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b/HamSeokHeon_his-teacher.jpg/220px-HamSeokHeon_his-teacher.jpg
왼쪽이 류영모, 오른쪽이 그의 제자 함석헌이다
'''류영모'''(柳永模 [[1890년]] [[3월 13일]] ~ [[1981년]] [[2월 3일]], [[서울특별시|서울]] 출생)는 한국의 [[개신교]] 사상가이며 교육자, 철학자, 종교가이다. 호는 '''다석'''(多夕)이다. [[조만식]], [[김교신]] 등과 같은 세대로, [[함석헌]], [[김흥호]], [[박영호 (신학자)|박영호]], [[이현필]] 등의 스승이다. {{출처|날짜=2014-8-25|다석(多夕)은 많은 세 끼(多)를 다 먹지 않고 저녁(夕) 한 끼만 먹는다는 뜻이다.}}
== 생애 ==
===출생과 성장===
1890년 3월 13일 서울 [[숭례문]] 인근에서 [[아버지]] 류명근과 [[어머니]] 김완전 사이에 맏아들로 태아났다. 5살때 아버지에게 [[천자문]]을 배우고 6살때 홍문서골 한문서당에 다니며 통감을 배웠다. 10세에 수하동 소학교에 입학하여 2년을 다니고 다시 한문 서당에 다녔다. 12살때부터 [[자하문]] 밖 부암동 큰집 사랑에 차린 서당에서 3년 동안 [[맹자]]를 배웠다.
=== 기독교 신앙에 귀의 ===
15세에는 [[기독교청년회|YMCA]] 한국 초대 총무인 [[김정식 (1862년)|김정식]]의 인도로 [[개신교]]에 입문하여 [[연동교회]]에 다녔다. [[경성일어학당]]에 입학하여 2년간 [[일본어]]를 공부했다. [[1909년]] [[경기도]] [[양평]]의 [[양평학교]]에서 한학기동안 교사로 일하였다. [[1910년]] [[이승훈 (1864년)|이승훈]]의 초빙을 받아 교사로 2년간 근무하였다. [[1912년]]에는 [[기독교]] 사상가요 문인인 [[레프 톨스토이|톨스토이]]를 연구하여 그 영향으로 기성교회를 나가지 않게 되었다.
톨스토이는 그의 짧은 [[소설]]들([[바보 이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등)에서 드러나듯이,[[기독교]]인의 신앙생활은 [[교회]]에 나가는 종교행사의 충실한 참여가 아니라, [[역사적 예수]]의 삶과 [[복음]]을 이웃에 대한 자비,정직한 [[노동]], [[양심적 병역거부]], 악을 선으로 이기는 비폭력투쟁등으로 실천하는 삶이라고 이해했다. 일본 [[도쿄]]에 가서 도쿄 물리학교에 입학하여 1년간 수학하였다.
==결혼과 YMCA활동==
[[1915년]] 김효정과 결혼하였고, 이후 [[최남선]]과 교제하며 잡지 《청춘》에 '농우', '오늘'등 여러 편의 글을 기고하였다. [[1919년]] [[삼일운동]] 때에 [[이승훈 (1864년)|이승훈]]이 거사 자금으로 기독교 쪽에서 모금한 돈 6천원을 아버지가 경영하는 경성피혁 상점에 보관하였다. 후에 이것이 적발되어 압수당하였으며 류영모 대신 아버지 유영근이 체포되어 105일간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21년]] [[조만식]]의 후임으로 [[오산학교]] 교장에 취임하여 일년간 재직하였다. [[1928년]] [[기독교청년회|YMCA]]의 연경반 모임을 지도하기 시작하여 [[1963년]]까지 약 35년간 계속하였다. [[1928년]] 이전에는 아버지의 경성피혁상점의 일을 도왔는데, 이후로는 아버지 유명근이 차려준 솜공장인 경성제면소를 경영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잡지 《[[성서조선]]》에 기고를 하였으며 이 일로 [[1942년]] 일제에 의해 [[종로경찰서]]에 구금되었다가 57일 만에 서대전 형무소에서 아들 의상과 함께 풀려났다. 해방 후 행정 공백기에 자치위원장으로 주민들에 의하여 추대되었다.
== 생애와 사상 ==
[[정인보]], [[이광수]]와 함께 [[1940년대]] 조선의 3대 천재로 불리기도 했던 류영모는, [[1921년]] [[오산학교]] 교장을 지내나 이후 은퇴하여 농사를 짓고 제자들을 가르치며, 《[[도덕경|노자]]》를 번역하기도 했다. 기독교를 한국화하고 또 유, 불, 선으로 확장하여 이해했다.[[[중앙일보]] 2001년 4월 5일자] 그의 강의중 일부는 제자들에 의해 남아 있고, 해설과 함께 나오기도 했다. 강의들은 순우리말로 되어 있으나, 기발한 표현이 많고 함축적이어서 이해하기가 어렵다. 학자들은 류영모의 [[종교다원주의]]가 서양보다 70년이나 앞선 것에 놀라고 있다. 그의 [[종교사상]]은 [[1998년]] [[영국]]의 [[에든버러]](Edinburgh)대학에서 강의되었다.[《진리의 사람 다석 류영모 (상)》, [[박영호]], [[두레]]]
== 제자들 ==
제자 중에서 가장 아끼던 이는 [[함석헌]]이었다. 함석헌의 씨알 사상은 류영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그러나, 함석헌이 퀘이커로 종교적 외도를 한 것에 대해서 크게 나무라고 의절하였다. 류영모와 제자 [[함석헌]]의 사상은 [[2008년]] 8월호 《[[기독교사상]]》에서 특집기사 〈왜 유영모와 함석헌인가?〉로 소개되었다.[[[2008년]] 8월호 《[[기독교사상]]》-특집:왜 유영모와 함석헌인가?, [[대한기독교서회]] p.18-75]
== 지은 책 ==
* 노자(늙은이)[[http://ssialsori.net/bbs/board.php?bo_table=0403老子 道德經] [[함석헌 기념사업회]]]
== 가족 ==
* 아버지 : 류명근
* 어머니 : 김완전
* 부인 : 김효정
== 함께 보기 ==
{{col-begin}}
{{col-3}}
* [[YMCA]]
* [[오산학교]]
* [[이승훈 (1864년)|이승훈]]
* [[이상재]]
* [[윤치호]]
* [[조만식]]
* [[한근조]]
* [[함석헌]]
* [[장준하]]
* [[윤보선]]
* [[이광수]]
{{col-3}}
* [[노자]]
* [[기독교청년회]]
* [[김교신]]
* [[김정식 (1862년)|김정식]]
* [[김예진 (1896년)|김예진]]
* [[김석창 (1876년)|김석창]]
* [[안창호]]
* [[오영선]]
* [[이승만]]
* [[주기철]]
* [[정인보]]
{{col-3}}
* [[최남선]]
* [[공덕귀]]
* [[김용옥]]
* [[김흥호]]
* [[이현필]]
{{col-end}}
==관련 서적==
* 《다석강의》, [[다석학회]] 엮음, [[현암사]]
* 《다석일지》, [[김흥호]], [[솔 (출판사)|솔]]
* 《진리의 사람 다석 류영모》 상·하, [[박영호]], [[두레]]
* 《제소리》(류영모의 강의록), [[김흥호]], [[솔 (출판사)|솔]]
* 《다석 류영모 명상록》, [[박영호]] 역·해, [[두레]]
* 《다석 유영모의 동양사상과 신학》, [[김흥호]] , [[솔 (출판사)|솔]], 2002년
* 《잃어버린 예수》(다석 사상으로 다시 읽는 [[요한복음]]), [[박영호]] , [[교양인]] , 2007년
* 《다석 유영모》(동서 사상을 아우른 창조적 생명철학자) , [[박재순]] , [[현암사]] , 2008년
* 《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 [[정양모]], [[두레]], 2009년
* 《다석 마지막 강의》류영모 [[박영호]], [[교양인]], 2010년
==참고 문헌==
== 외부 링크 ==
* [http://www.dasuk.kr/ 다석학회]
* [http://www.ssialsori.net/ 함석헌 기념사업회]
* [http://www.ssialsori.net/data/dasuk/dasuk-life.htm 씨알의 소리 중 다석 소개]
[[분류:조선 사람]][[분류:1890년 태어남]][[분류:1981년 죽음]][[분류:사상가]][[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종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출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상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철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한국의 기독교계 인사]][[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종교인]][[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한국의 기독교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분류:조만식]][[분류:함석헌]][[분류:우치무라 간조]][[분류:무교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