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blogfiles.naver.net/20150622_96/extar1111_1434941731398dKuDG_JPEG/%B9%CE%C7%D8%B0%E6_2.JPG || || '''이름''' ||<(> 민해경(閔海瓊)[* 閔海景로도 쓰인다. 瓊이란 한자는 흔히 쓰이는 글자가 아니며 본명에 있던 한자로, 앨범 제목에 閔海景이라고 쓴 일이 있으므로 공식적으로는 그쪽이 맞겠다.] || || '''본명''' ||<(> 백미경[* 둘째 오빠가 [[부활(밴드)|부활]]과 [[블랙홀(밴드)|블랙홀]]의 매니저 였던 백강기다. 그 인연으로 [[김태원(음악인)|김태원]]에게 곡을 받은 적이 있다. 그리고 남동생 신예찬도 가수로 활동했고, 언니인 민재연도 뒤늦게 가수로 데뷔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큰오빠인 백성기는 [[박세리]]와 비견될 정도로 뛰어난 유망주였던 골프선수 딸의 교통사고 사망 이후 목회자의 길을 걷고 있으며, 백강기는 형의 영향을 받아 아들을 골프 선수로 키웠으며, 연예 매니지먼트 업계를 떠난 현재는 골프 선수인 아들의 매니지먼트를 맡고 있다.] || || '''출생''' ||<(> [[1962년]] 4월 18일 ([age(1962-04-18)]세), [[경상남도]] [[통영시]] || || '''신체''' ||<(> 161cm, 45kg || || '''데뷔''' ||<(> [[1980년]] 1집 앨범 '누구의 노래일까' || [목차] == 개요 == 1981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90년대 초반까지 댄스 팝과 발라드를 넘나들며 정상급의 인기를 누렸다. 1980년 서울가요제에서 "누구의 노래일까" 라는 곡으로 데뷔했으며 비록 입상은 하지 못했지만 그 해에 앨범을 내고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1983년에 김현준과 듀엣으로 "내 인생은 나의 것"이라는 곡을 발표했다. 하지만, 그 해에 민해경은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1250020920501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1-25&officeId=00020&pageNo=5&printNo=19172&publishType=00020|요정출입 스캔들]]이 터져서 방송출연 금지 조치 등으로 가수 활동에 발이 묶이는 바람에 한동안 일본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그런 일이 있어서 그런지 민해경은 일본어에 꽤 능한 편이다. 그 뒤 일본에서 기대했던 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마침 출연금지 조치가 해제될 시점인 1986년 귀국했다. 그 뒤 복귀작에 수록된 "사랑은 이제 그만"이 당시 [[가요톱10]] 1위까지 오르는 인기를 얻으며 성공적으로 국내 활동을 재개했다. 당시에 일본에서 녹음 작업을 해 와 타 가수들의 밋밋한 반주와 차별화되는 음악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후 "그대는 인형처럼 웃고 있지만"[* [[핑클]]이 [[리메이크]]를 했다.] , "[[그대 모습은 장미]]", "보고싶은 얼굴"[* 젊은 세대에게는 영화 '[[올드보이]]'로도 잘 알려져 있다. 심지어 그녀가 TV 화면에서 노래하는 장면이 영화 중간 짤막하게 등장한다.], "미니스커트"[* 방송에서는 노래 제목처럼 미니스커트를 입으면서 섹시하고 발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등의 히트곡을 연달아 발표하며 이국적인 마스크와 시원스러운 가창력, 화려한 무대 매너와 패션감각 등으로 1990년대 초반까지 많은 인기를 얻었다. 당시 별명은 왕눈이. 선배 가수인 [[하춘화]]와 비슷한 외모이다. 참고로 1995년에 결혼을 했는데,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6271002590510|너무 조용히 해서 결혼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이후에는 성인가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출연하면서 방송활동을 계속했다. 2013년에는 정규 17집 앨범 "The Balance"를 발표했다. == 음반 == * 1집 누구의 노래일까 (1980) * 내 인생을 찾아서 / 여자의 시 (1986) * 성숙 / 사랑은 세상의 반 (1987) * Jump '90 (1990)[* 사실상 민해경의 [[리즈시절]]이라고 볼 수 있는 시기에 나온 앨범이다. 민해경 하면 대표적인 곡인 "보고 싶은 얼굴" 이 수록된 앨범.] * Jump '91 (1991) * 이별이 오기전에 / 그대 미소가 슬퍼 (1991) * Love in Me (1992) * Wind of Change (1995) * Remember... (1996) * 당신과 나 (1999) * Rose&Best (2002) * The Balance (2013)[* 11년만에 새롭게 발매한 앨범. 신곡인 "참...", 삼바리듬의 "Vida Loca" 등과 "사랑은 이제 그만" 과 같은 기존 히트곡들도 최신 트렌드에 맞게 리메이크해서 수록했다.] == 트리비아 == * '내 인생은 나의 것'이란 노래가 발표와 동시에 가요톱텐에서 4주 1위를 할 정도로 인기를 받았지만 가사를 본 부모들의 반대로 인해 금지곡에 지정된 이야기는 2016년 2월 27일 불후의 명곡에서 밝힌 바 있다.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5723893&ctg=1502&tm=i_ntr&mc=1503001|#]] *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304291834322510|가요계 군기반장을 맡는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민해경은 이 사실을 일축했다.]] 민해경의 눈매가 쌀쌀맞아서 벌어진 오해라고 한다.[* 다만, 이하늘이 자신을 몰라보고 무례하게 행동한 것에 대해서는 혼냈다고 한다.] * [[민중당(1990년)|민중당]] 지지자였다고 한다. 진보된 여성정책에 끌렸다고 한다. 그래서 무료로 민중당이 개최한 디너쇼에 출연해서 디너쇼 수익금 전액 민중당에 기부했었다고 한다. 이 기획은 당시 사무총장이던 [[이재오]]의 작품이다. * 1991년 일본의 여배우 [[미야자와 리에]]의 누드화보집인 [[산타페]]의 발표 이후 유연실과 민해경도 각각 누드집을 발간하였다. 각각 유연실은 '이브의 초상' 그리고 '유연실의 영상고백' [* 소속사와 음반사 측에서 임의로 판권을 받아 당사자의 허락 없이 제작한 것이 확인되며 논란이 있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022500289127006&edtNo=5&printCount=1&publishDate=1997-02-25&officeId=00028&pageNo=27&printNo=2812&publishType=00010|당시 신문기사]]], 민해경은 'Return To Eden' [* 두 번째 뮤직비디오 모음집으로, 정규 15집 Remember 수록곡 대부분과 히트곡을 엮어 뮤직비디오를 해외 로케로 찍었다. LD, 비디오테이프로 발매된 이후 12년이 지나 DVD로도 발매되었다.] 이라는 영상집으로 등장했는데, 현재는 둘 다 구하기 어렵고, 발표 당시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당사자에겐 좋지 않은 기억으로 남아있다. * 2019년 기준으로 현재에도 여전히 가창력이 녹슬지 않았다는 평가를 듣는다. [[분류:한국 여가수]][[분류:1962년 출생]][[분류:1980년 데뷔]][[분류:통영시 출신 인물]][[분류:1대 100 역대 1인]] [[분류:누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