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정보 | 이름 = 서명선 | 원어이름 = 徐命善 | 출생일 = [[1728년]]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달성군]] | 사망일 = [[1791년]] (64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필명 = [[자 (이름)|자(字)]]는 계중(繼仲)
[[호 (이름)|호(號)]]는 귀천(歸泉), 동원(桐源)
[[시호|시호(諡號)]]는 충헌(忠憲), 충문(忠文) | 언어 = [[중세 한국어]] | 직업 = [[문신 (관료)|문관]], [[정치가]], [[시 (문학)|시인]] | 활동 기간 = [[1753년]] ~ [[1791년]] | 국적 = [[조선]] | 장르 = [[한시]], [[시조]] | 친척 = [[서명응]](형) | 학력 = [[1753년]] 생원시에 합격
[[1763년]] 증광문과에 을과 급제 | 종교 = [[유교]]([[성리학]]) }} '''서명선'''(徐命善, [[1728년]] ~ [[1791년]])은 [[조선]]의 [[문신 (관료)|문신]] 겸 [[정치가]] 및 [[시인]]이다. == 본관과 별칭 == [[본관|본관(관향)]]은 대구(大丘)이며 [[자 (이름)|자(字)]]는 계중(繼仲)이고 [[호 (이름)|아호(雅號)]]는 귀천(歸泉)·동원(桐源)이며 [[시호|시호(諡號)]]는 충헌(忠憲)·충문(忠文)이다. == 생애 == [[서명응]](徐命膺)의 아우이기도 한 그는 [[경상도]] [[달성군]]에서 출생하였고 [[한성부]]에서 성장하였으며 [[조선 영조|영조]] 때인 [[1753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763년]] 증광문과에 을과 급제하였다. 이후 겸사서, 부교리, 교리, 지평, 수찬, 헌납 등을 거쳐 부교리, 사간, 응교 등을 지냈다. 영조 후반기 [[동부승지]]로 당상관에 오르고 의주부윤으로 나갔다가 이후 강원도관찰사와 [[이조참의]]를 거쳐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도승지]] 등을 지낸다. 이어 강원도[[Javascript:hplink('18365')|관찰사]] 등을 거쳐 [[Javascript:hplink('78690')|부제학]](副提學)에 오르고 1774년 [[Javascript:hplink('127923')|이조]]참판 때, 세손(世孫: 正祖)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던 재상 [[Javascript:hplink('172387')|홍인한]](洪麟漢)을 탄핵, 파직시키고 [[Javascript:hplink('136845')|정조]]를 즉위하게 했다. 영조 말기 [[예조판서]], [[도총관]], [[병조판서]], 수어사, [[이조판서]]를 지내며 세손(뒷날의 정조)을 지켜서 정조의 신임을 얻는다. 정조 때 [[이조판서]], 금위대장, 약방제조, [[예문관]][[제학]], [[공조판서]], [[예조판서]], [[의정부]][[우참찬]], [[수어사]], 판돈녕부사를 했다. 정조 때 호위대장을 하기도 했으며 당시 [[우의정]]으로 정조를 보호했다. 정조 때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내고 [[좌의정]]과 [[영의정]]을 또 한 차례 지냈다. 그리고 나중에 판중추부사와 영중추부사로 물러난다. [[영의정]]과 중추부영사를 지낸 그는 [[조선 영조|영조]] 임금 때와 [[조선 정조|정조]] 임금 때의 원로대신 가운데 한 사람이며 [[시 (문학)|시인]]으로도 활약하였다. == 같이 보기 == * [[김종수 (1728년)|김종수]] * [[심환지]] == 외부 링크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7180 두산대백과사전] {{토막글|조선}} [[분류:1728년 태어남]][[분류:1791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대구 서씨]][[분류:과거 급제자]][[분류:영의정]][[분류:조선의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