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 정보 | 이름 = 박제빈 |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2/Park_Je-bin_Portrait.jpg/300px-Park_Je-bin_Portrait.jpg | 출생일 = [[1858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사망일 = [[1921년]] | 사망지 = | 국적 = | 별칭 = | 학력 = | 경력 = | 직업 = | 작위 = [[남작]] | 후임자 = [[박서양 (1875년)|박서양]] | 종교 = | 배우자 = | 상훈 = | 웹사이트 = }} '''박제빈'''(朴齊斌, [[1858년]] ~ [[1921년]])은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다. 본관은 [[반남 박씨|반남]]이다. == 생애 == [[한성부]] 출신으로 [[1874년]] [[조선의 과거 제도|과거]]에 급제하여 [[승정원]]과 [[홍문관]], [[사헌부]] 등에서 주로 언관 벼슬을 맡아 보았다. [[1891년]]에는 [[사간원]]의 수장인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1907년]] [[승녕부]]의 부총관에 임명되었고 친일 활동에 적극 나섰다. [[1909년]] [[안중근]]에 의해 [[이토 히로부미]]가 사살되었을 때 [[민병석]], [[김윤식 (1835년)|김윤식]] 등과 함께 장례식에 참가하여 조문한 것이 한 예이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후 일본 정부로부터 남작 작위를 받았고,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찬의로도 임명되었다. [[1911년]]에는 [[경학원]] 부제학에 임명되었으며, 친일 단체인 [[대정실업친목회]]에도 가담했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박제빈의 작위는 [[박서양 (1875년)|박서양]]에게 습작되었는데, 박서양의 양자인 박승방이 습작을 거부하고 독립 운동에 나서 광복 당시에는 습작 받은 후손이 없었다. {{서적 인용 |저자=허종 |제목=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 |날짜=2003-06-25 |출판사=도서출판선인 |출판위치=서울 |id={{ISBN|8989205514}} |쪽=243쪽}} == 가족 관계 == * 증조부 : 박남원(朴南源) ** 조부 : 박종준(朴宗準) *** 부 : 박화수(朴禾壽) *** 아들 : [[박서양 (1875년)|박서양]](朴敍陽) == 같이 보기 == * [[경학원]] * [[대정실업친목회]] * [[박서양 (1875년)|박서양]]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제목=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연도=2007 |발행월=12 |id=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출판위치=서울 |쪽=216~234쪽 |장=박제빈 |장url=http://www.pcic.go.kr:8088/pcic/UserFiles/File/2007JOSA/SUJAKSUBSAK/14-PJB.pdf }} == 각주 == {{각주}} [[분류:1858년 태어남]][[분류:1921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과거 급제자]][[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조선남작]][[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 [[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반남 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