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정보
| 이름 = 양세웅
| 출생일 = [[1906년]] [[12월 11일]]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국적 = {{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분야 = 영화촬영
}}
'''양세웅'''(梁世雄, 일본식 이름: 三原世雄[{{서적 인용
|저자=편집부
|제목=한국영화사연구
|날짜=2003-02-03
|출판사=새미
|출판위치=서울
|id={{ISBN|8956280614}}
|페이지=175쪽}}], [[1906년]] [[12월 11일]] ~ ?)은 [[한국]]의 영화 촬영기사이다.
== 생애 ==
[[부산광역시|부산]] 출신으로 [[부산제이공립상업학교]]를 졸업했다. [[1924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동아키네마]]에 입사한 뒤 촬영을 전문적으로 공부했다.[{{뉴스 인용
|url = http://www.cine21.com/Magazine/mag_pub_view.php?mm=005002006&pageNo=16&mag_id=2528
|제목 = `새로운` 조선영화를 꿈꾸다...이규환 감독편 上
|출판사 = 씨네21
|저자 = (정리) 안선주
|날짜 = 2001-06-13
|확인날짜 = 2008-07-02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0929092446/http://www.cine21.com/Magazine/mag_pub_view.php?mm=005002006&pageNo=16&mag_id=2528
|보존날짜 = 2007-09-29
|깨진링크 = 예
}}]
[[1932년]]에는 동아키네마에서 카메라맨으로 승진하여, 《눈물의 빛》, 《두 개의 유방》, 《그 밤의 노래》 등을 촬영했다. 양세웅은 일본에서 정식 촬영기사로 활동한 최초의 조선인이었다.
[[1935년]]에 귀국하여 일본에서 함께 공부한 [[박기채]] 연출의 《춘풍》 촬영을 맡아 조선 영화계에 첫 선을 보였다. 이때 [[경성촬영소]]의 [[김학성 (1913년)|[김학성]]이 양세웅의 조수로 촬영에 참여했다. [[1930년대]] 중반 [[발성 영화]] 시대 개막과 함께 등장한 세대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촬영기사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은데다 일본 영화계의 카메라맨 경력까지 갖추고 있어 각광받는 존재였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제작된 친일 영화에 촬영 담당으로 참여했다. 친일 영화 시대를 예고하는 《군용열차》(1938)를 시작으로, [[일본군]] 공군을 그린 어용 영화 《우러르라 창공({{llang|ja|仰げ大空}})》(1943), 세미다큐멘터리 형식의 친일 영화 《감격의 일기({{llang|ja|感激の日記}})》(1945), 징용 나간 남편을 참고 기다리는 여성을 통해 전시 지원을 강조한 《우리들의 전쟁({{llang|ja|我れらの戰爭}})》(1945)을 차례로 촬영했다.
친일 단체 [[조선영화인협회]]에서는 임원을 맡기도 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연극/영화 부문에 포함되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는 [[조선영화건설본부]]에 가입하여 뉴스 영화를 촬영하였고, [[미군]] 502부대 소속 카메라맨이 되었다. 어린이용 영화로 많은 인기를 모은 《똘똘이의 모험》(1946) 등을 촬영하기도 했다. [[한국 전쟁]] 중 납북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전쟁 납북사건 자료원, [http://www.kwari.org/sub2a_info.php?num=197084 양세웅 (梁世雄)]]
마지막 작품은 [[1949년]] 고향인 부산에서 찍은 《해연(海燕)》이다. 처제인 김영희가 조선영화주식회사에서부터 편집기사로 활동하였고, [[1960년대]]에 [[신필름]] 편집기사를 지낸 양성란은 양세웅의 딸이다.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강옥희,이영미,이순진,이승희
|제목=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날짜=2006-12-15
|출판사=소도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90626264}}
|페이지=205~206쪽}}
== 각주 ==
== 외부 링크 ==
* {{KMDb 사람|00010545|양세웅}}
* {{IMDb 이름|1641414|Se-woong Yang}}
[[분류:1906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0세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영화 촬영기사]][[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촬영기사]][[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납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