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정보
|이름=엄주명
|출생일=[[1896년]] [[11월 19일]]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76|2|6|1896|11|19}}
|정당 = [[무소속]]
|현지어표기 = 嚴柱明
|별명= 아명(兒名) 규성(圭成), 아호(雅號) 소석(小石), 자(字) 규성(圭成)
|태어난 곳= [[조선]] [[경성부]] 서소문
|죽은 곳=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복무=[[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30년]] [[3월]] ~ [[1938년]] [[2월 28일]]
[[1948년]] ~ [[1956년]] [[6월 22일]]
|최종 계급=[[일본 제국 육군]] 중위
[[대한민국 육군]] 준장
|부대= 중국 북부 천안부대
대한민국 육군
|지휘= 경기, 경남, 서울, 충북, 서울지구 병사구 사령관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서훈 내역=
|기타 이력=진명학원 교장, 이사장
|}}
'''엄주명'''(嚴柱明, [[1896년]] [[11월 19일]] ~ [[1976년]] [[2월 6일]][{{뉴스 인용
|제목=진명학원이사장 嚴柱明씨 별세
|출판사=조선일보
|날짜=1976-02-08
|쪽=7면
}}])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교육인, 군인이다. [[6.25 전쟁]] 당시 [[대한민국 육군]] 장군으로 참전, 지휘하였다. [[순헌황귀비]]의 조카이며, [[영친왕]]의 외사촌이자 친구였다. 또한, [[일제 강점기]] 초기에 [[조선]]인 [[참정권]], [[자치권]]을 주장했던 [[민원식]]의 처남이다.
아명(兒名)은 규성(圭成)으로 뒤에 주명으로 개명하였으며, 아호(雅號)는 소석(小石), 자(字)는 규성(圭成)이다. 본관은 [[영월 엄씨|영월]]이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는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의 재단 이사장 겸 교장으로 있었다.
== 생애 ==
=== 초기 활동 ===
[[1896년]](고종 34년) [[11월 19일]](음력 [[10월 15일]]) [[경성부]] [[서소문]]에서 출생하였다. [[진명여학교]] 초대 이사장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대한제국]]의 고위 무관 [[엄준원]]의 아들로, [[순헌황귀비]] 엄씨에게는 조카가 된다.[{{서적 인용
|저자=정범준
|제목=제국의 후예들
|날짜=2006-05-25
|출판사=황소자리
|출판위치=서울
|id={{ISBN|8991508189}}
|페이지=535쪽}}][{{국사편찬위원회 인물|108_00477|엄준원|嚴俊源}}] [[영친왕]] 이은은 그의 고종사촌 동생이 된다. 또 그의 누이 엄채덕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인 [[민원식]]과 결혼하였다. 그의 처음 이름은 규성(圭成)이었다가 뒤에 주명으로 개명하였다.
사촌이자 나이도 비슷한 [[의민태자]] 이은과 어릴 때부터 [[덕수궁]]에서 함께 뛰놀며 자란 절친한 사이였다. [[1907년]]에 이은이 강제로 [[일본]]에 유학했을 때 순헌황귀비의 뜻에 따라 비공식 동행했다.[{{서적 인용
|저자=정범준
|제목=제국의 후예들
|날짜=2006-05-25
|출판사=황소자리
|출판위치=서울
|id={{ISBN|8991508189}}
|페이지=26쪽}}] 이때 [[의민태자]]가 일본에 볼모로 가기 전 그를 보고 "나는 규성이 하고 꼭 같이 갈 테야"하고 간절히 소원하니 같이 가게 됐다 한다. 그가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놀고 있다가 영친왕의 눈에 띄게 되자, 그는 곧바로 [[창덕궁]]에 들렸다가 집에 들리지 못하신 채 [[일본]] [[도쿄]]로 함께 떠났다 한다. 그는 [[영친왕]], [[이토 히로부미]] 및 영친왕 수행원과 함께 선박으로 도쿄로 가게 된다. [[1908년]](융희 2)부터 1910년(융희 4)까지 [[도쿄]]시내 도리이사카의 [[영친왕]]의 관저에서 함께 생활하며, 소학교와 중학 제1학년 과정을 수학하였다. 1911년 1월 가쿠슈인 중등학과 1학년에 입학했으나 동년 9월 가쿠슈인학원 중등학과를 중퇴하고 육군중앙유년학교로 편입한다.
후일 그의 증언에 의하면 [[일본]]에서 [[영친왕]]이 엄귀비의 별세 소식을 듣고, 의연하게 대응하였으나 목욕탕에서 단 둘이 있을 때 통곡했다 한다. [[순헌황귀비|엄귀비]]의 부음 소식을 듣고 [[영친왕]]은 "[[목욕탕]]으로 조용히 부르시고는 "너도 어머니가 몹시 보고 싶지 않으냐?"하면서 통곡하더라"는 것이다.
=== 군인 생활과 재단 이사 생활 ===
[[육군중앙유년학교]]를 거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제30기로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임관했다. [[일본 제국 육군]] 보병 중위를 지냈으며, 1923년 진명 재단의 간사직에 취임하면서 [[진명학교]] 재단 평의원, 재단 이사에도 피선되었다. [[1938년]]에 아버지 엄준원이 중추원 참의 재직 중 사망하자 그해 [[3월 1일]]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교장이 되었다. 그밖에 [[숙명재단]]의 재단 이사로도 임명되어 [[1965년]]까지 재직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 전선에 출정했다.[{{저널 인용
|저자=유관희
|제목=戰勝 士官의 凱旋 手記
|저널=삼천리
|연도=1938
|작성월=5
|volume=제10권
|issue=제5호}}] 계급은 육군 중위였다. 당시 일본군 육군 중위로 소집되어 중일 전쟁에 출정하여 중국 북부 천안부대에 복무하였다. 그러나 일본 군부에서는 그가 출정 중에 부친상을 당하고 재단 이사장에 추대된 점을 고려하여, [[1938년]] 3월중에 귀국하게 하고 4월의 신학년도에 맞추도록 예편시키고, 군부촉탁을 해제하였다. 당시 교장과 교감 외에 부교장 제도를 두어, 교감이던 이세정이 그의 귀국을 주선하였다.
[[1940년]] [[7월 2일]] [[경성의학전문학교 (서울)|경성의학전문학교]] [[서울대학교병원|부속병원]]에서 [[협심증]] 판정을 받고 정양을 요한다고 하여 [[7월 30일]]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교장직을 사직하고 향리로 내려가 요양하였다. [[태평양 전쟁]] 후반에는 전쟁 지원 단체인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참사와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도 맡은 바 있다.[{{서적 인용
|저자=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제목=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날짜=2004-12-27
|출판사=민족문제연구소
|출판위치=서울
|id={{ISBN|8995330724}}
|페이지=301,389쪽}}] 한편 [[태평양 전쟁]]에 출정했던 장남 엄영섭이 학도병으로 사망하여 전문이 도착했으나 그는 공무 중에 사사로운 일로 나올 수 없다며 오지 않았다 한다.
=== 군인 복무 ===
[[1948년]]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 [[1950년]] [[한국 전쟁]] 중에는 [[육군]] [[대령]]으로 승진하여 경기도 계엄민사부장, 경기지구 병사구사령관과 위수사령관, [[1952년]] [[10월]] 경남지구 위수사령관으로 부임하였다. 그는 "주머니 속의 먼지밖에 남기지 않고 다 남에게 주시는 성품이실 뿐만 아니라, 부하들의 실수 등을 완곡하게 타이르셨다." 한다. 한편 그는 부하들이 쓸 공문서의 오자(誤字)를 발견했을 때라도 즉석에서 나무라는 일 없이 "사전 좀 가져다 봅시다" 하며 고쳐주었고, 어려운 부하들에겐 봉급도 모두 주기도 했다. 또, 사병들이 머리를 짧게 깎도록 명해도 말을 잘 듣지 않을 때는 솔선하여 머리를 깎고 오셔서는 "내 머리가 짧으니 좋지? 어때?" 하시면서 재삼 삭발을 권고했다 한다.
[[1953년]] [[5월 29일]] 서울지구 병사구사령관, [[1953년]] [[8월 20일]] 충북지구 병사구 사령관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5년]] [[11월 14일]] 다시 서울지구 병사구사령관을 거쳐 [[1956년]] [[6월 22일]] 임시 준장으로 특진과 동시에 다른 9명의 장성들과 함께 [[육군본부]] 광장에서 예편하였다.
=== 생애 후반 ===
예편 이후 1956년 [[8월 18일]] [[재향군인회]] 부회장, [[1957년]] [[대한상무회]](大韓尙武會) 부회장 등에 위촉되었다. [[1959년]] [[4월 24일]] [[대한상업은행]] 주주총회에서 취체역 상무에 선임되었다. [[1960년]] [[8월]] [[일본]]을 방문하여 [[영친왕]]을 면담하고 돌아왔으며 이듬해 8월에도 다시 일본을 방문하여 이은을 문병하고 돌아왔다. [[5·16 군사정변]] 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가 이은의 귀국을 추진했을 때 [[김을한]]과 함께 귀국특사로 임명되었다. 이때 일본에 파견되어 이은의 병세를 살펴보고 돌아왔다.
[[1962년]] [[4월 28일]] 연합증권금융주식회사 주주총회에서 전무에 선출되었다. 1965년 12월에는 [[숙명재단]]의 재단 분규로 숙명재단 이사직을 사퇴했다. 1966년에는 숙명재단 재단 분규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이후 대학교 설립을 계획하였으나 이루지 못했다. [[1970년]] 5월 와병으로 영친왕의 빈소에는 불참하였으나 [[영친왕]] 사망 후 영친왕 장례위원회 부위원장에 피선되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택에 있다가 만년에 정릉1동 5-50번지로 이사하였다. 이후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택에서 병석에 누워 생활하던 중 [[1976년]] [[2월 9일]] [[협심증]], 노환 등의 지병으로 사망하였다. 2월 10일 진명 3.1강당에서 발인 후 [[양주시|양주군]] (현, [[남양주시]]) 선영에 안장되었다.
=== 사후 ===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과 친일단체 부문에 선정되었다. 이 명단에는 아버지 엄준원도 포함되어 있다. [[2009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상훈 경력 ==
* 금성충무공훈장
* 대통령 표창장
* 진명재단 특별 연공상
== 가계 ==
* 증조부 : 엄재우(嚴載祐)
** 종조부 : 엄진오(嚴鎭五)
* 친 할아버지 : 엄진일(嚴鎭一)
* 친 할머니 : 양천 허씨
** 숙부 : 엄충원(嚴忠源)
* 양 할아버지 : [[엄진삼]](嚴鎭三, [[1812년]] [[10월 9일]] ~ [[1879년]] [[7월 28일]])
* 양 할머니 : 밀양박씨([[1824년]] ~ [[1895년]])
** 양 숙부이자 5촌 당숙 : 엄학원(嚴鶴源)
** 양 고모이자 5촌 당고모 : [[순헌황귀비]]
* 아버지 : [[엄준원]](嚴俊源, [[1855년]] [[음력 3월 26일]] ~ [[1938년]] [[양력]] [[2월 13일]])
* 어머니 : 인동 장씨
** 누나 : 영월 엄씨
** 매부 : 박기홍
** 누나 : 엄채덕(嚴彩德, [[1889년]](?) ~ ?)
** 매부 :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6일]])
* 양 아버지 : 엄봉원(嚴鳳源)
* 양 어머니 : 이름 미상
* 부인 : 이름 미상
** 아들 : 엄영섭(嚴英燮), [[태평양 전쟁]] 중 전사하였다.
** 아들 : 엄종섭(嚴宗燮)
** 아들 : 엄항섭(嚴恒燮)
** 딸 : [[엄정섭]](嚴貞燮, [[1920년]] ~ [[1995년]] [[2월 21일]], 교육자, 진명학원 이사장)
* 8촌 종형 : [[엄주익 (1872년)|엄주익]](嚴柱益, [[1872년]] [[6월 26일]] ~ [[1931년]] [[4월 16일]])
== 기타 ==
신용과 정직을 생활 신념으로 삼았으며, 그는 평소 학생과 청년들에게 말하기를 "사소한 약속을 하찮게 여기는 자와는 상종하지 말라", "작은 것을 하찮게 여기는 자를 경계하라"고 하였다. 또 "시간 약속을 안 지키는 사람과는 결코 상대하지 말라" 하였고, "언제나 남의 입장과 내 입장을 바꿔 놓고 생각하라"고 하였다.
== 각주 ==
== 같이 보기 ==
{{Col-begin}}
{{Col-2}}
* [[일본육군사관학교]]
* [[진명여자고등학교]]
* [[진명여자중학교]]
* [[엄준원]]
* [[순헌황귀비]]
* [[영친왕]]
{{Col-2}}
* [[태평양 전쟁]]
* [[한국 전쟁]]
* [[민원식]]
* [[엄주익 (1872년)|엄주익]]
* [[엄진일]]
{{Col-end}}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6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분류:대한제국의 황족]][[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활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민원식]][[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63년) 당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 육군 준장]][[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영월 엄씨]][[분류:병사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