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 이름 = 박차정(朴次貞)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f/f8/116.JPG
| 사진크기 = 200px
| 사진설명 = 박차정
| 출생일 = {{출생일|1910|5|7}}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제국}} [[경상남도]] [[동래군]](현 [[부산광역시]])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44|5|27|1910|5|7}}
| 사망지 = {{국기나라|중화민국}} [[쓰촨 성]] [[충칭]]
| 사망원인 = 병사 (총상 후유증, [[관절염]], [[성병]] 등의 합병증)
| 국적 = {{국기나라|대한제국}}, {{국기나라|중화민국}}
| 별칭 = 임철애, 임철산
| 유명 =
| 모교 = 부산진일신여고
| 직업 = 작가, 교육자, [[독립운동가]], [[군인]]
| 종교 = -
| 부모 = 박용한(아버지), 김맹련(어머니)
| 배우자 = [[김원봉]]
| 자녀 = 없음
}}
'''박차정'''(朴次貞, [[1910년]] [[5월 7일]] ∼ [[1944년]] [[5월 27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김원봉]]의 두 번째 부인이며[김원봉의 본부인은 평안도 출신 최씨이고, 셋째 부인은 독립운동가 최석순의 딸 최동선이다.]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초대 국가원수 겸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두봉]]의 조카딸이었다. 근우회와 부녀복무단에서 활동했다.
[[동래]] [[동래여자고등학교|일신여학교]]에 입학하여 동맹휴학을 주도하고, [[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중앙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46639 5월의 독립운동가:박차정 전시회 개최]] 1930년 근우회사건을 배후에서 지도하다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30년]] [[중국]]으로 망명한 후 [[의열단]]에 가입,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다 [[의열단]]장 [[김원봉]]과 결혼하였으며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여자교관, [[조선민족혁명당|민족혁명당]] 부녀부 주임,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39년 2월 장시성 쿤륜산 전투 중에 부상을 입고 그 후유증과 성병[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244] 등으로 1944년 5월 27일 충칭에서 병사하였다. 독립 운동 중 사용한 가명은 임철애(林哲愛), 임철산(林哲山)이다. [[http://www.suwon.com/news/articleView.html?idxno=70943 부산이 낳은 대륙의 들꽃 '박차정'] 수원일보( 2011.12.14) 기사 참조]
== 생애 ==
=== 생애 초반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c/c9/Kwb2.jpg/200px-Kwb2.jpg
남편 약산 김원봉
박차정은 [[1910년]] [[5월 7일]] 당시 [[경상남도]] [[동래군]]이던 현 [[부산직할시|부산]]에서 출생했다. 부친은 일제에 항거하여 자결했고, 숙부 [[박일형]]과 외가의 친척들, 오빠들이 항일 운동에 뛰어든 집안에서 자랐다. 일제의 침탈에 항거하여 자결·순국한 아버지와 독립운동가 김두전(金枓全), [[김두봉]](金枓鳳)과 친척인 어머니,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 숙부 박일형(朴日馨) 등의 영향을 받았다. 박차정은 김두봉의 조카딸이었고, 독립운동가 김두봉은 해방 후 북한의 초대 국가원수 겸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된 인물이었다.
이러한 집안 분위기 때문에 신간회, 의열단 등에서 활동한 큰오빠 박문희, 둘째오빠 박문호 등과 함께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되었다. 그는 [[동래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인 일신여학교 시절부터 학생운동에 참가하여 여러차례 체포, 구금 당했다.
=== 독립운동 ===
==== 학창 시절과 독립운동 참여 ====
{{참고|신간회|근우회|6.10 만세 운동}}
이곳에서 항일민족의식과 남녀평등사상을 더욱 고취시키며 일신여학교 동맹휴학을 주도하였다. 또한 뛰어난 문학적 기질을 바탕으로 교지 『일신』에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경성부]]로 올라와 [[근우회]]가 결성되자 가입하였다. 근우회 중앙집행위원과 중앙상무위원으로 선임되어 선전과 출판부문에서 활동하던 중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연장으로 1930년 1월 서울지역 11개 여학교의 시위투쟁인 이른바 ‘근우회 사건’을 배후에서 지도하였다. [[1930년]] [[광주학생운동]] 후속 시위와 노동자 파업 주동 혐의로 또다시 체포되어 고문을 당하자, 둘째 오빠 [[박문호 (1907년)|박문호]]가 건너가 있던 [[중국]]으로 망명했다.
==== 중국 망명 ====
{{참고|의열단|조선공산당|조선의용군}}
[[1930년]] 봄 그는 [[중국]]에서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는 둘째오빠 [[박문호 (1907년)|박문호]]로부터 중국으로 오라는 연락을 받고 배편으로 중국으로 떠났다. 망명한 그는 국내에서 항일투쟁공로가 오빠와 지인들을 통해 이미 중국까지 알려지면서 공적을 인정받아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중앙위원과 [[의열단]] 간부에 선임되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4/4a/Kimwb-parkchj-01.jpg/200px-Kimwb-parkchj-01.jpg
김원봉과의 결혼 사진 (1931년)
[[베이징]]에서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을 벌이다가 [[안광천]]의 소개로 [[의열단]] 단장 김원봉과 [[1931년]] 결혼했고, 김원봉(金元鳳)과 결혼하면서 본격적으로 의열단의 핵심멤버로 활약하였다. [[김원봉]]은 본래 [[평안도]] 출신의 최석진이라는 사람의 딸과 결혼한다.[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도서출판 민음사, 2005) 244] 그러나 본처와 헤어지고 나중에 새 장가를 든다. 후일 [[정화암]]은 그가 [[박차정]]을 만나기 전에 본처가 있었으며 김두봉의 조카딸(박차정)과의 결혼은 새장가라고 증언하였다.
==== 군사 활동 ====
{{참고|조선민족혁명당|남경조선부녀회|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이후 난징(南京)으로 거주지를 옮겨 남편이 [[난징]]에 청년투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교관으로 일했다. 당시 그는‘임철애, 임철산’ 등 가명을 사용하며 교관과 지휘관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민족혁명당]]의 [[남경조선부녀회]]를 조직했고, [[중일 전쟁]]이 시작되자 기고 및 방송 활동으로 일본의 침략 전쟁을 규탄하고 조선 부녀자들의 일치 단결과 투쟁을 촉구하는 등 독립 운동에 매진했다.
=== 사망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0/05/%EB%B0%95%EC%B0%A8%EC%A0%95_%EC%9E%A5%EB%A1%80%EC%8B%9D.JPG/300px-%EB%B0%95%EC%B0%A8%EC%A0%95_%EC%9E%A5%EB%A1%80%EC%8B%9D.JPG
해방 후 독립운동가이자 남편 김원봉에 의해 밀양에 안장된 박차정의 유해
{{참고|조선민족전선연맹|조선의용대|부녀복무단}}
만년에 일본군과의 교전에서 얻은 총상의 후유증으로 고생하였다. 또한 지병인 [[관절염]]으로도 오래 고생하였다.
[[조선민족전선연맹]]이 한중 연합 전선 무장 세력인 [[조선의용대]]를 구성하자 여군 격인 부녀복무단을 설치하여 단장을 맡았다. [[1939년]] 2월 [[장시 성]](江西省) 쿤륜산(昆崙山) 전투 중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입은 총상의 후유증과 [[관절염]] 등의 후유증을 앓았다. 또한 [[성병]]도 앓았는데, [[정화암]]에 의하면 박차정은 [[성병]]으로 사망했다 한다. [[http://miryang.newsk.kr/bbs/bbs.asp?exe=view&group_name=407§ion=9&category=5&idx_num=1831 약산 김원봉 장군(임정 군무부장)]] [[1944년]] [[5월 27일]] [[충칭]]에서 병사했다. 당시 그의 나이 향년 34세였다.
유해는 해방 직후 [[1945년]] [[12월]] 송환, 김원봉의 고향인 [[밀양시|밀양]]의 송산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작품으로는 시 〈개구리 소래〉와 소설 〈철야〉, [[일본어]]로 쓴 수필 〈가을 아침〉 등이 있다.
=== 사후 ===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했고 남편 김원봉도 월북, 북한에서 장관급 각료를 역임했기 때문에 평가받지 못하였다. 공적에 비해서는 뒤늦게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부산시 동래구현, 동래고등학교 맞은편에 생가가 복원되고[《뉴스앤뉴스》 (2005.07.13) [http://newsandnews.com/article/zboard.php?id=pusan_youngna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18 여성 항일독립운동가 박차정 생가 복원] {{웨이백|url=http://newsandnews.com/article/zboard.php?id=pusan_youngnam&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18# |date=20070930000028 }}] [[부산 금정구]]에 동상이 마련되어 있다.[사이버인권관, [http://www.cyberhumanrights.com/Kor/Information/1st/MOVEMENTVIEW.html?code1=MOV05&lang=KOR&lpage=5&no=241 독립운동가 박차정]]
== 저작 ==
* 시 <개구리 소래>
* 소설 <철야>(徹夜)
* 수필 <가을 아침>(秋の朝)
== 상훈 ==
* [[1995년]] [[건국훈장|건국공로훈장 독립장]]
== 가계 ==
* 아버지 : 박용한(朴容翰)
* 어머니 : 김맹련(金孟蓮)
** 3남 2녀
* 남편 : [[김원봉]](金元鳳, 호는 약산(若山), [[1898년]] - [[1958년]] [[11월]])
** 자녀 없음
* 외당숙 : [[김두봉]](金枓奉, [[1889년]] - [[1961년]]?, 독립운동가 겸 한글학자)
* 외재종숙 : [[김약수]](金若水, 본명은 김두전(金枓全), 독립운동가)
* 숙부 : 박일형(朴日馨,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자)
== 기타 ==
[[정화암]]에 의하면 김원봉의 본부인인 최씨는 '완전히 화류병으로 세상을 떠났다.'하고, 박차정 역시 마찬가지라 한다. 그밖에 곤륜산 전투에서 얻은 총상의 후유증과, [[관절염]][[http://miryang.newsk.kr/bbs/bbs.asp?exe=view&group_name=407§ion=9&category=5&idx_num=1831 약산 김원봉 장군(임정 군무부장)]] 등도 그녀를 괴롭혔다.
== 함께 보기 ==
* [[일신 여학교]]
* [[조선의용대]]
* [[조선공산당재건설동맹]]
* [[6.10 만세 운동]]
* [[의열단]]
* [[조선의용대]]
* [[부녀복무단]]
== 각주 ==
{{각주}}
== 참고자료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391&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박차정]
* [http://bsinews.com/ArticleView.asp?intNum=4720&ASection=001018 '대륙의 들꽃' 박차정 의사 - 뮤지컬로 환생:부산신문]
* 이송희, [https://web.archive.org/web/20070927223759/http://www.pkh.co.kr/y-06-003.htm 朴次貞 여사의 삶과 鬪爭], 《지역과 역사》제1호 (1996.6, 부경역사연구소)
* 《국제신문》 (2007.02.05) [http://www.pusannews.co.kr/news2006/asp/center.asp?gbn=v&code=2505&clss_cd=150621&key=20070226.22028215127 시인 김규태의 인간기행 <54> 의사 수필가 박문하]
*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146639 5월의 독립운동가 박차정 선정 및 전시회]
* 박태일. <광복열사 박차정의 삶과 문학>
* 박태일. <경남부산 지역문학 연구 1>. 청동거울. 2004년. {{ISBN|9788957490167}}
{{2006년-이 달의 독립운동가}}
[[분류: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분류:1910년 태어남]][[분류:1944년 죽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의열단]][[분류:조선의용대]][[분류:일제 강점기의 노동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밀양 박씨]][[분류:김두봉]][[분류:김원봉]][[분류:공산주의자]][[분류:사회주의자]][[분류:한국의 아나키스트]][[분류:동래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병사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