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조선 세조|세조]], [[조선 성종|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대구 서씨|대구]](大丘). 자는 강중(剛中), 초자는 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이며,[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a_A1420_1_0005362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조선 세종|세종]], [[조선 문종|문종]], [[조선 단종|단종]], [[조선 세조|세조]], [[조선 예종|예종]], [[조선 성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섬겼다. == 생애 ==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하여 사재감 직장(直長)을 지내고 이조 참의, [[사헌부]] [[대사헌]]([[1478년]]), 의정부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1451년]](문종 1)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집현전]] 박사(集賢殿博士)·부수찬(副修撰)·응교(應敎)를 역임하였다. [[1456년]](세조 2) 문과중시에 급제, 이듬해 문신정시에 장원했다. 후에 공조참의(工曹參議)가 되어 [[1460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가서 그 곳 학자들과 문장과 시(詩)를 논하여 해동(海東)의 기재(奇才)라는 찬탄을 받았다. 귀국 후 대사헌이 되고 [[1464년]] 조선 최초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 :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함)이 되었으며 [[1466년]] 발영시에 또 장원, 이후 [[공조판서]],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 등 6조(曹)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우참찬]], [[좌참찬]], [[우찬성]] 등을 두루 거쳐서 [[1470년]](성종 1) 좌찬성(左贊成)에 올라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으로 달성군(達城郡)에 봉해졌다. 여섯 왕을 섬겨 45년간 조정에 봉사하였고, 시문을 비롯한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으며, 시화(詩話)의 백미인《[[동문선]](同文選)》과 설화집인 《[[필원잡기]](同文選)》 등을 남겨 [[신라]] 이래 조선 초에 이르는 시문과 산문 문학을 집성했다. 문학 이외에도 여러 방면에 통달하여 세조 때 《[[경국대전]]》, 성종 때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 [[책]]의 편찬에 깊이 관여하였으며, 또한 왕명으로 《[[향약집성방]]》을 한글로 번역했다. 사후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경상도 대구의 [[구암서원]]에 배향되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사가정역]]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 서의(徐義) ** 아버지 : 서미성(徐彌性) ** 어머니 : 권근(權近)의 딸 *** 누님 : 최항(崔恒)에게 출가 *** 형님 : 서거광(徐居廣) *** 형수 : 수원 백씨 *** 부인 : 김여회(金如晦)의 딸 *** 측실 : 이영근(李寧根)의 딸 **** 서자 : 서복경(徐福慶) == 각주 == {{글로벌세계대백과}} {{전임후임| |전임자 = [[이석형]] |후임자 = [[김길도]] |대수 = 108 |직책 = [[역대 한성판윤|판한성부사]] |임기 = [[1467년]] [[음력 7월 3일]] ~ [[1469년]] [[음력 7월 2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어세공]] |후임자 = [[이숭원 (1428년)|이숭원]] |대수 = 115 |직책 = [[역대 한성판윤|판한성부사]] |임기 = [[1478년]] [[음력 6월 2일]] ~ [[1478년]] [[음력 9월 24일]] }} {{전거 통제}} {{토막글|한국 사람|조선}} [[분류:1420년 태어남]][[분류:1488년 죽음]][[분류:대구 서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과거 급제자]][[분류:장원 급제자]][[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학자]][[분류:김시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