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정보 | 이름 = 원용덕 | 현지어표기 = 元容德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9/General_Won_Yong-Deok.jpg/300px-General_Won_Yong-Deok.jpg | 출생지 = [[대한제국]] [[한성부]]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별명 = 호(號)는 한산(漢汕)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교|감리회]]) | 자녀 = 슬하 4남
3남 [[원창희]](元昶喜,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예편)[[1961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예편 이후, [[1984년]] [[7월 6일]]에 사망.[http://www.snmb.mil.kr/cop/cyberWorship/selectCyberWorshipPop.do?siteId=snmb&category=3&burialDev=1&typicalNum=14913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출생일=[[1908년]] |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968|2|4|1908|2|29}} | 본관= [[원주 원씨|원주]](原州) | 친척 = 삼자부 이봉희(李鳳熙) | 정당 = [[무소속]] | 복무 = [[만주국군]]
{{육군|대한민국}} | 복무 기간=[[1932년]] ~ [[1945년]] (만주국 육군)
[[1946년]] ~ [[1961년]]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만주국군]]: {{만주국군 계급장|중교}}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중장|육군}} | 근무=[[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 서훈 내역= | 기타 이력= | 지휘= [[대한민국 육군본부|육본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연참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
[[손원일]]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예하 특별행정보좌관 직무대리]]([[1954년]] [[12월 16일]] ~ [[1955년]] [[1월 6일]])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연합참모본부 고문]] | 주요 참전 전투/전쟁=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원용덕'''(元容德, [[1908년]] ~ [[1968년]] [[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겸 [[내과|내과 의사]] 및 [[정치가]]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본관은 [[원주 원씨|원주]](原州)이다. == 생애 == [[1908년]] [[한성부]]에서 출생하였고,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에서 [[1932년]] 학사 학위 취득 후 [[강원도 (남)|강원도 강릉]]에서 [[병원]]을 개업하여 [[의사]]로 일하다가 [[만주국]] [[군대]]의 [[군의관]]으로 [[군의관|입대]]했다.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군의관|교의]]를 지내기도 했으며,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 [[계급]]은 [[대한민국 국군]]의 [[중령]]에 해당하는 [[중령|중교]](中校)였다. [[8.15 광복]] 후 월[[대한민국|남]]하여 [[1945년]] [[12월 5일]] [[미군정]]이 [[군사영어학교]]를 만들 당시 [[이응준 (군인)|이응준]], [[조병옥]]과 함께 [[미군정]]으로부터 [[생도]] 모집을 위탁받게 되어 자신은 부교장에 취임했다.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 초대 [[사령관]]과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육군 제8연대장을 지냈고 [[1947년]] 육군 제2여단장, [[1949년]] 육군 제5여단장을 거쳐 육군본부 행정참모부장을 지냈으며 [[1950년]] 육군본부 호국군사령부 부사령관, [[1952년]] 육군 제2군단 부군단장과 국방부 장관 특별보좌관을 거쳐 육군 영남지구 계엄사령관을 지냈으며 [[1953년]] 초대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을 거쳐 이듬해 [[1954년]] 초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연합참모본부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 등으로 [[대한민국 국군|국군의 창군]] 및 초기 형성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 [[박정희]], [[정일권]], [[이주일 (1918년)|이주일]] 등이 속한 [[만주군]] 인맥에서 가장 연장자이며 상급자였다. 원용덕은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에서 벌어진 [[부산 정치 파동]] 등 각종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김창룡]]과 함께 대표적인 '[[정치]][[군인]]'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전쟁]] 중 있었던 [[이승만]]의 기습적인 [[반공포로석방]] 사건 때도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정치적 받침대였던 [[이승만]]이 [[하야]]한 뒤, 연합참모본부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에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연합참모본부]] 고문으로 좌천되었다가 이듬해 [[1961년]] [[3월]]에는 7년 전인 [[1954년]]에 발생했던 [[불온문서 투입 사건]]과 [[김성주 (청년 운동가)|김성주]] [[김성주 위장 유인 암살 사건|살해 사건]]의 주모자로 [[구속]]되어 재판 끝에 한 달 후 [[1961년]] [[4월]]을 기하여 [[대한민국 육군|육군]] [[3성 장군|중장]] 강제 예편 처분 및 징역 15년형을 선고 받았다. 그는 [[징역형]]을 다 채우지 않고 [[1963년]] [[3월]] [[사면|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 그는 [[1968년]] [[2월 4일]], 서울 자택에서 심장[[협심증]]로 사망하였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가 죽기 전 [[1968년]] [[1월 25일]] 그의 자택(2층 양옥)이 화재가 났었다는 것이다. 당시 그는 병원에 입원 중이었다. [[만주국]] [[만주국 육군|군대]]에서 [[장교]]로 장기간 [[장교|근무]]한 경력으로 인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선정되었다. == 가족 관계 == * 장남: 원창희(元昶喜, [[1933년]] [[2월 7일]] 일제 강점기 경성부 출생 ~ [[1984년]] [[7월 6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서울에서 사망,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사]] 생도 12기 및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보]]·[[대한민국 육군 포병학교|포병학교]] [[졸업]]. 前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헌병]]감. 1975년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예편.) == 학력 == * 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의학사 ([[내과]] 전공) * [[만주국]] [[지린 대학|신징 육군군의학교]] 졸업 *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 [[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같이 보기 == * [[부산 정치 파동]] * [[남조선국방경비대]] * [[6.25 전쟁]] * [[이범석 (1900년)|이범석]] * [[지청천]] == 원용덕을 연기한 배우 == === TV 드라마 === * [[이석구 (배우)|이석구]] - 《[[야인시대]]》(2003년 [[SBS]]) == 각주 == == 외부 링크 == *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080331&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0212 大韓民國 國軍 Noblesse oblige] == 참고 자료 == * {{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청산하지 못한 역사 1 |날짜=1994-03-01 |출판사=청년사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7278-312-1}} |장=원용덕 : 이승만의 오른팔이 된 일제 만주국 군의 (임대식)}} * {{서적 인용 |저자=강준만 |제목=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 |날짜=2006-11-13 |출판사=인물과사상사 |출판위치=서울 |페이지=196쪽 |id={{ISBN|89-5906-044-5}}}} {{전임후임 |전임자=[[송호성]] |후임자= |임기= [[1946년]] [[12월 13일]] ~ [[1948년]] [[8월 15일]] |대수= 2 |직책=[[남조선 국방 경비대|국방경비대 부사령관]] }} {{전임후임 |전임자= |후임자=[[송호성]] |임기= [[1946년]] [[1월 15일]] ~ [[1946년]] [[12월 13일]] |대수= 1 |직책=[[남조선 국방 경비대|국방경비대]] [[대한민국 육군|육군 총사령관]] }} {{전임후임 |전임자=[[이형근]] |후임자=[[정일권]] |임기= [[1946년]] [[9월 6일]] ~ [[1947년]] [[1월 23일]] |대수= 2 |직책=[[조선경비사관학교|조선경비사관학교장]] }} {{전임후임 |전임자= (창설) |후임자= |임기= [[1945년]] [[12월 5일]] ~ [[1946년]] [[9월 5일]] |대수= 1 |직책=군사영어학교 부교장 }} {{한국 전쟁 지휘관}} [[분류:1908년 태어남]][[분류:1968년 죽음]][[분류:군사영어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동문]][[분류:지린 대학 동문]] [[분류:통위부 보병학교 동문]][[분류: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일제 강점기의 의사]][[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대한민국 국방부 특별보좌관]][[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대한민국의 감리교도]][[분류:만주국의 군인]][[분류:원주 원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