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문서: [[배우/한국]], [[불교/인물]] * 동명의 후배 여배우에 대해서는 [[오현경(1970)]] 참조.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 오현경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fffff><-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c0c000> {{{+1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width=100]]]]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박인환(배우)|박인환]][br](1984) || → ||<#FFFFA1> '''오현경[br](1985)''' || → || [[전무송]][br](1986) || ---- [include(틀:K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 }}} || http://imgnews.naver.net/image/038/2011/11/20/l391204201111202138000.jpg [목차] == 소개 == '''오현경'''(吳鉉京, [[1936년]] [[11월 11일]] ~ [age(1936-11-11)]세)은 [[대한민국]]의 [[배우]]다. [[종교]]는 [[불교]]이다.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태생으로, [[우신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61년]], [[KBS]] [[공채]] 1기 [[탤런트]]로 데뷔했다. 2018년 현재 대한민국 연예인들 중 '''[[왕고|최고참]]'''으로 분류된다. 아내였던 [[윤소정(배우)|윤소정]]도 배우였고, [[딸]]인 오지혜도 배우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화감독 윤봉춘의 [[사위]]이다. [[궁금한 스타쇼 호박씨]]에 출연해서 [[윤소정(배우)|윤소정]]이 말한 바에 따르면, 극에서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깐깐하고 [[잔소리]]가 많은 편이라고 한다. [[윤소정]]의 의상 샵도 "[[연극]]과 의상샵을 병행하지 마라"는 오현경의 참견으로 인해 잘 되던 의상 샵도 접은 것. TV 드라마에서의 대표작은 [[TV 손자병법]]에서의 만년과장 이장수 역. [[1987년]]부터 [[1993년]]까지 6년간 방송된 이 [[드라마]]에서 늘상 부장승진에 실패하는 자재과 만년과장 역을 맡아 굉장한 호연을 보여준다. 위에서 눌러대고 아래에선 치고 올라오는 [[중간관리직]]의 애환을 정말 잘 살렸다. 저 때만 해도 직장 드라마를 직장에서 연애하는 드라마로 찍던 시절이 아니었던 터라.. 그 뒤 각종 작품의 만년과장 캐릭터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다. [[식도암]]과 [[위암]]으로 2차례나 암 투병을 겪으면서 [[TV]]나 [[영화]]에선 활동이 조금 뜸한 편. 그러나 연극 무대에는 계속 서고 있다고 한다. [[2014년]]에는 [[참 좋은 시절]]에 출연했다. [[2017년]] [[6월]]에는 부인 [[윤소정]]과 사별했다. == 출연 == === 영화 === [[전국 노래자랑(영화)|전국 노래자랑]] (이종필, 2013) - 오영감 [[후궁: 제왕의 첩]] (김대승, 2011) - 윤기훈 [[평행이론#s-2|평행이론]] (권호영, 2009) - 손기철 연리지 (김성중, 2006) - 아버지 여름이 준 선물 (이영재, 2006) - 오길재 이대로, 죽을 순 없다 (이영은, 2005) - 지회장 [[혈의 누(영화)|혈의 누]] (김대승, 2005) - 김치성 대감 행복한 장의사 (장문일, 1999) - 장판들 참새와 허수아비] (윤삼육, 1983) - 김영감 땅콩껍질 속의 연가 ([[이원세]], 1979) 회상 (이성구, 1974) 해벽 (이성구, 1972) 마패없는 어사 (진천, 1971) 상감마마 미워요 (나영세, 1971) - 자선 두 남자 (최상현, 1970) 무영탑 (김수용, 1970) 식모 삼형제 (김화랑, 1969) 몽땅 드릴까요(토끼와 포수) (유현목, 1968) 춘풍 (김영효, 1968) 내멋에 산다 (김기덕, 1967) 일월 (이성구, 1967) 하숙생 (정진우, 1966) 오늘은 왕 (김기덕, 1966) === 드라마 === 2014년 [[KBS2]] 《[[참 좋은 시절]]》... 강기수 역 2011년 [[MBC]] 《[[절정(드라마)|절정]]》... 이중직 역. 이육사의 조부 2011년 KBS2 《[[가시나무새#s-3|가시나무새]]》... 이영조의 조부 역 2006년 MBC 《누나》... 조부 역 2005년 MBC 《[[신돈(드라마)|신돈]]》... 큰스님 역 1998년 KBS2 《싱싱 손자병법》... 이장수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화려한 휴가》 1994년 [[SBS]] 《좋은걸 어떡해》... 황보대봉 역 1992년 [[MBC 베스트극장]] 《일흔살과 일곱살》 1987년 KBS2 《TV 손자병법》... 이장수 역 1981년 KBS 《서울의 지붕 밑》 1978년 [[TBC]] 《내일도 푸른하늘》... 맹두칠 역 1977년 TBC 《서울야곡》 1971년 TBC <검은 별장> 1971년 TBC 《양반전》 1971년 TBC 《알뜰부인 덜렁부인》 1970년 TBC 《고독한 갈》 1970년 TBC 《꿈은 좋았는데》 1970년 TBC 《두 남자》 1970년 TBC 《옥녀》 1970년 TBC 《동경유학생》 1967년 TBC 《내멋에 산다》... 장남 역 === 연극 === 1962년 《포기와 배스》...흑인 변호사 역 1966년 《아들을 위하여》...조지디버 역 1967년 《화니》...빠니스 역 1969년 《휘가로의 결혼》...휘가로 역 1969년 《맹진사댁 경사》...맹노인 역 1970년 《허생전》...허생원 역 1972년 《오델로》...이아고 역 1984년 《드레서》...드레서 역 1985년 《햄릿》...포로니어스 역 1991년 《막차탄 동기동창》...김대부 역 2009년 《봄날》...아버지 역 2009년 《배니스의 상인》...샤일록 역 2010년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최익현 역 2016년 《언더스터디》...오선생 역 == 수상 == 1970년 한국문화대상 연극부문 대상 1983년 대한민국 연극제 남자연기상 1985년 동아연극상 남자연기상 1991년 서울연극제 연기상 1992년 KBS 연기대상 대상 2008년 서울연극제 남자연기상 2009년 대한민국 연극대상 남자연기상 2011년 올해의 서울시 문화상 연극부문[2] 2012년 연문인상(연세대학교 문과대학) 2013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선출 == 그 외 == [[연세대학교]] 시절,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파격적으로 응원단장으로 선출될 정도로 이미 [[고등학교]], [[대학교]] 때부터 연기자 및 엔터테이너로서의 끼를 충분히 보여 주었으며, 연세대에서 무엇을 전공했느냐는 질문이 오면 "연극을 전공했다"(연대에는 연극 전공이 없음)고 답할 정도로 연극에 올인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최근에 한 방송에서 자신의 연극 인생을 술회하는 인터뷰를 했다. EBS 초대석 - 연극은 내 인생이다-배우 오현경 part-1[[https://www.youtube.com/watch?v=V6KAbuu7F-g]] part-2[[https://youtu.be/uSKdLVQLcZw]] part-3[[https://youtu.be/uSKdLVQLcZw]] 아내인 윤소정과 두 부부 모두 여자 이름을 달고 있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 [[분류:남구(울산) 출신 인물]] [[분류:1936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