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조선 영조|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다. 초명은 필현(弼賢), 자는 정보(正甫), 시호는 장간(章簡)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여호 [[박필주]]의 사촌형제이며, [[소론]]의 영수 [[박세채]]의 재종손이다.
[[1725년]](영조 1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봉교]]가 되고 삼사의 여러 관직을 거쳐 [[1736년]] 이후 [[세자시강원]]사서, 시강원 문학, 보덕 등을 지내면서 어린 [[사도세자]]의 사부가 되어 보도하였다. [[1740년]] [[동부승지]], [[좌승지]], [[도승지]]가 되었다. 이후 [[의금부]][[동지사]], [[경기도]][[관찰사]], 사간원대사간, 춘천부사를 거쳐 [[1748년]] [[예조]][[참판]], [[1750년]] [[공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호조]][[참판]], [[병조]][[참판]], [[대사간]], 돈령부동지사, 중추부동지사를 거쳐 1760년 돈령부지사 겸 의금부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승문원]]제조에 이르렀다.
그는 당색으로는 [[노론]]으로 탕평책에 반발하여 노론의 맹장으로 활동하였지만 [[소론]]을 공격하는데는 주저하였고, 재물과는 거리를 두었다. [[노론]][[북학파]]의 영수 [[연암 박지원]]은 그의 손자였고, [[북학파]]이자 개화파의 시조인 [[박규수]]는 그의 4대손이다. 재종조부인 현석 [[박세채]]의 문이이기도 하다.
== 생애 ==
=== 생애 초반 ===
==== 출생과 가계 배경 ====
박필균은 [[1685년]](숙종 11) [[1월 1일]] [[박동량]]의 후손이자 박미(朴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정]]으로 [[증직|증]] [[이조판서]] 금흥군(錦興君)에 [[추증]]된 [[박세교]](朴世橋)이고, [[증직|증]] [[이조판서]]에 [[추증]]된 박태길(朴泰吉)과 [[진사]] 윤선적(尹宣績)의 딸인 칠원 윤씨(漆原尹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필현(弼賢)이고 자는 정보(正甫)인데 뒤에 필균으로 고쳤다. [[연암 박지원]](朴趾源)은 그의 손자이고, 환재 [[박규수]]는 그의 4대손이다.
고조부 [[박동량]]은 [[의정부]][[우참찬]]에 이르렀으며 공훈을 세워 금계군(錦溪君)에 봉해지고 사후 [[증직|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증조부 [[박미]]는 [[조선 선조|선조]](宣祖)의 다섯째 서녀 [[정안옹주]](貞安翁主)의 부군이 되어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
어려서부터 할아버지 [[박세교]]의 사촌인 재종조부 현석 [[박세채]](朴世采)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재종조부이자 스승인 현석 [[박세채]]는 [[김집 (1574년)|김집]]과 청음 [[김상헌]]의 문인으로 그들을 통해 [[이이]]와 [[성혼]]의 학통을 계승했다. [[권상하]]의 문하생 중 수제자 8인인 [[강문 8학사]]의 한 사람인 [[박태만]](朴泰萬)은 그의 숙부였다. 저명한 당대의 [[노론]]학자인 여호 [[박필주]]는 그의 사촌 형으로 박필균의 아들 사근(師近)을 아들이 없던 [[박필주]]에게 양자로 주었다. 또한 [[소론]]의 정객으로 [[사변론]]의 저자인 [[박세당]]도 그의 할아버지뻘 되는 그의 일족이었다. [[조선 효종|효종]]의 부마인 [[박필성]](朴弼成)은 그의 친척 형님뻘이었다.
==== 소년 시절 ====
5세 때 아버지 박태길이 죽고, 숙부 박태만(朴泰萬)도 곧이어 졸하였으므로 그는 사촌형인 금녕군(錦寧君) 박필하(朴弼夏)에게 양육을 받았는데, 박필하의 아들이자 5촌 조카인 박사익(朴師益)과 박사정(朴師正) 형제가 그보다 나이가 많았다. 또한 후일의 영조의 부마 [[박명원]]은 박사정의 아들이었다.
[[희빈 장씨]]의 사사를 반대한 [[소론]] 남구만(南九萬)과 유상운(柳尙運)을 규탄하면서도, 유상운이 고조부 박동량의 외손이라 그들을 직접 공격하지 않고 회피하였다. 사촌형 여호 [[박필주]] 등은 그의 총명함을 알아보고 여러번 과거에 응시할 것을 부탁했지만 거절했다.
[[조선 경종|경종]]대에 득세한 [[소론]]을 피하여 관직의 뜻을 버리고 [[경기도]] [[통진]](通津)에 은거하다가 사촌형 [[박필주]]의 거듭된 권고로 [[1725년]](영조 1년) [[과거 제도|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 봉교가 되고 겸[[세자시강원]]설서(說書)에 제수되었다. 이후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이 되었다가 대교(待敎)가 되었다.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그의 친족인 박필현, 박필몽 등이 연루되었는데, 이때 그는 자기 이름을 필현에서 필균으로 고쳤다.
=== 관료 생활 ===
==== 관료 생활 초반 ====
[[1729년]] 춘추관기주관으로 [[경종실록]]을 적상산 사고(赤裳山史庫)에 저장하는 임무를 맡고 되돌아와 [[예문관]]봉교가 되고, 후임자를 천거할 때는 [[김약로]]를 반대하고 신만(申晩)과 윤급(尹汲)을 추천하여 김약로 등과 척을 지게 되었다. 이후 삼사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1730년 [[사간원]]정언이 되어서는 소론을 공격하고 양조(兩朝)의 변무(辨誣)와 [[김창집]](金昌集), [[이이명]](李頤命) 등의 억울함을 들어 신원을 촉구하는 소를 올렸다가 사당(私黨)을 옹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파직당하였다. 그러나 다른 대간들의 비호에 힘입어 이듬해 다시 정언에 복관되었다. 이후에도 노론의 맹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연잉군]] 시절 그를 추대하려다가 죽은 [[노론]] 4대신의 복권을 여러번 상주하여 [[영조]]의 진노를 사기도 했다. 그러나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졌을 때 [[소론]]의 당원이 된 친척들도 많았기에 소론을 공격하는데는 주저하였다. 또한 그의 재종조부이자 그의 스승인 [[박세채]]는 [[소론]]의 당수를 지냈던 인물이었다.
==== 사도세자의 사부 ====
그뒤 삼사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1732년]] [[용인]] [[현령]](龍仁縣令)으로 나갔다. [[1733년]]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 홍문관교리,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등을 거쳐, 이듬해에는 지평·교리·수찬·정언 등을 여러 차례 역임하였다.
[[1736년]] 이후 [[세자시강원]]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시강원 문학(文學), 보덕(輔德)을 지내면서 어린 [[사도세자]]의 사부가 되어 보필하였다. 동시에 학교수(學敎授 사학(四學)의 교수)를 겸하다가 이후 별겸춘추(別兼春秋), [[훈련도감]] 낭청, 사복시정(司僕寺正) 등을 지냈다.
[[1740년]] [[홍문관]]부응교(副應敎)에 제수되고 그해 [[6월]]에 [[조선 효종|효종]]의 존호(尊號)를 가상(加上)할 때 축문을 읽는 제관 중 우두머리인 대축(大祝)의 직임을 맡은 노고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가자(加資)되고 [[승정원]][[동부승지]]를 제수받았다.
==== 정치 활동 ====
[[1740년]] [[8월]]에 [[영조]]에게 존호를 올릴 때 예방승지를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가자되고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그해 [[9월]]에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제수되고, 10월에 [[형조]] [[참판]]에 제수되었다가 병조 참판으로 옮겼다. 이듬해 동지의금(同知義禁)을 거쳐 8월에는 [[경기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이후 [[한성부]][[좌윤]]을 거쳐 [[호조]][[참판]]을 지냈다.
한편 인척간인 [[홍계희]](洪啓禧)가 자신의 사람을 [[부제학]]자리로 앉히려는데 반대하여 [[홍계희]]와 척을 지기도 했다.
[[1744년]]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가 [[1746년]] [[9월]] [[소론]] 재상 유봉휘, 조태구 등의 관작을 추탈(追奪)하게 되자 그해 겨울에 자처하여 외직으로 나가 [[춘천]][[부사]](春川府使)가 되었다.
=== 생애 후반 ===
==== 노론의 맹장 ====
[[1748년]] [[예조]][[참판]], [[1750년]] [[공조]][[참판]]을 역임했다. 그뒤 호조·병조참판을 역임한 뒤 [[1754년]] [[대사간]]으로 재직시 [[사도세자]]의 서연(書筵)을 중지한 잘못과 조정의 언로폐쇄, 과거제의 문란 및 백관들의 기강의 해이함을 진계(陳戒)하는 소를 올려 인정을 받았다. 한편 [[노론]]에서 당론으로 [[사도세자]]를 공격하기로 결정했을 때, 그는 세자의 사부였으므로 [[홍인한]], [[홍계희]]와는 달리 한발 물러서서 세자의 비행 지적을 회피하였다.
그는 [[영조]] 연간에 정계에서 탕평책에 비판적인 [[노론]]의 맹장으로 활동했다. 또한 [[탕평파]]의 지도자인 [[조현명]]을 공격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조선 효종|효종]]의 부마인 [[박필성]](朴弼成)의 친척이며 [[영조]]의 서녀 [[화평옹주]](和平翁主)의 남편인 금양위 박명원(朴明源)의 종조(從祖)였으며, 그 자신도 [[영조]]의 깊은 신임을 받았지만 [[척신]]이 발호한다는 혐의를 피하고자 청요직이 부여되면 여러번 사양하였으며, 청렴한 생활을 하여 집안에 재물을 두지 않았다. 한편 왕가의 사위로 알려진 이들의 집에는 발길도 하지 않아 [[박명원]]은 '우리 선대(先代)에서도 왕가(王家)와 혼인이 있었는데, 지금 어찌하여 나를 이렇게도 소원하게 대하여 마치 몸이 더럽혀질 듯이 여긴단 말인가. 유독 우리 선친께서 소싯적에 그 고아 신세를 비호해 준 일은 생각지도 않는가'하며 그를 원망했다고도 한다.
==== 최후 ====
또한 사사로운 선물 조차도 거절하고 되돌려보내 [[노론]]내 정적들이나 [[소론]], [[남인]]들에게 공격의 빌미를 주지 않았다. 또한 [[사도세자]]를 공격하는 것 역시 기피하여 후일 [[노론]]내 다른 인사들이 정조 즉위 후 숙청당하거나 추탈되었을 때 그의 자손들만은 무사하였다. 한편 그의 아들들은 여러번 과거에 낙방한 탓에 아무런 직책이 없었으므로, 그가 늦게까지 실질적인 가장으로서 가사를 이끌어갔다.
[[1758년]]에 동지돈녕부사, 동지중추부사가 되고 그해 다시 동지돈녕부사가 되어 [[조선 영조|영조]]의 특명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지중추부사를 거쳐 [[1760년]](영조 36년) 지돈녕부사가 되고 지의금부사와 [[오위도총부]]도총관 [[승문원]]제조를 겸임하였다. 그해 [[8월 2일]] 지돈녕부사로 재직 중 타계하였다. 벼슬에 있을 때 청백리로 알려져 깨끗한 선비라는 평을 받았다. 그가 죽었을 때는 장례지낼 형편이 안되었다 한다.
=== 사후 ===
그해 [[10월 7일]] [[경기도]] [[광주군 (경기도)|광주군]] 초월면(草月面) 학현(鶴峴) 묘좌(卯坐)에 안장되었다. 시호는 장간(章簡)이다. [[1803년]] [[경기도]] [[양주군]] 별비면(別斐面) 성곡(星谷) 술좌(戌坐)에 이장하였다.
== 가족 관계 ==
* 조부 : 박세교(朴世橋)
** 아버지 : 박태길(朴泰吉)
** 어머니 : 칠원 윤씨
*** 형님 : 박필린(朴弼鄰)
*** 누나 : 반남박씨
*** 매부 : 이사주(李師周)
*** 누나 : 반남박씨
*** 매부 : 김서린(金瑞麟)
*** 부인 : 여주이씨(? - [[1761년]])
**** 장남 : 박사헌(朴師憲)
**** 차남 : 박사근(朴師近), 당숙인 여호 [[박필주]]의 양자로 갔다.
***** 손자 : 박진원(朴進源)
***** 손자 : 박수원(朴綏源)
***** 손녀 : 반남박씨
***** 손서 : 황형(黃馨)
**** 장녀 : 반남박씨
**** 사위 : 어용림(魚用霖)
**** 삼남 : [[박사유]](朴師愈, [[1703년]] - [[1767년]] [[6월]])
**** 자부 : 함평이씨(咸平李氏, [[1700년]] - [[1759년]] [[10월]]), 이창원(李昌遠)의 딸
***** 손자 : [[박희원]](朴喜源, [[1730년]] - [[1787년]])[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박지원 지음, 박희병 옮김, (돌베게, 2006) 16쪽. ]
***** 손녀 : 반남 박씨
***** 손녀 : 반남 박씨
***** 손자 : [[박지원 (실학자)|박지원]]
== 평가 ==
그는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노론]]의 맹장이었지만, 당론에 휩쓸리지 않았고 소론 공격에는 다소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큰 치적을 세운 바는 없다고 평가되지만 그는 벼슬에 있을 때 청백리로 알려져 깨끗한 선비라는 평을 받았다.
== 기타 ==
손자 [[박지원]]에 의하면 '30년이 되도록 전답이나 자산이 없었고 임종 시 가진 재산은 백금(百金 100냥)도 되지 않았으며, 성 아래 있는 허름한 집이 값으로 치면 돈 30냥에 불과했지만 이사하지 않고 죽을 때까지 거처를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가산이 부족하여 하인들도 없이 오직 늙은 종 하나를 두었는데 거친 밥이나마 배를 채우지 못했음에도 죽는 날까지 주인을 원망하는 기색이 없었다 한다.
== 참조 ==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박지원 (1737년)|박지원]]
* [[박필주]]
* [[김상로]]
* [[문성국]]
* [[김양로]]
* [[홍계희]]
* [[홍인한]]
* [[홍봉한]]
* [[나경언]]
* [[윤급]]
* [[박세당]]
* [[박규수]]
* [[송시열]]
{{Col-2}}
* [[박세채]]
* [[박명원]]
* [[박미]]
* [[박태만]]
* [[정안옹주]]
* [[화평옹주]]
* [[화협옹주]]
* [[사도세자]]
* [[권상하]]
* [[조현명]]
* [[홍국영]]
* [[김종수]]
* [[채제공]]
{{Col-end}}
[[분류:1685년 태어남]][[분류:1760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성리학]][[분류:조선 영조]][[분류:조선 정조]][[분류:반남 박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