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덕상'''(元悳常, 일본식 이름: 元村肇, [[1883년]] [[11월 7일]] ~ [[1961년]] [[3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 겸 금융인, 기업인이며 일제 강점기 중반 경기도 도평의회 의원과 경성부 부협의회 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도 지냈다.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이다. [[원응상]], [[원은상]]의 동생이고 [[원훈상]]의 형이다. == 생애 == === 초기 활동 === [[선공감]][[감역]]을 지낸 [[원세형]](元世亨)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그의 가계는 고려 중기에 우시랑을 지낸 시중공 원익겸의 24대 손이고, 조선 효종 때의 정승 [[원두표]](元斗杓)의 9대손이었다. [[원응상]], [[원은상]]은 그의 형이고, [[원훈상]]은 그의 동생이었다. 본적은 [[충청남도]] [[아산군]]중리였으나 아버지 원세형의 관직 부임으로 [[한성부]]로 이주하고, 그가 태어났다. [[한성부]] 안국방 출신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1912년]]에 [[지바 대학]] 전신인 지바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경성부]]에 덕제의원(德濟醫院)을 개업하고 의사로 일했다. [[1923년]]에 음독 환자를 방치해 의료 사고를 내는 등 의사로서의 태도는 의심을 받기도 했다.{{뉴스 인용 |제목=毒藥에 속이타서 펄펄뛰는 患者를 거들음부리다가 시긔를 일흔 덕졔병원장 원덕상씨의 실태 |쪽=3면 |출판사=동아일보 |날짜=1923-10-04 }} 그러나 경성 지역의 유지로는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사회 운동 === [[1920년]]에 [[경기도|경기도 서울]]에 출마하여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경성부 부협의회(京城府府協議會) 의원 등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경성상공회의소 특별평의원, 금융제도조사위원, [[조선생명보험회사]] 전무취체역, 서울종로금융조합 조합장, 경성상공회의소 부회두, 금융조합연합회 감사, 금융제도조사위원 등 여러 직책을 거쳤다. 위생 시설 시찰을 위해 일본 및 [[만주]]를 순시한 일도 있다. [[1927년]]에는 중추원 참의로 발탁되었다. 중추원 참의로 있던 [[1935년]]에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353명의 공로자 중 한 명으로 기재되어 있다.{{뉴스 인용 |저자 = 성강현 |제목 =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8-04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258/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1.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뉴스 인용 |저자 = 성강현 |제목 =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url = 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출판사 = 일요시사 |날짜 = 2004-03-18 |확인날짜 = 2008-08-04 |확인날짜 = 2008-03-06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80627191303/http://www.ilyosisa.co.kr/SUNDAY/SUN_0426/TM_0302.html |보존날짜 = 2008-06-27 |깨진링크 = 예 }} [[1935년]] 무렵에는 산림회(山林會) 및 도시연구회(都市硏究會) 상임간사, 조선생명보험주식회사(朝鮮生命保險株式會社)의 전무이사, 종로금융조합 조합장 등을 겸했다. 이후 [[태평양 전쟁]]이 종전된 [[1945년]]까지 약 18년 동안 중추원 참의로 재직했다. 원응상은 젊은 나이부터 장기간 중추원 참의를 지냈던 만큼 [[조선총독부]]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활동을 했다. 1920년대부터 [[조선산림회]] 이사를 맡고 [[조선불교단]], [[조선구락부]], [[동민회]], [[조선대아세아협회]] 등에 가담하였으며, 태평양 전쟁 시기에도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 [[조선임전보국단]] 등 각종 전쟁지원 단체에 빠짐없이 참여하는 등 두드러지는 행적을 보였다.{{서적 인용 |저자=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목=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날짜=2004-12-27 |출판사=민족문제연구소 |출판위치=서울 |id={{ISBN|8995330724}} |페이지=222,237,270,299,347,388,570쪽}} [[민영휘]]와 함께 경기도 애국기헌납기성회를 발기하여 군용기 헌납 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친일파 99인 1 |날짜=1993-02-01 |출판사=돌베개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71990117}} |장=민영휘 : 가렴주구로 이룬 조선 최고의 재산가 (서영희)}} === 해방 이후 ===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중추원]] 참의에서 파면되었다. 그러나 [[경기도지사]] 고문, 금융조합협회 감사, 경기도 의원 등을 지냈다. [[미군정]] 하에서 조선생명보험주식회사 사장으로 취임{{서적 인용 |저자=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목=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날짜=2004-12-27 |출판사=민족문제연구소 |출판위치=서울 |id={{ISBN|8995330724}} |페이지=448쪽}} 하였고, 서울 지역 유지이자 기업인으로 계속 활동하였다. [[1949년]]에 출간된 《대한민국인사록》에는, "경성의 명사 중의 명사"라는 설명과 함께 "의사 출신으로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사업계에 탁월한 식견과 수완을 가진 사람"이라는 인물평이 실려 있다. 1949년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따라 반민특위에 잠시 체포된 일이 있으나,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같은 중추원 참의 출신으로서 이때 역시 기소유예 처분으로 석방된 [[현준호]]와는 동서 사이라는 설이 있다.{{서적 인용 |저자=허종 |제목=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날짜=2003-06-25 |출판사=도서출판선인 |출판위치=서울 |id={{ISBN|8989205514}} |쪽=258쪽}} == 사후 ==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의 중추원과 기타 부문,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중추원과 친일단체 부문에 포함되었다. [[2009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원세형]](元世亨, [[1849년]] ~ ?) ** 형 : [[원응상]](元應常, [[1869년]] [[8월 20일]] ~ [[1958년]] [[8월 20일]]) ** 형 : [[원은상]](元殷常, [[1874년]] [[2월 27일]] ~ ?) ** 동생 : [[원훈상]](元勛常, 일본식 이름: 元村重盛, [[1881년]] ~ ?) * 부인 : ? ** 아들 : [[원용관]](元容寬, [[1911년]] ~ ?) == 같이 보기 == * [[조선총독부 중추원]] * [[조선생명보험주식회사]] == 참고자료 == * {{국사편찬위원회 인물|108_00913|원덕상|元悳常}} == 각주 == [[분류:1883년 태어남]][[분류:196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의사]][[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