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 이름 = 신팔균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e/%EC%8B%A0%ED%8C%94%EA%B7%A0.JPG/225px-%EC%8B%A0%ED%8C%94%EA%B7%A0.JPG | 그림설명 = | 출생일 = {{출생일|1882|5|19}}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사망일 = {{사망일|1924|7|2}} | 사망지 = | 국적 = [[조선]] | 별칭 = | 경력 = | 학력 =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 직업 = [[독립운동가]] | 배우자 = | 상훈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웹사이트 = }} '''신팔균'''(申八均, [[1882년]] [[음력 5월 19일]] ~ [[1924년]] 양력 [[7월 2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다. '''[[신동천]]'''(申東川)이라고도 한다. [[충청북도|충북]] [[진천군|진천]](鎭川) 출신이다. == 생애 == === 출생 === [[한성부]]에서 대대로 무관 벼슬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조부인 [[신홍주]]와 할아버지인 [[신헌]], 아버지 [[신석희]]가 모두 고위 무관이었다. 특히 [[병조판서]]를 지낸 신헌은 [[강화도 조약]]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협상, 체결한 인물이다. === 무관 생활 === 이런 집안에서 자랐기에 신팔균도 자연스럽게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성장하였고, [[1900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교, 제2기로 졸업한 뒤 [[1902년]] [[육군]] 참위로 임관했다. [[1904년]] 부위, [[1907년]]에 정위로 진급, 강계진위대(江界鎭衛隊)에 근무하였다. === 비밀결사 가담 === [[1907년]] 8월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당하자 신팔균은 군 복무를 그만두고 낙향하여 향리인 진천군 [[이월면]](梨月面) 노원리(老院里)에서, 이월청년학교(梨月靑年學校)를 설립하였다. [[1909년]] [[안희제]], [[서상일]] 등이 조직한 비밀 결사 [[대동청년당 (1909년)|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에 가담하면서 독립 운동에 뛰어들었다. 경남 동래에서 결성되어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된 대동청년당에는 [[윤세복]], [[김동삼]], [[이원식]](李元植), [[김사용]](金思容), [[윤병호]](尹炳浩) 등 80여 명이 참가하여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활동을 하였다. === 무장투쟁 ===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만주]]로 망명했고, [[연해주]] 등 여러 곳을 살펴보다가 국내에서 [[신민회]] 회원들이 다수 망명해온 [[서간도]]에서 활동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서로군정서]]와 [[신흥무관학교]] 등 서간도의 핵심 독립 운동 기지에 참여하였고, 대한제국 장교 출신의 경험을 살려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면서 많은 독립 운동가들을 양성했다.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역사비평사, 2001) 중 제4장 독립운동의 불꽃, 만주벌판에 타오르다. 이무렵 그는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임관했다가 만주로 탈출해온 [[지청천]], [[김경천 (1888년)|김경천]]과 만나게 되었는데, 마음이 통한 세 사람은 '하늘 천(天)'자를 넣어 새 이름을 지어 가졌다고 한다. 신팔균은 '동천(東川)'이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세 사람을 묶어 '남만삼천(南滿三天)'이라고 불렀다.《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9051742381&code=210000 다시쓰는 독립운동列傳 Ⅲ 러시아편-5. 시베리아 항일영웅 김경천] (2005.9.5) [[1919년]] [[정안립]](鄭安立) 등 39명의 동지들과 함께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무오독립선언]] 연서자 명단에는 이름이 빠져있다. [[1920년]] [[경신참변]] 이후 남만주 지역으로 이동한 뒤, [[1922년]] 6월 서로군정서와 [[대한독립단]], [[광한단]] 등 8단9회(八團九會)의 여러 무장독립운동 단체들이 집결하여 군정부 성격인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로 통합되고, 2개월 뒤 다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가 설치되자 대한통의부 의용군의 사령장(司令長)과 군사부 위원장을 맡았다. 대한통의부 의용군은 국내로 진공하여 [[평안북도]] 등에서 일본 경찰과 전투를 벌이는 등의 전적을 쌓았다. 내부 이념적 갈등으로 [[의군부]](義軍府)가 분리되고 [[참의부]](參義府)로 이탈하여 세력이 약해진 대한통의부를 [[현익철]](玄益哲)·[[김창환 (1872년)|김창환]](金昌煥) 등과 힘을 모아 재건,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최후 === [[1924년]] 7월 2일 독립군의 훈련지인 흥경현 왕청문 이도구(興京縣 旺淸門 二道溝) 밀림 속에서 무관학교 생도와 독립군 합동군사훈련 중, 중국인 마적의 기습 공격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도 [[일본 제국|일제]]가 아닌 중국인들과 싸우다 전사하는 것을 억울하게 생각했다 하나, 이들 마적단의 기습은 일제의 사주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 사후 == *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남편이 전사한 후 부인 [[임수명]]도 자결하였는데,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 가족 == * 부인 임수명(1894~1924) ** 딸 신계영(?~1924) ** 아들 신현충 ** 아들 신현택 ** 아들 신현길(?~1923) ** 아들 ? == 참고자료 ==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http://narasarang.mpva.go.kr/data/downloadFile.asp?filename=monthhero\199405.hwp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신팔균]{{깨진 링크|url=http://narasarang.mpva.go.kr/data/downloadFile.asp?filename=monthhero%5C199405.hwp }}, 1994년 * [[동아일보]] 1924년 8월 10일자 '신팔균전사후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4081000209202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4-08-10&officeId=00020&pageNo=2&printNo=1443&publishType=00020' == 각주 == {{1994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824년 죽음]][[분류:작전 중 사망자]][[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분류:서로군정서]][[분류:통의부]][[분류:육군무관학교 동문]][[분류:평산 신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