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정보 |이름 = 변영로 |원어이름 = 卞榮魯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1/Nongae_poem_monument_by_byunyoungro.jpg/270px-Nongae_poem_monument_by_byunyoungro.jpg |설명 =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에 있는
변영로의 논개 시비 |출생일 = [[1898년]] [[6월 27일]]([[음력 5월 9일]])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제국}} [[한성부]]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61|3|14|1898|6|27}} |사망지 = {{KOR}} [[서울특별시]] |국적 = {{KOR}} |필명 = [[아명]](兒名)은 '''변영복'''('''卞榮福''')·'''변영민'''('''卞榮珉''')
호(號)는 수주(樹州) |학력 = [[미국]]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직업 = [[시 (문학)|시인]]
[[영문학|영문학자]]
[[수필|수필가]]
[[대학 교수]]
[[번역|번역문학가]]
문학평론가 |소속 = 前 [[성균관대학교]] 교수 |언어 =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활동 기간 = [[1914년]] ~ [[1961년]] |장르 = 시문학, 영문학, 수필, 번역, 평론 |부모 = 변정상(부) |배우자 = [[평창 이씨]] 부인(사별)
양창희(재혼) |친척 = 변해영(할아버지)
[[변영만]](형)
[[변영태]](형) |웹사이트 = }} {{위키자료집|글쓴이:변영로|변영로}} '''변영로'''(卞榮魯, [[1898년]]일설에는 [[1897년]]생이라는 설도 있고 호적상의 출생년월일은 [[1898년]] [[6월 7일]]이다. [[6월 27일]]([[음력 5월 9일]]) ~ [[1961년]] [[3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시 (문학)|시인]], [[영문학|영문학자]], [[대학 교수]], [[수필|수필가]], [[번역|번역문학가]]이다.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지낸 그는 역시 [[성균관대학교|성대]] 교수를 지낸 [[변영만]](卞榮晩)과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대한민국 총리]]를 지낸 [[변영태]](卞榮泰)의 친동생이다. 본명은 영복(榮福)이었으나 뒤에 영로라 개명했다. 본관은 초계 [[밀양 변씨|(밀양)]] (密陽)이다. == 생애 == 애초 그의 본명은 '''변영복'''(卞榮福)이었는데 나중에는 '''영로'''(榮魯)라는 이름을 주로 썼고, 회갑줄 시기였던 [[1958년]] 정식 개명 관련 소송을 내서 '''변영로'''로 전격 개명하였다. 호는 수주(樹州)이며 [[한성부]] 남서 회현방에서 출생하였고 원적지였던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시]] (지금의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시]])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경성 중앙학교(지금의 [[중앙고등학교|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중앙고등학교|중앙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이화여전]] 등에서 교편 생활을 하다가 [[미국]]으로 유학을 건너가 [[캘리포니아 주|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공부하였다가 끝내 중퇴하였다. 신문학 초창기에 등장한 신시의 선구자로서, 압축된 시구 속에 서정과 상징을 담은 기교를 보였다. 민족 의식을 시로 표현하고 수필에도 재능이 있었다. 광복 후 [[성균관대학교]]·[[해군사관학교 (대한민국)|해군사관학교]] 교수 등을 지냈으며, 대한공론사 이사장으로 영자 일간지를 발간하였다. [[1951년]] 제2회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했고, [[1955년]] 제1대 [[국제펜클럽|한국 펜클럽]] 회장에 선출되었다. [[1961년]] [[3월 14일]] 인후암으로 사망하였다. == 가족 관계 == * 할아버지: 변해영(卞海永) ** 아버지: 변정상(卞鼎相) *** 형: [[변영만]](卞榮晩, [[1889년]] [[음력 6월 23일]] ~ [[1954년]]) *** 형: [[변영태]](卞榮泰, [[1892년]] [[12월 15일]] ~ [[1969년]] [[3월 10일]]) * 부인(사별): [[평창 이씨]] 부인 * 부인(재혼): [[남원 양씨 (梁)|남원 양씨]] 양창희(梁昌姬) == 학력 == * [[서울특별시|경성]] 재동보통학교(前) → 경성 계동보통학교 졸업 * [[중앙고등학교|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중퇴 * [[중앙대학교|경성 YMCA 영어학교]] [[졸업]] * [[미국]] [[새너제이 주립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 작품 == 대표작으로 〈논개〉, 〈사벽송〉 등이 있고, 수필집 《명정 40년》 등이 있다. == 유행어와 뜻 == "[[술]]이라 하면 수주('''변영로''')를 뛰어넘을 자가 없고 [[담배]]라 하면 공초([[오상순]])를 뛰어넘을 자가 없다."라는 유행어가 한때 [[1950년대]] 중반에 [[서울특별시|서울]] 항간에서 난무했는데 이는 당시 [[시 (문학)|시인]] '''수주 변영로'''(樹州 卞榮魯)가 알아주는 애주가였고 [[시 (문학)|시인]] [[오상순|공초 오상순]](空超 吳相淳)이 알아주는 애연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에피소드 == * 시인 수주 변영로가 자신의 단골 주점인 《은성》 주인 이명숙의 아들 [[최불암]]이 [[서라벌예술대학]]에 합격하자 막걸리잔을 내빌고 술을 한잔 주었다. 하지만 [[최불암]]이 막걸리잔에 뜬 술지게미는 손으로 걷어서 내버리자, 변영로는 이놈이 음식을 함부로 버린다고 화를 내며 즉석에서 귀뺨을 후려쳤다 한다. * 변영로는 동창이자 절친인 [[윤치영]]과 함께 중학교 수업이나 YMCA 학당 강의를 빼먹고 땡땡이를 치는 일이 자주 있었다. 한번은 이를 본 중앙중학교 교사이자 YMCA 학당 강사인 월남 [[이상재]]가 변영로 일행이 있는 곳을 보고는 변정상씨, 변정상씨 하고 계속 불렀다. 화가난 변영로가 [[이상재]]에게 선생님 치매걸리셨습니까? 왜 남의 아버지 이름을 부르십니까? 하자 [[이상재]]는 변정상이 내 친구이다. 그런데 네가 변정상의 씨가 아니면 다른 사람의의 씨란 말이냐? 라고 답했다 한다. [[이상재]]의 기지는 변정상의 회고록과 이를 지켜본 [[윤치영]]의 자서전에 모두 기록되어 있다. == 기타 == [[중앙고등학교|중앙학교]] 동창이던 [[윤치영]]과는 평생의 친구로 사귀었다. == 변영로를 연기한 배우 == * [[김병기 (1948년)|김병기]] - [[2004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드라마 《[[명동백작 (드라마)|명동백작]]》 == 각주 == {{각주}}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시문학 동인}} [[분류:1898년 태어남]][[분류:1961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분류:중앙대학교 교수]][[분류:이화여자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경성YMCA영어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한국독립당의 당원]][[분류:중앙고등보통학교 동문]][[분류:윤치영]][[분류:밀양 변씨]][[분류:초계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