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 국무총리]] [[분류:칠곡군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분류:대한민국의 장관]] [[분류:1920년 출생]] [[분류:2007년 사망]]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include(틀:역대 학교법인 국민학원 이사장)] 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183%2F20070426113056198062922.jpg 申鉉碻 1920.10.29~2007.04.26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고위행정관료, 정치가, 경제인, 기업인. 경상북도 칠곡 출생이고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호는 간호(干湖)이다. 최규하 정부의 총리, 삼성물산 회장을 역임했다.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후 일본 제국 상무성 근무를 시작으로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고위공직자로 출세가도를 달렸으며, 이후 정치인과 기업인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했다. 대한민국 정재계를 아우르는 'TK인맥의 대부'라는 평가가 있다. 장남 신철식도 [[행정고시]]에 합격한 뒤 [[기획재정부]]와 [[국무총리실]]에서 경제관료로 활동했다. == 생애 == 1920년 10월 29일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태어났다. 대구고등보통학교(현 [[경북고등학교]])를 거쳐 1943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를 졸업한 뒤, 지금의 행정고시 격인 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조선인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일본 도쿄의 [[경제산업성|상공성]]에서 근무하였다. 1945년 7월 일본 군수성의 군수 관리감리국 파견명령을 거부하고 조선으로 돌아갔다. 후에 민족문제연구소가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서도 군수감리국 근무를 이유로 등재 언급이 나왔다가, 유족들의 이의신청에 따라 조사한 결과 실제로는 취임하지 않고 조선으로 돌아갔다는 일본측 자료가 발견되면서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1954년 관직에 복귀하였다. 39세 때인 1959년 부흥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난 뒤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어 2년여 동안 옥살이를 하였다. 1968년부터 몇 년 동안 기업에 몸 담고 있다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군위군]]-[[성주군]]-[[칠곡군]]-[[구미시|선산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제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창환(정치인)|김창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야 [[무소속]] [[김현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한편, 1975년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장관에 임영되었고, 1978년 [[남덕우]]의 뒤를 이어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현 [[기획재정부]])장관이 되었다. 1979년 [[10.26 사태]]가 일어날 때는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회의실에서 각료들이 모여 있던 가운데 [[박정희]] 유고를 비밀에 부치고 계엄령을 선포해야 한다고 주장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박정희의 상황을 꼬치꼬치 따지는 모습을 보였다. [[12.12 군사반란]] 때는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수사해야 한다며 결재를 받으려는 [[전두환]] 국군보안사령관에게 우선 [[노재현]] 국방부장관의 결재부터 받으라고 호통을 쳤다. [[12.12 군사반란]] 직후 이루어진 개각에서 신현확은 정식으로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 [[TK]](대구-경북) 출신이었고 유신체제를 합리화하며 보수층의 환심을 사는 등 일련의 독자적 정치기반을 닦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그래서 신군부와 결탁하여 창당을 추진한다는 등의 정치풍문이 나돌기도 하였으며, 당시 민주화 세력은 신현확과 전두환을 한통속으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1980년 4월 당시 전두환 국군보안사령관이 중앙정보부장직을 겸하려 하자 이에 반대하였다. 이에 고딩직속후배인 노태우는 도와달라고 싹싹 빌다가 귀싸대기를 쳐맞았다고 한다. 1980년 5월 17일([[5.17 내란]])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한 상황에서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결의한 국무회의를 중앙청에서 주재하였다. 그 다음날 신군부의 발호를 막지 못한 것에 책임을 지고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헌법개정심의위원장을 맡아 제5공화국 헌법을 주도하였으며, 1981년 국정자문위원, 1983년 한일협력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삼성그룹]] 경영권이 [[이건희]] 회장으로 넘어갈 때인 86년부터 91년까지 삼성물산 회장 겸 삼성미술문화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 매체에서 == === 드라마 === *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 : 故 [[김진해]] *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 : [[박규채]] *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 : [[신충식]] (신충식이 연기한 신현확) === 영화 === [[그때 그 사람들]]에서는 故 [[서희승]][* 배우 [[서재경]]의 아버지. 2010년 암으로 별세.]이 분했다. 비록 짧은 시간 출연하긴 했지만, 김재규가 "[[소련]]에서는 브레즈네프가 죽고도 1주일로 비밀에 붙였어요.[* 명백한 오류다. 브레즈네프는 10.26이 벌어진 지 3년 후인 1982년에 죽었다. 즉, 극중 시점에는 멀쩡히 살아있었다.] 이틀 딱 사십팔 시간이면 돼요. 그런데 우린 단 이틀도 보안이 안된단 말이에요?"라고 하면서 박정희의 유고를 덮자고 우기자 '''"거기서 소련 얘기가 왜 나옵니까? 그것도 빨갱이 잡는 [[국정원장|정보부장]]이"'''라고 태클을 걸면서 [[신스틸러]] 역할을 톡톡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