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가 정보 | 이름 = 오승근 | 본명 = | 그림 = | 설명 =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51|12|20}} | 출생지 = {{국기|대한민국}}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시]]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사망지 = | 사망일 = | 국적 = {{국기|대한민국}} | 거주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 배우자 = [[김자옥]] (1984년 ~ 2014년)(사별) | 가족 = 장녀 오지연, 장남 오영환 | 직업 = [[가수]], [[작곡가]], [[사업가]] | 활동시기 = [[1968년]] ~ [[현재]] | 장르 = [[포크 록]], [[트로트]] | 종교 = [[개신교]] | 학력 = [[경희대학교]] 작곡과 중퇴 | 소속사 = 투에이스엔터테인먼트 | 레이블 = | 관련활동 = | 웹사이트 = [http://cafe.daum.net/osglovehouse 오승근 홈페이지] }} {| class="infobox bordered" style="width:21em; cellpadding=2; font-size:85%; text-align:center;" ! colspan="2" style="background:lightsteelblue" | 대표곡 |- | style="width:80%;" | '''비둘기집''' | style="width:20%;" | [[1969년]] |- | '''빗속을 둘이서''' | [[1975년]] |- | '''처녀 뱃사공 (원곡: [[황정자]])''' | [[1976년]] |- | '''긴 세월''' | [[1977년]] |- | '''떠나는 님아''' | [[1978년]] |- | '''사랑을 미워해''' | [[1979년]] |- | '''그대가 나를''' | [[1990년]] |- | '''있을 때 잘해''' | [[2001년]] |- | '''장미꽃 한송이''' | [[2003년]] |- | '''잘 될거야''' | [[2005년]] |- | '''사랑하지만''' | [[2007년]] |- | '''내 나이가 어때서''' | [[2012년]] |- | '''몽(夢)''' | [[2013년]] |- | '''즐거운 인생''' | [[2014년]] |- | '''하늘의 여자''' | [[2015년]] |- |} '''오승근'''(吳承根, [[1951년]] [[12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생애 == 오승근은 고등학교 시절이었던 [[1968년]]에 17세의 나이로 홍순백과 함께 음악 그룹《투에이스(=금과 은)》를 결성하며 데뷔하였다. 데뷔 당시 4곡을 발표했는데 《빗속에서 울리라》, 《그 얼굴》, 《비둘기집》, 《두 마음》이다. 그 중에서 《비둘기집》(전우 작사/ 김인배 작곡)은 발표 당시 인기를 얻으며 [[1970년]]에 KBS 가수상을 받기도 하였다. [[1971년]] 약 3년 간 같이 활동한 홍순백과 결별하고 잠시〈영에이스〉라는 그룹사운드에서 최이철과 활동하다 입대를 하였으며 [[1974년]]에 복귀하면서 임용재와 함께 그룹 《금과 은》을 결성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 조금씩 [[트로트]] 느낌이 나는 《빗속을 둘이서》(김정호 작사/ 김정호 작곡)를 히트시키며 다시 인기가수로 등극하였다. 또한 옛노래 모음(Remake) 앨범을 발표하였는데 앨범 수록곡이었던 《처녀 뱃사공》(윤부길 작사/ 한복남 작곡)이 히트하여 MBC 10대 가수상, KBS 최우수 남자 가수상을 받으며 전성기를 누볐다. [[1979년]]에 해체될 때까지 각 방송사의 연말 시상식에서 중창부문을 독식하기도 하였다. 이후 〈금과 은〉이 공식 해체되고 나서는 [[1980년]] 쯤부터 솔로로 전향하였다. 솔로로 데뷔한 후에도 본인이 직접 작곡, 작사한 《사랑을 미워해》(오승근 작사/ 오승근 작곡)를 부르며 가수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이혼의 아픔을 겪었으며 [[1984년]], '눈물의 여왕' 으로 군림하며 드라마에서 주름잡던 배우 [[김자옥]]과의 재혼으로 한동안 스타덤에 올라 화제를 모았으며 건축 인테리어 사업을 물려받아 본격적으로 사업가로 활동하였고 [[1990년]]에 《그대가 나를》(박건호 작사/ 김종희 작곡)을 발표하고 나서는 한동안 여행사 업종의 사업가로 변신하여 사업에 전념하였다. 하지만 [[1997년]],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IMF 구제금융사건]]에 휘말려 몇 년간 해오던 사업이 부도가 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사업에 전념하던 오승근은 지난 [[2001년]], 《있을 때 잘해》(이건우, 김정혜 작사/ 박현진 작곡)를 발표하며 [[트로트]] 가수로 복직하였다. 《있을 때 잘해》는 아이넷TV 성인가요 7주 연속 1위란 기록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오승근은 두번째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특히 이 곡은 모든 연령층들에게 사랑을 받았으며 노래방 애창곡, 성인가요 애창곡으로 뽑히기도 했다. [[2003년]]에 발표한 《장미꽃 한 송이》(하지영 작사/ 이호준 작곡)는 쉬운 가사와 흥겨운 멜로디로 중, 장년층들이 즐겨 부르는 곡으로 자리잡았으며 이후 《잘 될 거야》, 《사랑하지만》으로 꾸준히 활동해오다 최근 [[2012년]]에 발표한 《내 나이가 어때서》(박무부 작사/ 정기수 작곡)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곡은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 트로트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2012 상반기 트로트계 최대 히트곡으로 주목받고 있고 현재 대한민국 대표 노래자랑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KBS 《[[전국노래자랑]]》 예심에서 많이 불렸던 참가곡으로 선정되었으며 최근 성인가요 메들리의 메인 타이틀로도 리메이크되고 있다. [[2014년]]에는 [[홍진영]]이 리메이크해 더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오승근은 데뷔 때부터 작곡과 작사 능력을 겸비한 싱어송라이터이기도 한데 본인이 자작한 곡은〈사랑을 미워해〉,〈행복을 그리네〉가 있다. == 가족 관계 == * 배우자는 [[1970년]]에 MBC 2기 공채로 데뷔한 배우 [[김자옥]]이며, [[2014년]] [[11월 16일]]에 사별하였다. * 슬하에 장녀 오지연, 장남 오영환이 있다. == 학력 == * [[1970년]] [[서울고등학교]] 졸업 * [[1972년]] [[경희대학교]] 작곡과 중퇴 == 대표 앨범 == * 2015년 《즐거운 인생》 * 2012년 《내 나이가 어때서 (Single)》 * 2007년 《2007 사랑하지만》 * 2005년 《오승근 팝(Pop)》 * 2005년 《사랑이란 이름으로》 * 2003년 《NEW ALBUM &THE BEST SONG》 * 2001년 《2001 있을 때 잘해》 * 1995년 《빗속을 둘이서/ 세월》 * 1990년 《그대가 나를》 * 1979년 《잊어야지》 * 1979년 《떠나는 님아》 == 영화 == * 2003년 《[[동갑내기 과외하기]]》 - 수완 아버지 역 == 오승근을 연기한 배우 == * 2015년 [[KBS1]] 《[[인순이의 토크 드라마 그대가 꽃]]》 - [[김광영]]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해주 오씨]][[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