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운(沈日運, [[1596년]] ~ ?년 [[5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 [[명종]]~[[선조]]때의 재상인 [[심수경]](沈守慶)의 서자였다. [[심수경]]의 비첩(婢妾) 소생 서자였지만 그는 [[허통]]을 통해 [[과거 제도|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고, 사마시와 문과에 급제했다. [[중종]] 때의 재상인 화천부원군 [[심정]]에게는 증손자가 된다. 같은 서출인 친형 [[심일준]]은 [[1641년]](인조 18) 신사 [[과거 제도|정시문과]]에 병과 23위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다. [[허통]]하고 과거 시험을 본 뒤에도 반대를 이겨내고 [[이원익]](李元翼)의 도움으로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 그의 관직진출 사례는 이후에 [[서자]], [[서얼]]들이 [[조선]]조정에 허통을 요구하는 근거가 되었다. 자(字)는 경원(景遠), 본관은 [[풍산 심씨|풍산]](豊山)이다. == 생애 == 나중에 독립하여 [[전라북도]] [[장연]](長淵)에서 생활하였으며, 허통(許通)을 통해 [[사마시]]에 응시할수 있었다. [[1624년]](인조 2) 갑자(甲子) [[과거 제도|식년사마시]](式年司馬試) 생원에 3등(三等) 36위로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고, [[1633년]](인조 11) [[과거 제도|증광문과]](增廣文科) 병과(丙科) 23위로 급제하였다. 그가 생원시와 문과에 합격할 당시까지도 [[심수경]]의 비첩이었던 그의 생모는 생존해 있었다. 그는 [[허통]]을 하고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했지만 서자라는 이유로 벼슬길이 막혔다. 이때 [[이원익]]이 서얼이라도 과거 시험에 합격해 등과한다면 청직(淸職)을 제외한 관직으로의 진출은 허락하자고 건의, [[이원익]]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관직에 나아갈 수 있었다. 그의 관직 진출은 사례가 되어 이후에도 [[서자]], [[서얼]]들 및 그 후손들의 관직허용에 관한 상소가 있을 때마다 심일운의 관직 진출과 신희계(辛喜季), 김굉(金宏), 이경선(李慶善) 등의 관직 진출도 같이 인용되었다.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으로 있다가 [[1635년]](인조 13년) [[6월 24일]] 조봉대부(朝奉大夫) 행 해미현령(行海美縣令)에 임명되었다. [[1638년]](인조 16년) 해미현령으로 함경도에 역변이 발생하자 대사간 최혜길, 정언 박길응 등이 장단부사 신절(申水+節), 배천군수(白川郡守) 조희인(曺希仁), 해미 현감(海美縣監) 심일운(沈日運)과 같은 사람은 하루도 관직에 있게 해서는 안 되니 모두 파직을 명하시고 그 후임은 해조로 하여금 택하여 보낼것을 청하여 인조하 윤허, 파직되었다. [[1645년]] [[6월 22일]] [[은율]][[현감]](殷栗縣監)을 지냈다. [[1649년]] [[12월 6일]]의 [[전라북도]][[암행어사]]가 올린 근무성적표에서 보통이라는 평을 받아 탄핵되지 않았다. 이후의 행적은 미상이다. 사망년대는 미상이며 사망일은 [[5월 18일]]이다. 그의 사후에도 영조 때부터 고종 때인 [[1874년]](고종 11년)까지 서자, 서얼 및 서얼의 후손들이 벼슬길을 열어달라는 상소를 올릴 때마다 그의 관직진출이 번번히 언급, 인용되었다. 후처 담양류씨의 묘는 [[장연군]] 금동 원당산(金洞 院堂山) 자좌(子坐)에 매장되었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심수경]](沈守慶, [[1516년]] [[12월 20일]] ~ [[1599년]] 윤 [[4월 20일]]) ** 이복 적형 : 심일장(沈日將, [[1536년]] ~ [[1597년]]) *** 적조카 : 심관(沈關, [[1569년]] ~ [[1608년]]) ** 이복 적형 : 심일취(沈日就, [[1547년]] ~ ?) - 이조참판 * 서모 : 이름 미상 ** 이복 서형 : 심일매(沈日邁) * 어머니(생모) : 비첩 출신 ** 친 형 : [[심일준]](沈日遵, [[1590년]] ~ [[1659년]] [[2월 26일]]) * 부인 : 함양여씨, 친정아버지 미상 * 부인 : 담양류씨(潭陽劉氏), 후보군 류영(柳英)의 딸 ** 아들 2 == 기타 == 이복 형인 심일장(沈日將)과의 나이차이는 60세, 심일취(沈日就)와의 나이차이는 49세가 된다. 그밖에도 똑같은 서얼이었지만 나이차이가 나는 이복 서형 심일매(沈日邁)도 있었다. 같은 서출인 이복 형 심일매는 그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세 명의 딸을 두고 있었다. 아버지 [[심수경]]의 장남인 심일장의 친손자 심로(沈广+魯,1590~1664)와 연령대가 비슷했다. 같은 서출인 이복형 심일취는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공신|위성]][[원종공신]] 1등(衛聖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 관련 항목 == * [[심수경]] * [[심정]] * [[심사손]] * [[심일준]] == 참고 문헌 == * 승정원일기 {{토막글|한국 사람|조선}} [[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