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족 정보 | 이름 = 오강군 | 원래 이름 = 烏江君 | 작위 = 부수(副守)
수(守)
부정(副正)
정(正)
[[군 (작위)|군(君)]]
중의대부(中議大夫)
정의대부(正義大夫) | 휘 = 이건
李鍵 | 배우자 = [[군부인]] [[한양 조씨]](적실 부인)
그 외에 측실 2명 | 자녀 = [[의안군 (왕족)|의안군 이성]](양적장자)
[[신성군|신성군 이후]](양적차자)
[[철원부수|철원부수 이의남]](친서자)
[[회원부수|회원부수 이철]](친서자)
[[화원수|화원수 이효성]](양서자) | 출생일 = [[1560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 사망일 = [[1648년]] (89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사저
([[신장병|신장풍]]과 [[당뇨병|소갈증]]의 합병증으로 병사) | 왕가 = [[조선|조선 왕조]]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조선 왕조]] | 매장지 = {{KOR}} [[경기도]] [[고양시|고양]] | 종교 = [[유교]]([[성리학]]) | 아버지 = [[복성군|복성군 이미]](양부)
[[해안군|해안군 이기]](생부) | 어머니 = 복성군부인 파평 윤씨(양모)
해안군 계부인 [[거창 신씨]](생모) | 친인척 = 이운환(양누이)
조민원(장인)
[[조선 중종|중종 이역]](조부)
[[조선 인종|인종 이호]](이복 숙부)
[[덕흥대원군|덕흥군 이초]](이복 숙부)
[[조선 명종|명종 이환]](이복 숙부)
[[조선 선조|선조 이연]](사촌 형)
[[능원대군|능원군 이보]](양손자)
[[능창대군|능창군 이전]](양손자)
[[평운군|평운군 이구]](양손자)
[[영풍군 (이식)|영풍군 이식]](양증손자)
[[인평대군|인평군 이요]](양증손자) }} '''오강군 이건'''(烏江君 李鍵, [[1560년]] ~ [[1648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다. [[해안군|해안군 이기]]의 여섯째 서자이며, 후사 없이 죽은 이복 백부 [[복성군|복성군 이미]]의 사후 양자로 출계하였다. == 이력 == '''오강부수'''(烏江副守)에 봉작되고 '''오강정'''(烏江正)으로 승작되었다가, 중의대부(中議大夫)로 승계받아 비로소 군에 봉작되었다. 그는 [[복성군]]의 양자로 지명되었지만 후사가 없었고, 스스로도 별도의 양자를 세웠으며, 양손자 [[평운군]]의 후손들은 20세기에 와서 그를 선조로 인정하였다. == 일생 == === 어린 시절 === [[해안군|해안군 이기]](海安君 李㟓)의 여섯째 서자로 출생한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이복 숙부 [[조선 명종|명종]]의 총애를 받으며 6세 시절이던 [[1565년]] '''오강부수'''(烏江副守)에 책봉되었고 이듬해 [[1566년]] '''오강수'''(烏江守)에 진책되었으며 1년 후 [[1567년]] '''오강부정'''(烏江副正)에 진봉되었고 그 해에 큰아버지 [[복성군|복성군 이미]]의 양자 출계하였으며 이듬해 [[1568년]] '''오강정'''(烏江正)으로 승작되었고 1년 후 [[1569년]] '''오강군'''(烏江君)에 봉군되었다. === 이복 백부 복성군 양자 입후 배경 === 원래 [[복성군|복성군 이미]]의 사후 양자로 [[덕흥대원군|덕흥군]]의 셋째아들 [[조선 선조|하성군 이연]]이 내정되었으나 하성군이 선조로 즉위하면서 결국 오강군이 [[복성군|복성군 이미]]의 양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오강군도 후사가 없어, 1580년 선조는 자신의 아들 의안군을 양자로 지명했다. 그러나 후일 선조의 서4남 신성군을 양자로 입후하였다. 선조는 오강군을 복성군의 양자로 지정하고도, [[1580년]] 다시 선조 자신의 아들 [[의안군 (왕족)|의안군]]을 [[복성군]]의 양손자로 지명하여 [[유성룡]] 등이 종조부와 종손자 관계이며 중간에 아버지가 없다 하여 비판하기도 했다. 오강군은 후일 다시 친형 서천군 이금의 서자 화원수 이효성을 양자로 입양했다가 관직을 받으려고 허위로 고했다 하여 [[1638년]](인조 16) [[12월 25일]] [[종부시]] [[도제조]] [[김세렴]]의 탄핵을 받기도 했다. === 말년 === [[1639년]] [[4월 4일]] 노인직으로 정의대부(正義大夫)에 승계되었으며, 이듬해 [[1640년]]부터 만성 신장풍과 만성 소갈증의 합병 증세로 와병하다가 8년 후 [[1648년]]에 향년 89세로 병사하였다. === 사후 === 그는 [[복성군]]의 양자로 지명되었지만 후사가 없었다. 양손자 평운군의 후손들은 그를 건너뛰고 [[복성군]], 계후 [[신성군]], 양자으로 가계도를 작성했고, 오강군 스스로도 생전에 별도의 양자를 세웠다. 광무 연간에 편찬된 [[선원보략]]에도 그를 소거하고 복성군에서 바로 신성군으로 넘어가 족보를 작성하였다. 20세기에 와서 그를 선조로 인정하였다. 시신은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고양시]] [[덕양구]]) 묘좌, 생부 [[해안군 이기]]와 생가 형 오천군 이굉, 생조모 [[숙의 홍씨]]의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 가족 관계 == * 조부: [[조선 중종|중종]] ** 양아버지: [[복성군|복성군 이미]], 중종의 서장자로 이복 백부 ** 양어머니: 복성군부인 파평 윤씨 *** 부인: 군부인 한양조씨, 부사 조민원(趙敏元)의 딸 **** 아들(양자): [[의안군 (왕족)|의안군 이성]](義安君 李珹, 1577년 ~ 1588년), 선조의 셋째 서자 **** 아들(양자): [[신성군|신성군 이후]](信城君 李珝, 1578년 12월 10일 ~ 1592년 11월 5일), 선조의 넷째 서자 **** 며느리(양 며느리) : 평산군부인 평산 신씨, [[신립]]의 딸, [[신경진]]의 누이 ***** 양 손녀 : 현주 이씨([[1592년]] ~ ?) ***** 손녀사위 : 안홍량, 죽산안씨 ***** 손자(양손자) : [[평운군|평운군 이구]](平雲君 李俅, 1624년 - 1662년), 경창군(慶昌君)의 3남., 선조의 아홉째 서자 경창군 이주의 셋째 아들 **** 아들(친서자) : 철원부수 이의남(鐵原副守 李義男) **** 아들(친서자) : 회원부수 이철(檜原副守 李鐵) **** 아들(양서자) : 화원군 이효성(花原君 李孝誠), 서천군 이금(西川君 李錦)의 서자로, 처음에 수(守)에 책봉되었고 사후에 군(君)에 추증 ** 생부: [[해안군|해안군 이기]], 중종의 서자 ** 생모: 거창 신씨, 우찬성 홍유(弘猷)의 딸 == 외부 링크 == * [http://www.rfo.co.kr/view_party.php?activePage=2&keyword=&sort=&list_mode=people1&refnum=081 대한제국 조선 황실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 오강군 이건] {{토막글|조선}} [[분류:1560년 태어남]][[분류:1648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병사한 사람]][[분류:당뇨병으로 죽은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조선의 문신]][[분류:유교 신자|이건]][[분류:양자]][[분류:운현궁]][[분류:전주 이씨]][[분류:16세기 한국 사람]][[분류:17세기 한국 사람]][[분류:조선 명종]][[분류:조선 선조]][[분류:조선 광해군]][[분류:조선 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