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헌'''(愼思獻, 1520년 ~ ?)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성백(誠伯), 아명(兒名)은 '''신충헌'''(愼忠獻)이고, 본관은 [[거창 신씨|거창]](居昌)이다. [[단경왕후]] 신씨의 친정 조카이자, [[연산군]]의 왕비였던 폐비 신씨의 친정 종손자가 도니다. [[신승선]]과 [[신수근]]의 후손이고, 외가로는 [[임사홍]]의 외증손자가 된다. 또한 증조모를 통해 [[세종대왕]]의 외5대손이 된다. [[한성부]] 출신이다. 초기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음서]]로 관직에 올라 [[찰방]](察訪)을 역임했고, [[진사]]시에 합격했다. 이후 다시 [[음서|음직]]으로 [[현감]]을 지내다가 [[1558년]](명종 13년) [[과거 제도|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지만, [[과거 시험]] 문제를 시험 감독관인 [[정사룡]](鄭士龍)에게 뇌물을 주고 답을 미리 알아냈다가, 시험의 장원급제자의 문제가 공론에 오르면서 그가 뇌물을 주고 답안을 미리 알아낸 것도 밝혀져 문제가 되기도 했다. 곧 파방되었지만, [[조선 명종|명종]]비 [[인순왕후]]의 외삼촌 [[이량]](李樑)의 심복이 되면서 이듬해 다시 과거 복과조치 되었다. 이후 정랑, 성균사예, [[사간원]]사간, 봉상시부정 등을 지내며 [[이량]]의 심복으로 활동하다가 [[1563년]](명종 18) [[이량]]이 사림을 제거하려다가 실패하면서, 그해 [[8월]] [[심의겸]], [[기대항]] 등의 공격을 받고 [[이량]], [[윤백원]](尹百源), [[이감 (조선)|이감]], [[고맹영]] 등과 함께 6간으로 몰려 몰락하였다. [[1563년]] [[8월]] [[제천시|제천]]으로 유배되었다가 두달 뒤 [[거제도]]로 이배도었다. 이후의 행적은 미상이며, [[양주군|양주]] [[장흥면]] 삼상리에 매장되었다. == 생애 == 1520년(중종 15)에 [[한성부]]에서 태어났으며 생일은 미상이다을 지낸 [[신승선]](愼承善)의 증손이고, 할아버지는 [[신수근]](愼守勤)이며 [[연산군]]의 부인 [[거창군부인 신씨]]는 그의 대고모가 되며, 그의 또다른 대고모는 [[세종대왕]] 아들 [[광평대군]] 여의 손자였던 회원군 쟁의 아들인 승평부정 형에게 시집갔다. [[조선 중종|중종]]의 첫 부인으로 [[중종반정]] 때 폐위된 [[단경왕후]] 신씨는 그의 고모가 된다. 아버지는 사헌부장령, 행령(行義盈庫令) 등을 지낸 신홍조(愼弘祚)이고, 어머니는 풍천임씨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갑자사화]],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죽은 [[임희재 (1472년)|임희재]](任熙載)의 딸이다. [[임사홍]]은 그의 외증조부였다. 자는 성백(誠伯), 다른 이름은 충헌(忠獻)이다. 그는 증조할머니 [[중모현주]] 쪽으로는 [[세종대왕]]의 외5대손이 된다. 그러나 [[1506년]]의 [[중종 반정]]으로 그의 조부 [[신수근]], [[신수영]] 등이 반정 참여를 거부하다가 모두 살해당하고, 그의 집안은 몰락했지만 그의 아버지 신홍조와 그는 [[연좌]]되지 않았다. 그의 외가 역시 외증조부 [[임사홍]]이 [[중종 반정]] 당시 처형당했다. 부인은 풍양조씨로, 당대의 저명한 시인이자 [[명나라]]까지 시로서의 명성을 알린 조인규(趙仁奎)의 딸이다. 장인 조인규는 승지, [[참의]], [[한성부]]좌윤, 우윤 등을 역임한 관료이기도 했다. 그의 초기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후 [[음서 제도|음서]](蔭敍)로 관직에 올라 [[찰방]](察訪) 등을 역임했으나 얼마 뒤 사퇴하였다. [[1546년]](명종 1) 식년사마시(式年司馬試) 진사에 3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다시 [[음서 제도|음직]](蔭職)으로 현감(縣監)을 지내다가 1558년(명종 13) [[과거 제도|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때 신사헌은 과거 시험 시관(試官) 중의 한 사람인 [[정사룡]](鄭士龍)에게 뇌물을 바쳐 시제의 답을 미리 알고서 시험에 응시하여 급제하였다. 동시에 이때 [[과거 제도|별시 문과]]의 [[장원 (시험)|장원]]급제자 오운기(吳雲驥)의 전시 시험 답안지 내용이 문제가 되어, [[대간]]이 이를 논계, 파방(罷榜)을 주장하여 물의가 분분하였는데, 오운기의 답안지를 조사 과정에서 그가 시험 직전, 시험관인 [[정사룡]]에 뇌물을 바치고 미리 과거 시험의 답안지를 알아낸 것 역시 밝혀지면서 문제가 되었다. 결국 [[1558년]](명종 13년) [[9월]]부터 대간과 [[사헌부]] 등의 여러 차례 논계와 규탄으로 공론(公論)이 조성되면서 [[정사룡]]은 한때 파직되고, 신사헌은 과거급제가 취소되었으며 곧 유배되었다.그러나 어디로 유배되었는지는 실록에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해 [[12월]] 아들 신희(愼喜)가 아버지의 억울함을 상소하였다. [[조선 명종|명종]]이 [[윤원형]]을 견제할 요량으로 [[인순왕후]]의 친정 외삼촌이자 부계로는 10촌인 [[이량]](李樑)을 찾아가 그의 심복이 되면서 [[1558년]] [[12월]] 왕이 [[승정원]]에 그가 억울하게 삭방되었다고 전교를 내렸다. [[1559년]] [[3월]] [[이량]] 등의 힘으로 그는 과거 급제에 과거 급제자에 복과(復科)되었다. [[사헌부]]가 그의 복과를 취소할 것을 여러번 요청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어 그해 [[3월 29일]] 아들 신희는 다시 아버지의 억울함을 [[조선 명종|명종]]에게 상소로 호소했고, 이 상소가 받아들여지면서 그의 복과가 확정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나 곧 정랑(正郞)이 되고, 그 뒤 그는 이량의 심복으로 활약하면서이후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사간원]]사간 등을 역임했다. 그는 [[윤백원]] 등과도 가깝게 지냈고, 한때 [[이조]][[정랑]]으로 있던 [[이양원]]을 미워하여 남몰래 그를 내쫓기게 하고 [[강극성]]이 이조정랑이 되게끔 하였다. 이후 [[1561년]](명종 16) [[10월]] 성균관사예, [[1563년]](명종 18년) [[봉상시]]부정(奉常寺副正)에 임명되었으나, 그해 이량이 [[사림파]]를 제거하려다가 이를 알게 된 [[심의겸]]의 사주로, [[기대항]]의 탄핵으로 이량이 몰락하였다. 그 또한 곧 [[기대항]]의 탄핵, 공격을 받게 되었다. 곧 여론이 조성되어 이량이 실세하자 [[1563년]] [[8월]] [[이량]], [[고맹영]], [[이감]], [[윤백원]], 김백균 등과 함께 6간(六奸)으로 몰려 좌천, 해직될 때 그도 해직되고, [[충청북도]] [[제천시|제천]]으로 유배되었다가 이 해 [[10월]] [[거제도]]로 이배되었다. 한편 그의 외손자는 [[광해군]] 때의 [[북인]]과 [[소북]]의 지도자였던 [[남이공]] 등이다.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사망년대와 사망일자는 모두 미상이다. === 사후 === 그의 행적에 대해서도 단편적인 기록만이 전할 뿐 정확한 행적은 전하지 않는다. 묘소는 [[경기도]] [[양주시|양주군]]에 아버지 신홍조 내외의 묘소 아래에 부인 풍양조씨와 쌍분으로 매장되었다. 인근 [[장흥군|장흥면]] 에는 [[신승선]]과 [[신수근]] 등의 묘소가 있다. == 기타 == [[조선 성종|성종]]과는 다중으로 인척관계에 해당되었는데, 그의 대고모가 [[조선 성종|성종]]의 아들 [[연산군]]의 부인 [[폐비 신씨]]로서 성종의 며느리였고, 친 고모는 [[단경왕후]]로 성종의 다른 아들 중종의 부인이자 성종의 며느리였다. 그의 외할아버지 임희재의 형 임광재(任光載)는 성종의 사촌여동생이자 [[조선 예종|예종]]의 딸 [[현숙공주]]와 혼인했고, 임희재의 동생이자 그의 외종조부 [[임숭재]](任崇載)는 성종의 딸 [[휘숙옹주]]와 혼인하였다. 따라서 그의 친가, 외가로도 모두 성종과 인척, 사돈간이 된다. == 관련 항목 == * [[이량]] * [[정사룡]] * [[신수근]] * [[신승선]] * [[중모현주]] * [[임사홍]] * [[임희재]] * [[임숭재]] == 참고 문헌 == * 중종실록 * 명종실록 * 국조방목 * 사마방목 * 대동야승 * 용화총재 * 연려실기술 * 국조방목 == 외부 링크 ==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0512027003 儒林 (602)-제5부 格物致知 제3장 天道策(38)] 서울신문 2006.04.07. * [http://shindonga.donga.com/3/all/13/746817/1 근원은 놔두고 가지만 쳤으니…] 신동아 2016년 9월호 == 각주 == {{각주}} {{토막글|조선|정치인}} [[분류:1520년 태어남]][[분류:음서 제도]][[분류:조선의 문신]][[분류:음서]][[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연좌제]][[분류:양주시]][[분류:조선 명종]][[분류:거창 신씨]][[분류:조선 성종]][[분류:부정 행위]][[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