], [[에덴의 동쪽(2008)|에덴의 동쪽]], [[민들레 가족]] 등에 출연한 배우다.
연기력은 한국 배우 중에서도 순위권이고, [[김명민]]을 제치고 '한국의 멜 깁슨'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한 남자. [[사극]] 연기(성우로 비유하면 [[이정구]], [[신성호(성우)|신성호]]를 연상시키는 배역), '아내'에서의 기억을 잃은 순박한 이중 결혼한 남편 역 등을 보면 정말로 연기를 어떻게 하는 건지 알 수 있으며 미중년이 뭔지 보여준다.
대중은 '''[[왕]] 전문 배우'''로 기억한다. 군주 역할을 많이 맡았지만 '''특유의 후덜덜한 발성'''이 강렬한 카리스마를 각인시키는 탓도 있다. 비슷하게 카리스마형 배우로 유명한 [[김영철(배우)|김영철]]이 야인시대 2부의 그 유명한 '''[[내가 고자라니|공산당 할 거야 안 할거야!!!]]'''로 대표되는 귀청이 떨어질듯 쩌렁쩌렁한 호통으로 유명하다면, 유동근은 마치 호랑이가 낮게 으르렁거리다가 포효하는 듯한, 절로 오금을 저리게 하는 초저주파 타입의 호통이다. [[https://youtu.be/DhGlBFPcmCg|이 영상을 보면 그 특유의 성난 음색이 드러난다!]] [[사자후]]라는 말이 누구보다 잘 어울리는 배우. 그야말로 역대급이다. 사극의 주요 배역에서도 카리스마가 있고 강력한 권력자 역을 많이 맡았다. [[계백]], [[연개소문]]이나 '''[[태조(조선)|태조(이성계)]]''', '''[[태종(조선)|태종(이방원)]]''', [[세조(조선)|세조]], [[연산군]], '''[[흥선대원군]]''' 등.
'''[[용의 눈물]]에서 연기한 [[태종(조선)|태종]]'''은 그야말로 압권. 이때 보여준 연기는 대중에게 길이길이 남았으며, 나중에 처음으로 연기대상까지 얻는다. 용의 눈물에서는 명장면이 많았지만, 거기서도 '용의 춤[* 노쇠한 아버지 이성계를 즐겁게 하기위해 스스로 용포를 휘날리며 춤을 추던 씬.]' 부분이 압권이다. 하긴 이 장면은 유동근, 故[[김무생]], [[최명길(배우)|최명길]] 모두가 폭발한 씬이어서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다.
특히 용의 눈물에서 유동근이 맡은 태종은 '''한국 사극 역사상 최고의 연기이자 최고의 캐릭터로 뽑힌다.''' 이때 유동근의 나이 한국 나이로 이제 막 40이 넘은 나이, 배우로서 전성기가 이제 막 시작되는 시점인 나이에 '''한국 사극 역사에 나아가 연기 역사에 길이 남을 연기'''를 한 것이다. 당연히 연기대상은 Get Ya. 참고로 90년도에 출연한 사극 "파천무" 에서도 카리스마있는 수양대군(후에 세조)으로 분해 당해년도 연기대상 특별상을 수상키도.
그리고 2002년에 그에게 다시 연기대상의 영광을 준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 [[흥선 대원군]] 역할을 맡았을 때 최고의 장면은 대신들에게 [[경복궁]] 증축의 필요를 역설했던 장면. 매우 조용조용 낮은 톤으로 영국 공사의 자금성 입성기를 들려주다가, [[조두순(문신)|조두순]]이 끼어들자 순간 "걸어서 가겠네, 걸어서 가겠네!"[* 당시 대본엔 '(큰 소리로)'라는 지문과 "걸어서 가겠네..."가 전부였다.]라고 크게 호통을 치고 다시 조용한 톤으로 돌아가는데 면전이었으면 오줌이라도 찔끔 지릴 것 같다. [[정도전(드라마)|정도전]] 37회에서도 [[정몽주]]와 논쟁 중 '''"야 정몽주!!!"'''라고 내지르는 장면도 압권으로 [[네이버]] 추천검색에 올라올 정도였다. 유동근이란 배우의 힘을 알 수 있는 명장면 중의 명장면이다.[* 이성계 계통, 간성, 유동근의 특징이 잘 어우러진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세간에 '''아내가 미인'''으로도 정평이 나 있는데, 바로 탤런트 [[전인화]]이다.[* 원래는 방송가 사람들 사이에서 돌던 말이었는데 여러 번 스포츠신문 연예란이나 예능 등에서 가볍게 언급되다 보니 어느 새 일반 대중들도 이 이미지를 받아들였다. 연예인 중에서는 [[남희석]]이 '자신의 이상형은 전인화'라며 이를 이용한 드립을 방송에서 많이 치고 다녔다. 심지어 결혼 이후에도 한동안...] 대표작으로는 '[[여인천하]]'를 들 수 있으며('''나 거성의 안주인이야'''라는 모습을 기억하는 시청자들이 많다), 여기서 [[문정왕후]] 역으로 출연했다.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왕조 500년'의 '인현왕후'에서 [[장희빈]] 역으로 출연했다.
유동근은 '용의 눈물'로 KBS 연기대상을, [[전인화]]는 '여인천하'로 SBS 연기대상을 수상했다. '''남편은 왕으로, 아내는 왕비로 대상 차지한 부부.''' 그것도 '''[[태종(조선)|태종]]'''과 '''[[문정왕후]]'''라는, '''[[조선]] 역사상 최강의 권력을 누린 왕과 왕비''' 역할이다.
유동근은 1989년에 [[전인화]]와 결혼했는데 결혼 당시에는 "천하의 전인화가 왜 유동근이랑 결혼을?"이라는 반응이 더 많았지만 이후 유동근의 연기 커리어가 매우 화려해지면서 이런 소리는 쑥 들어갔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드라마에서 악역을 맡는 일이 많았다. 그런데 쌍꺼풀 수술을 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생기더니 드라마에서 맡는 역할도 좋은 쪽으로 바뀌었고 그러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로맨틱한 역할의 포텐셜이 폭발한 것은 1996년 방영한 드라마 [[애인(드라마)|애인]]으로, 이 드라마에서 보여준 부드럽고 낭만적인 모습을 통해 기혼 여성들의 수퍼스타로 순식간에 자리매김했다. '''잉크블루''' 컬러 셔츠의 유행은 덤. [[불륜]]을 메인 소재로 삼은 이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가정윤리를 파괴하는 저질 드라마'''라는 비난도 쇄도했지만[* 심지어 국회 문화체육상임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공영방송 [[문화방송|MBC]]가 이런 막장드라마를 방영해서 되겠냐면서 논란이 되었다.], 아무렴 어떤가. 우리는 [[막장 드라마|그보다 더 자극적인 소재로 방영시간을 가득 채운 드라마들]]이 범람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카리스마가 넘치는 배역이 주력이지만, 재미있는 사람도 잘 연기한다. 평소 이미지와 전혀 다른 개그 캐릭터 연기를 보고 있으면 말로 형용하기 힘든 기분을 느끼게 해 준다.[* [[이성계(정도전)]] 역할에서 여실히 느낄 수 있다.] 드라마에서는 엄숙하거나 카리스마있는 역할을 자주 하는 편인데, 반대로 영화에서는 주로 [[코미디]] 영화를 많이 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성공한 코믹 영화로는 [[가문의 영광]] 시리즈의 [[가문의 영광(영화)|첫번째 작품이 있다.]]
'''MBC 드라마 [[영웅시대]]에서는 [[이명박]] 역을 맡아 열연했는데, 박대철이란 이름으로 바뀌어 나온다.'''
[[놀러와]]에 나와 의외의 모습을 많이 보여 주었는데 '쌈박하다'라는 발언을 즐겨하며 약한 남자 기믹을 잘 소화해냈다. [[유재석]]이 방송이 끝나갈쯤에 "제가 아는 왕은 한 명 사라졌지만 옆집 동근이 형을 알게 되었네요"라고 발언. [[공처가|실제 생활에서도 아내에게 쥐어 잡혀 산다고 한다.]] 아내가 한번 째려 보면 바로 알아서 긴다고... 다들 알겠지만 아내가 [[신득예|해더신]]이다. 한번은 밤 늦게 술에 취해서 친구들을 데리고 와서 전인화에게 음식 준비를 포함한 손님 접대를 시키며 허세를 부렸고 그 다음날에 정신을 차리자마자 도망가듯이 집 밖으로 나갔다고 하며 같은 실수를 할까봐 한달동안 술은 입에도 못 댔다고 한다.
반대로 아내 전인화는 유동근이 장난으로 자신을 놀리는 것을 좋아하고 가정 내에서도 질서와 권위를 중시한다고 말했다. 주변인들을 집에 데리고 와 손님 접대를 시키는 건 '남자는 그런 허세 부리는 재미로 사는 것 같다'며 잘 받아주는 편이라고. 평소 가사 분담은 거의 안 하는데 어느 날은 장난삼아 '라면 좀 끓여달라'고 했더니 의외로 흔쾌히 끓여주었고 맛도 훌륭했으나 생색이 쩔어줬다고 한다.
그러나 이런 그에게도 [[흑역사]]가 있는데, 아내인 [[전인화]]가 출연 중이던 드라마 '왕과 나'의 CP(책임 프로듀서)와 조연출을 폭행한 적이 있었다. 본인이 주장하는 폭행 이유는 "대본이 [[쪽대본]] 형식으로 너무 늦게 나와 촬영이 길어지면서 아내 몸상태가 안 좋은 상태라서 배려해줄 것을 부탁하는 와중에 제작진이 들어주기는 커녕 오히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태도를 보여서..."였다고. 막장스러울 정도의 [[쪽대본]] 때문에 불만이 많은 상태였다고 한다.
정황을 따져보면 '왕과 나' 촬영 당시 쪽대본 & 이런 저런 사유 때문에 그 날따라 몸도 아픈 상태이던 아내 전인화가 너무 힘들어서 눈물까지 흘리는 바람에 유동근씨가 화가 나서 따지러 간 거 같은데... 본인 주장에 따르면 아내가 걱정되어서 항의하는 와중에도 CP가 히죽거리며 웃고 있었다고. [[http://star.mt.co.kr/stview.php?no=2007122719592056123&type=3|당시 인터뷰]]. 자기 자신도 연기자이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항의한 취지 자체는 충분히 이해가 가지만 완력을 사용한건 아무래도 잘못이 맞다. 설상가상으로 이 사건이 터진 후 이 드라마의 연출자인 故 [[김재형]] PD도 건강상의 이유로 사극 제작에서 완전히 은퇴한다. 그리고 이걸 보고 온라인 상에선 '''용의 주먹'''이라며 조롱하는 반응도 있었다. 이 바람에 [[SBS]] 드라마는 언제 다시 나올 수 있을 지 기약이 없는 상태였다가, [[SBS]]의 [[아테나:전쟁의 여신]]에 NTS국장 권용관 역으로 출연이 확정되면서 4년만에 SBS 드라마로 컴백하게 되었다.(여기서 유동근 외모가 스플린터 셀 컨빅션 샘 병장과 닮았다.)
[[어린이 드라마]]와도 인연을 맺은 일이 있다. [[우리 아빠 홈런]]은 유동근이 1990년대 들어와 부드러운 이미지를 겸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고, 1999년에는 KBS 2TV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의 주연을 맡아 활약했다.[* 이미 대상까지 탄 배우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시간대의 어린이 드라마에 출연한 것은 이 드라마의 연출자인 이교육 PD와의 인연 때문이었다. 《용의 눈물》 조연출자였다가 이 드라마가 연출 입봉작이었고, 선생님 역 캐스팅에 난항을 겪자 유동근이 의리로 출연한 것. 《용의 눈물》의 또 다른 중심축이었던 배우 [[김무생]] 또한 이 드라마에서 마을 이장역으로 출연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2014년에 방영될 KBS 드라마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 [[이성계(정도전)|이성계]] 역할을 맡았다. 담당 PD가 용의 눈물 시절 연출부의 막내인걸 생각하면... 재미있는 것은 [[용의 눈물]]에 이어 [[이방원(정도전)|아들]]역에는 [[안재모]]. [[이지란|의형제]]역에는 [[선동혁]]이 그대로 나온다는 것. 참고로 '''[[서북 방언]]'''을 구사한다! 공교롭게도 사극에서 [[정도전]]과 관계 깊은 사람을 세 번 연기한 셈인데, [[이성계|정도전을 발탁하고 중용한 사람]], [[이방원|정도전을 죽인 사람]], [[흥선 대원군|정도전을 복권시킨 사람]]을 모두 연기했다는 진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그리고 유동근은 이 세 가지 배역을 통해서 세 번의 연기대상을 수상했다는 것도 재미있는 부분. 유동근이 대상을 수상한 배역들은 모두 조선 왕조의 인물들이며 직간접적으로 정도전과 연관점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정도전에 함께 출연한 [[임호]]의 언급에 따르면, 촬영장에서 함께 출연하는 후배들에게 연기를 지도할 때 직접적으로 '이러저러하게 연기해 봐라'라는 식으로 가르쳐 주는 게 아니라 선문답 식으로 던져주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가령 임호에게 "네가 구현하는 정몽주는 어떤 인간이니?"라고 묻기도 했고, '너무 나가려고만 하지 말고 다양하게 해 봐'라는 식으로 조언했었다고 한다.
정도전이 종방한 후 정말 짧은 휴식기를 가지고 바로 [[주말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 출연하였었다. 바로 전작에서 박력 넘치는 무골 이성계를 연기했던 것과 정 반대로 여기서는 나이들어 쓸쓸함을 느끼면서도 자식 걱정에 마음을 쏟는 순박한 아버지 [[차순봉]] 역할로 나와서 정도전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채 보면 엄청난 괴리감을 받게 된다. 달리 말하면 유동근이라는 배우의 연기력과 그 스펙트럼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 그야말로 1년 내내 KBS 드라마의 주역으로 미칠듯한 활약을 했고 그 열연의 결과로 2014 [[KBS 연기대상]] 대상을 수상, 3번째 대상의 영광을 품에 안았다. 이번 대상을 수상한 당시 나이 만 58세로 [[김혜자]]의 뒤를 잇는 최고령 연기대상 수상자로 남자 배우 중에선 두번째로 최고령 수상자.[* 2014년 수상 당시에는 남자배우 중 최고령 수상자였으나, 2017년에 [[아버지가 이상해]]에서 열연한 [[김영철(배우)|김영철]]의 대상 수상으로 그 기록이 깨졌다.(수상 당시 만 64세.)]
사극에서 [[서인석]]과 3번 적수로 만나 2승 1패를 기록했다.
* KBS <삼국기>(1990): 계백 역. 황산벌 전투에서 김유신에 패배.
* SBS <연개소문>(2006): 연개소문 역. 안시성 전투에서 당 태종에 승리.
* KBS <정도전>(2014): 이성계 역. 위화도 회군에서 최영에 승리.
배우 [[엄태웅]]이 조카사위이다.[* 유동근이 [[엄태웅]]의 아내 윤혜진 씨의 외삼촌이다. 즉 (유동근의 누나 유예원과 결혼하였다는) 원로배우 [[윤일봉]]이 매형.] 엄태웅의 누나인 [[엄정화]]와는 유동근, 전인화 부부와 사돈지간이다. 현재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하는 엄태웅의 딸 엄지온에게는 유동근, 전인화 부부가 사실상 [[할아버지]], [[할머니]] 뻘이 된다.
== 수상 ==
||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1990년 || [[KBS 연기대상]] || 특별상 || [[파천무]] ||
|| 1994년 || [[SBS 연기대상]] || 우수연기상 || 이 남자가 사는 법 ||
|| 1995년 || KBS 연기대상 || 최우수상 || [[장녹수(드라마)|장녹수]] ||
|| 1996년 || 그리메상 || '''최우수 남자연기상''' ||<|2> [[애인(드라마)|애인]] ||
||<|2> 1997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KBS 연기대상 || 포토제닉상, '''대상''' ||<|3> [[용의 눈물]] ||
||<|3> 1998년 ||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2년 연속수상.] ||
|| 한국방송대상 || 남자 탤런트상 ||
|| 저축의 날 || 국무총리 표창 || ||
|| 2000년 ||<|2>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인기상 || 남의 속도 모르고 ||
||<|3> 2002년 ||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배우자인 [[전인화]]가 [[여인천하]]로 여자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면서 부부가 같은 해에 동반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 ||
|| KBS 연기대상 || '''대상''' ||
|| [[청룡영화상]] || 남우조연상 || [[가문의 영광(영화)|가문의 영광]] ||
|| 2007년 ||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 現 코리아드라마어워즈. 매년 [[진주시|경남 진주시]]에서 개최된다.] || '''대상''' ||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 ||
|| 2008년 || [[MBC 연기대상]][* '애인'으로 상을 두 개나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MBC 연기대상에서의 수상은 실패. --놀랍게도-- 이번이 MBC에서의 첫 수상이다.] || 중견배우 부문 황금연기상 || [[에덴의 동쪽(드라마)|에덴의 동쪽]] ||
|| 2011년 ||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국무총리표창 || ||
|| 2014년 || KBS 연기대상 || '''대상''' || [[정도전(드라마)|정도전]], [[가족끼리 왜 이래]] ||
|| 2015년 || 대한민국 국회대상 || 올해의 예술인상 || ||
|| 2018년 || 코리아드라마어워즈 || '''대상'''[* 2007년 수상에 이어 코리아드라마어워즈에서의 두번째 대상 수상.] || [[같이 살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