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 정보
|이름= 승효상
|사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d/Shs-s.JPG/220px-Shs-s.JPG
|출생일= [[1952년]] [[10월 26일]]
|출생지= [[부산광역시]]
|사망지=
|사망일=
|거주지= [[서울특별시]]
|국적= {{KOR}}
|별명=
|학력=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직업= [[건축가]]
|사조 =
|대표작 = 《수졸당》 (1993년),
《노무현 대통령 묘역》 (2009년)
|수상 =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en: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미국 건축가협회 명예상]],
대한민국예술문화상
|영향줌 =
|영향받음 = [[김수근 (건축가)|김수근]], [[:de:Adolf Loos|아돌프 로스]]
|서명=
|웹사이트=[http://www.iroje.com/ 이로재]
}}
'''승효상'''(承孝相, [[1952년]] [[10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 미술사학자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1993),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2010) 등을 설계하였다.
== 생애 및 경력 ==
승효상은 [[부산광역시|부산]]에서 태어나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당시 경남고등학교는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고라 불리었으며 승효상이 고교를 입학 할 때 수석 입학자는 현재 대한민국 제 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이었다. 고교 시절 초기에는 '문과에 문재인, 이과에 승효상'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학업에 두각을 나타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1975년 졸업생까지는 건축공학과였으며, 1975년에 건축학과로 학과명을 바꾸었다.]에서 공부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74년]] 부터 [[1980년]] 까지 [[김수근 (건축가)|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에서 일하면서 마산 양덕성당, 경동교회 등을 설계하였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건축과 세상문제의 사이에서 방황하던 그는 잠시 2년 간의 유학길에 올라 [[오스트리아]] [[빈 공과 대학교]]에서 수학하였고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 '마차트 뫼비우스 및 파트너 (Marchart Moebius und Partner)'에서 일하였다. 그러면서 [[:de:Adolf Loos|아돌프 로스]](1870~1933)의 [[:de:Looshaus|로스 하우스]]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3&contents_id=8297 네이버캐스트 - '빈자의 미학'이라는 철학을 가진 건축가 승효상]] 그리고 다시 귀국하여 [[1982년]] 부터 [[1989년]] 까지 공간연구소 대표이사직을 맡는다. [[1986년]]에는 김수근이 승효상과 장세양 두 제자에게 공간연구소를 맡긴다는 유언과 함께 30억의 빚을 남기고 타계한다.
그는 [[1989년]]에 공간연구소의 빚을 모두 청산하고 독립하여 건축사무소 이로재(履露齋)[[http://www.iroje.com www.iroje.com]] 를 개설하였다. 그리고 [[1990년]]에는 [[민현식]] 등과 함께, 학연을 지양하고 자정 기능을 회복하는 한국 건축의 새로운 담론을 요구하는 젊은 건축가 14명의 모임인 '4.3그룹'을 결성하였다.['4.3'그룹은 1990년 4월 3일에 [[곽재환]], 김병윤, 도창환, 동정근, 백문기, 방철린, 승효상, 우경국, 이성관, 이일훈, 이종상, 조성룡 등 12명의 인원으로 결성되었고, 그 해 11월에 김인철, [[민현식]]이 가입하면서 모두 14명이 되었다.][{{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2232149495 |제목=20년 전, 건축계 4·3그룹을 아시나요? |출판사=경향신문|저자=백승찬 기자 |날짜=2014-12-23}}] 이 시기 그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유홍준]]의 자택인 '수졸당'이 있는데 이것은 이후 그의 평생의 건축 철학이 되는 '빈자의 미학'을 구현한 첫 작품으로 꼽는다.[{{뉴스 인용|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103023002
|제목=(김문이 만난사람) '빈자의 미학' 20년 건축가 승효상 |출판사=서울신문|저자=김문 기자 |날짜=2013-01-03}}] 그는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은 다시 동양의 비움을 찾고 있는데, 우리는 역설적으로 그러지 못하다고 비판하면서, 빈자의 미학이란 "가난한 사람의 미학이 아니라 가난할 줄 아는 사람의 미학"이며 "악다구니하는 한갓 조형물과 건조물로 가득 차고 만 근대 한국이 옛 종묘와 같은 어떤 형태의 사유와 모임도 가능하게 하는 '비움의 아름다움'을 회복해야한다"고 말하였다.[[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721782&ref=S KBS 양영은앵커의 인터뷰 '선물' 23회 승효상, 건축이란 땅의 이야기를 듣는 것]] 그리고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는 [[봉하마을]]의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설계하고 조성하였는데, 여기서도 화려한 묘역이 아닌, 추모글이 다 닳아 없어지고 기억만 남는 '비움의 설계'를 추구하였다.[{{뉴스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8041742081
|제목=노前대통령 묘역 공간디자인 한 건축가 승효상 |출판사=경향신문 |저자=윤민용 기자 |날짜=2009-08-04}}][{{웹 인용 |url=http://www.knowhow.or.kr/popup/pop_architect.html |제목=설계자 승효상이 생각한 대통령 묘역 - 노무현 재단 |확인날짜=2015-01-1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08042211/http://www.knowhow.or.kr/popup/pop_architect.html |보존날짜=2016-04-08 |깨진링크=예 }}] 또한 해외에서는 베이징 장성호텔, 아부다비 문화지구 전시관, 쿠알라룸푸르 복합빌딩 등을 디자인했다.[정대하 기자,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13845.html 건축가 승효상 ‘땅과 건축’ 강연] 《한겨레뉴스》, 2013년 12월 3일 작성. 2014년 8월 23일 확인.] 현재 그의 작업은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있다.
그러는 동안 후학 양성을 위해 [[1994년]] 부터는 다음 세대의 건축학도들에게 필요한 '총체적이며 근원적인 사고'의 함양을 위해 [[이종호 (건축가)|이종호]] 등과 함께 포럼식의 '서울 건축학교 (SA)'를 운영하였다.[{{뉴스 인용|url=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43 |제목=창의적 일꾼 키울 서울건축학교 정식 출범 |출판사=시사저널 |저자=이문재 기자 |날짜=1997-06-26}}][[http://www.ihalla.com/read.php3?aid=1399437662462513036 건축가 승효상씨 제주대서 초청 특강] 《한라일보》, 2014년 5월 7일 작성] [[1998년]]에는 [[:en:University of North London|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 출강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가르친 바 있다.
그는 김수근 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으며 [[:en: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미국 건축가협회]]에서 명예상(Honorary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또한 건축가로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http://news.donga.com/3/all/20140403/62220917/1 건축가 승효상이 말하는 ‘貧者의 미학’] 《동아일보》2014년 4월 3일 작성. 2014년 8월 23일에 확인.]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한국정부는 그의 한국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그에게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으며, [[2008년]] [[베네치아 비엔날레|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4년]]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선임되어 활동하고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9102115105&code=620101 건축가 승효상, 서울시 첫 '총괄건축가'로 임명] 《경향신문》, 2014년 9월 11일]
[[문재인 정부]]의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작품==
*<시안가족추모공원> (2014년)
*《수졸당》 (1993년)
* 《수백당》 (1998년)
* 《웰콤시티》 (2000년)
*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 (2003년)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7/26/2013072602120.html 건축가 승효상의 주요 작품 목록] 《조선비즈》 2013년 7월 27일 작성. 2014년 8월 23일 확인.]
* 《한국DMZ평화생명동산》 (2005년)
* 《대전대 30주년 기념관》 (2008년)
* 《노무현 대통령 묘역》 (2009년)
* 《지수화풍 360° 컨트리클럽》 (2009년)
* 《퇴촌주택》 (2010년)
* 《명필름 파주사옥》 (2013년)
* 《현암》(2012년)
=== 저서 ===
* [[1996년]]《빈자의 미학》, 미건사, {{ISBN|9788975410154}}
* [[1999년]]《지혜의 도시 지혜의 건축》, 서울포럼, {{ISBN|8985734520}}
* [[2001년]] 《승효상 작품집》, 건축과 환경, {{ISBN|898678002X}}
* [[2004년]] 《건축, 사유의 기호》, 돌베개, {{ISBN|9788971991893}}
* [[2005년]] '''승효상''', 정기용, 조성룡, 김인철, 김영섭, 민현식, 이종호, 김준성, 김종규, 이일훈, 김영준 《건축이란 무엇인가 - 우리 시대 건축가 열한 명의 성찰과 사유》, 열화당, {{ISBN|978-89-301-0171-4}}
* [[2009년]] 《지문 - 땅 위에 새겨진 자연과 삶의 기록들, LANDSCRIPT》, 열화당, 9788930103619
* [[2010년]] 《노무현의 무덤 -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 눌와, {{ISBN|9788990620453}}
* [[2012년]]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컬처그라퍼, {{ISBN|9788970596525}}
* [[2013년]] '''승효상''', 홍동원 《모용공간》, 글씨미디어, {{ISBN|9788998272005}}
* [[2015년]] 《'''승효상''' 도큐먼트》, 열화당, {{ISBN|9788930104968}}
== 참고 ==
== 외부 링크 ==
* [http://www.iroje.com 이로재 종합 건축사 사무소]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83&contents_id=8297 네이버 캐스트 - 건축가 승효상]
* [https://web.archive.org/web/20161117144913/http://www.vmspace.com/2008_re/kor/sub_emagazine_view.asp?category=architecture&idx=10507 2009년 승효상 인터뷰: 우리나라 건축의 목적은 건물이 아닌 공간 형성 《SPACE》]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건축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빈 공과 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연일 승씨]][[분류:도시 이론가]][[분류:대한민국의 건축 평론가]][[분류:건축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