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배구 관련 인물]] ||||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imgnews.naver.net%2Fimage%2F472%2F2015%2F07%2F10%2F062433668_1436476963-77.jpg&type=n88_88 || ||||<#ebad24><:> {{{#381d1d 상무 배구단 감독 }}} || ||||<#060808><:> {{{#ffffff 박삼용(朴三龍) }}} || || 생년월일 || [[1968년]] [[6월 7일]] || || 출신지 || [[경상북도]] [[상주시]] || || 출신학교 || 보수초 - 동아중 - 부산동성고 -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립대]] || || 포지션 || 레프트 || || 신체사이즈 || 신장 190cm, 체중 97kg || || 소속팀 ||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청]][* 말이 실업 팀이었지, 실상은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립대]] 학생들로 구성된 '''대학 팀'''이었다.] (1987~1991) [br]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 (1991~1998) || || 지도자 ||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코치 (1999~2001) [br] [[GS칼텍스 서울 KIXX|LG정유 배구단]] 코치 (2000~2002) [br] [[GS칼텍스 서울 KIXX|LG정유 배구단/인천 GS칼텍스]] 감독 (2003~2006) [br]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아리엘즈/대전 KGC인삼공사]] 감독 (2007~2012) [br]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감독(2010) [br] [[상무 배구단]] 감독 (2012~ ) || ||||||||||||<:> '''2009-2010 KOVO [[V-리그]] 여자부 감독상''' || ||<:> [[어창선]] [br]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 → ||<:> '''박삼용''' [br]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아리엘즈]])''' ||<:> → ||<:> [[황현주(배구)|황현주]] [br]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 '''2011-2012 KOVO [[V-리그]] 여자부 감독상''' || ||<:> [[황현주(배구)|황현주]] [br]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 ||<:> '''박삼용''' [br] '''([[대전 KGC인삼공사]])''' ||<:> → ||<:> [[이정철]] [br]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IBK기업은행 알토스 ]]) || [include(틀:GS칼텍스 서울 KIXX 역대 감독)] [include(틀:대전 KGC인삼공사 역대 감독)] [목차] == 소개 == '''여자 배구계의 [[런동님]]''' [[대한민국]]의 前 배구 선수, 前 [[대전 KGC인삼공사]]의 감독. == 선수 시절 ==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청]]과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에서 레프트로 활약하였다. 두 차례(1993년, 1996년) 고려증권의 슈퍼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국가대표로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으며, 1998년 고려증권의 해체 후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1996 슈퍼리그 결승 제4차전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현대자동차서비스]]와의 치열했던 경기에서 레프트 공격수로 맹활약했다. == 감독 생활 == === [[GS칼텍스 서울 KIXX|LG정유/GS칼텍스]] 감독 시절 === 은퇴 후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지냈고 2000년부터 2002년까지 [[GS칼텍스 서울 KIXX|LG정유]]의 코치로 지내다가 2003년 [[김철용]]의 후임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팀이 2000년대에 들어 [[수원 현대건설|현대건설]]에 밀리기 시작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늘 내주고 있었고, 이는 프로배구로 넘어온 [[V-리그]]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모자라 1990년대 왕조를 구축한 팀의 명성과 걸맞지 않게 팀이 하위권을 계속 전전하게 되자 결국 시즌 중 2006년 1월 20일에 성적 부진으로 감독직에서 사임하였다. === [[대전 KGC인삼공사|KT&G/KGC인삼공사]] 감독 시절 === 사임 후 한동안 야인으로 지내다가 [[2007년]] [[4월]]에 계약이 만료된 김의성 전 감독의 후임으로 [[대전 KGC인삼공사|대전 KT&G 아리엘즈]]의 사령탑에 선임됐다. 이전 시즌에 팀이 '''3승 21패'''라는 창단 이래 최악의 성적을 내어 최하위의 수모를 털기 위해 감독 교체를 단행하게 된 것인데, 감독 부임 첫 시즌인 2007-2008 시즌과 2008-2009 시즌에는 정규 시즌 2위를 기록하며 나름 괜찮을 성적을 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GS칼텍스 서울 KIXX|GS칼텍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에 각각 패하며 최종 순위는 3위로 마감하였다. 그러다 2009-2010 시즌에 용병 몬타뇨 마델라이네, 은퇴 후 배구 심판 등으로 활동하다가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로 복귀한 [[장소연(배구선수)|장소연]]이 [[김세영(배구선수)|김세영]]과 함께 [[통곡의 벽]]을 앞세워 센터진을 보강하며 정규리그 우승은 [[수원 현대건설|현대건설]]에 내줬지만 플레이오프에서 2007-2008 시즌에 챔피언결정전 진출 티켓을 뺏은 GS칼텍스를 상대로 설욕하였고, 이어 챔피언결정전에서 정규리그 우승팀 현대건설마저 무찌르면서 '''[[V-리그]] 출범 이후 두 번째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하지만 다음 시즌 맞이한 2010-2011 시즌에는 [[김사니]]의 FA 이적으로 전력이 약화된 데다 3세트 용병 출전 제한으로 인해 5개 팀 중 4위에 그쳐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였다. 2011-2012 시즌에 지난 시즌의 충격을 딛고 다시 한 번 팀을 정상에 올려놓았는데, 이 때는 정규리그도 제패하였다. 3시즌 연속 뛰었던 몬타뇨의 활약도 우승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비시즌에 현대건설과의 [[사인 앤드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한 [[한유미]]의 활약도 상당히 돋보였던 시즌이었다. 하지만 우승 후 2012년 6월에 갑작스럽게 '''돌연 사퇴'''하고 [[이성희]] 수석코치에게 감독직을 넘기며 배구계가 술렁이게 되었다. 현재 팬들 사이에선 몬타뇨의 이적과 한유미, 장소연, 김세영 등 베테랑들의 은퇴 등으로 전력이 크게 약화되자 이러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도망간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여기에 두 번의 통합 우승도 몬타뇨빨에 국내 선수 육성도 이루지 않았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이 때문에 그가 물러나고 [[이성희]] 체제로 맞이한 2012-2013 시즌에는 외국인 선수로 계약한 드라간이 태업한 것을 시작으로 여자부 최다인 '''20연패'''를 포함한 '''5승 25패'''라는 2006-2007 시즌 못지않은 참담한 성적을 거두고 만다. '''인삼공사의 황금기를 연 감독이지만, 그와 동시에 인삼공사의 암흑기도 제공한 인물이라는 것이 대다수 팬들의 의견이다.''' 그리고 [[이성희]] 감독은 [[금지어]]로 전락했다.[* 사실 박삼용도 야반도주와 용병 몰빵, 국내선수 육성을 등한시했다는 비판을 받아 팀 내에서 금지어로 등극되어 있긴 하나, 박삼용은 감독 시절에 '''통합우승 2회'''라는 업적을 남겼고 여기에 주포이자 한국여자프로배구의 특급 외국인 선수인 몬타뇨에 대해 뻘소리를 안 했다는 점도 쉴드 거리임을 감안하여 그나마 감독 취급은 해주는데 [[이성희]]는 용병에게 몰빵 지시도 모자라 용병 팔까지 아작내면서도 성적은 성적대로 안 나오고 국내 선수 육성 부재까지 겹쳐 팀을 완전히 동네북 수준의 나락으로 빠뜨렸다. 더 가관인 것은 이래놓고도 성적 부진 원인을 용병 탓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총 맞았나?~~] 인삼공사를 떠난 후에는 [[프로배구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 사건]]의 여파로 해임된 故 [[최삼환]] 前 감독의 후임으로 [[상무 배구단]]의 감독을 맡고 있으며, 대한배구협회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 그리고 [[상무 배구단]]은 현재 팀 자체가 구리다 못해 경기 감각도 제대로 못 살릴 만큼 뻥배구로 전락하여 그의 지도력에 의심을 사고 있는 상태. [[분류:배구 선수]][[분류:배구감독]][[분류:1968년 출생]][[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1991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