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0/05/Yu_Sun_jeong.jpg/200px-Yu_Sun_jeong.jpg 류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다. [[사림파]] 출신으로 처음 공신에 책록된 정치인이었다. 과거 급제 후 [[조선 연산군|연산군]] 때 [[홍문관]]과 삼사의 요직을 거쳐 참판, 이조판서 등을 지냈으나 [[1506년]]의 [[중종 반정]]에 가담하여 일등공신이 되었다. 관직은 [[의정부시|의정부]] [[영의정]]에 이르렀고 청천부원군에 이르렀지만 동문 선후배들로부터 외면당하였다. 자는 지옹(智翁), 시호는 무안과 문성, 본관은 [[진주 유씨|진주]]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문인이다. == 생애 == === 생애 초반 === 목사를 지낸 목사 양(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 뒤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암기에 능했고 학업을 닦고 활을 잘 쏘아서 무인 중에서도 그와 비교할 자가 드물었다 한다. [[김종직]]은 [[성리학]] 학문 이외에 호신술로서의 활쏘기와 무예를 제자들에게 가르쳤는데 그 중에서도 무예에서는 그가 앞섰다 한다. [[1487년]] 진사를 거쳐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홍문관]]전적에 등용되었다.이어 훈련원정으로 승진하고 배편으로 비밀리에 전라도지방에 침투한 왜적을 수색, 포획하는데 성공했다. 그 뒤 무재를 인정받아 [[1491년]] 북정도원수 허종(許琮)의 막하로 야인 정벌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고 평안도평사를 역임하였다. [[조선 연산군|연산군]] 때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쳐 [[이조판서]]에 올랐다. === 관료 생활 === 그리고 [[홍문관교리]], [[사헌부지평]], [[사헌부장령]], [[사헌부집의]], [[사간원정언]] 등을 두루 거쳐 연산군이 즉위하자 사헌부헌납으로서 기우제를 반대하던 [[임사홍]](任士洪)을 공격, 비판하였고 직위를 이용해 권력남용을 하던 평안도절도사 전림(田霖)을 탄핵하였으며 한편, 야인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진언하기도 하였다. 그 뒤 [[홍문관교리]]가 되었으며, 문신으로서의 활솜씨를 인정받아 특별히 [[홍문관]] 부응교로 배수되었다. 이어 [[사헌부집의]]가 되었다가 [[의주]][[목사]]로 임명되어 변방 수비에 힘썼다. 이어 압록강 연안의 야인정벌 때는 도원수의 종사관으로 출정하여 [[여진족]] 부락의 정세를 정탐하고 오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군자물자 확보와 성곽의 보수와 수축 등 군비강화에 노력하였다. 이후 [[공조참판]], [[병조참판]]등을 역임하였다. 다시 공조참판이 되고, [[1503년]] 공조참판으로 [[명나라]]에 파견되는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연경]]에 다녀왔으며 [[1504년]]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평안감사 재직 중 [[연산군]]의 밤사냥에 대해 밤사냥의 불편함을 진언하였다가 [[임사홍]]이 이를 문제삼으면서 추국당하였다. 그 뒤 [[연산군]]의 조정에서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1506년]] [[이조판서]]로 [[박원종]](朴元宗), [[성희안]](成希顔), [[홍경주]] 등과 함께 반정을 모의하기 시작하였다. === 중종 반정 === [[1506년]]초 [[박원종]] 등이 [[김종직]]의 문하생인 유순정과 [[성희안]], [[남곤]] 등에게 사람을 보내 [[중종 반정]]을 지지해주고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할머니인 [[인수대비]]를 때려죽이고, 아버지 [[조선 성종|성종]]의 첩 두 명과 이복 동생 두 명을 때려죽인 [[연산군]]을 도덕적 패륜아라고 규정한 유순정은 [[성희안]]과 함께 적극 호응하여, 반정에 가담하였다. 그해의 [[중종 반정]]에 병력을 동원, 반정이 성공하면서 이후 [[이조판서]], [[대사헌]]을 겸임하였다. [[1506년]] [[성희안]], [[박원종]]과 함께 [[중종반정]]을 일으켜 성공, 청천군(菁川君)에 봉해지고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이어 [[정국공신]] 1등(靖國功臣一等)에 책록되고 대광보국숭록대부로 특진, 청천 [[부원군]](菁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병조판서]]로서 영경연사(領經筵事)를 겸임하면서 폐지한 [[경연]]부활에 앞장섰다. 이어서 [[우의정]]이 되고 다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어 우의정으로 [[병조판서]]를 겸직하고 [[1507년]] 이과(李顆) 등이 [[견성군]](甄城君)을 추대하고 역모를 꾸미는 것을 적발, [[이과]]의 옥사를 다스려 [[정난공신]](定難功臣) 1등관에 책록되었다. === 생애 후반 === [[1508년]] 평안도 경계지역으로의 이주와 함께 병력을 양성케 하였으며, 그해 인산(麟山), 에 둔전(屯田)을 설치하여 군자물자 조달을 강화하였다. 이어 [[좌의정]]이 되고 당시 경기도 인천, 김포, 양천, 통진 일대에 흉년으로 강도들이 횡횡하자 박영문(朴永文)·유담년(柳聃年)을 포도대장으로 임명하여 이들을 처리하게 하고, 떠돌이 유민들의 정착 방안인 안집책(安集策)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1509년]] [[좌의정]]에 오르고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직접 경상도도원수로 출정하여 전란을 평정하였다. [[1510년]] 경오왜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가 되어 병사를 총괄하였으며, 다시 도원수로서 현지에 출동하여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하고, 각 포에 왜구로부터 방어할 '비왜방략(備倭方略)'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때 [[대간]]들로부터 식화(殖貨, 재화를 늘림)를 이유로 탄핵당했으나 오히려 [[조선 중종|중종]]으로부터 군공을 치하받았다. 이어 [[1512년]] [[성희안]]의 양보로 [[의정부시|의정부]] 에 올랐다. 그러나 [[박원종]]과 [[성희안]] 등의 축재와 전횡이 만만치 않았으므로, 유순정 자신은 부패행위를 일삼지 않았음에도 다른 [[김종직]] 학파 동문, 선후배들의 시선은 냉담하였다. 영의정이 된 지 2개월만인 [[1512년]]에 사망하였다. === 사후 === 사후 [[조선 중종|중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바로 시호는 무안(武安)으로 내려졌으나 뒤에 개시되어 문정(文定)으로 고쳐졌다. == 가족 관계 == * 증조부 : 유이(柳怡) ** 조부 : 유자해(柳子偕) ** 조모 : [[심온]]의 딸 *** 아버지 : 유양(柳壤) *** 어머니 : 정집의 딸 **** 부인 : 권효충의 딸 ***** 장남 : 유홍(柳泓) ***** 자부 : 조세헌의 딸 ****** 손자 : 유사필(柳師弼) ***** 자부 : 이계남의 딸 ****** 손녀 : 홍섬에게 출가 ****** 손녀 : [[해안군]](海安君) 이희에게 출가 ***** 자부 : 측실 ****** 손자 : 유사량(柳師良) ****** 손자 : 유사안(柳師顔) ****** 손자 : 유사건(柳師騫) ****** 손자 : 유사성(柳師聖) ***** 차남 : 유자(柳滋) **** 후처 : 측실 ***** 서자 : 유연(柳漣) ***** 서자 : 유위(柳湋) ***** 서자 : 유항(柳沆) ***** 서자 : 유변(柳汴) == 관련 작품 == === 드라마 === * 《[[풍란 (드라마)|풍란]]》 ([[MBC]], [[1985년]]~[[1985년]], 배우:[[박광남]]) * 《[[조광조 (드라마)|조광조]]》 ([[KBS 2TV]], [[1996년]]~[[1996년]], 배우:[[안병경]]) * 《[[여인천하 (드라마)|여인천하]]》 ([[SBS]], [[2001년]]~[[2002년]] 배우:[[김옥만]]) == 기타 == 훈구파로 잘못 알려져왔으나 그는 비훈구파 계열 공신이었다. [[사림파]] 계열 정치인으로는 처음으로 공신에 책록된 인물 중의 한사람이다. == 관련 항목 == {{Col-begin}} {{Col-2}} * [[갑자사화]] * [[무오사화]] * [[중종 반정]] * [[김종직]] * [[성희안]] * [[김굉필]] * [[김일손]] * [[김안국]] * [[김정국]] * [[정광필]] {{Col-2}} * [[남곤]] * [[안당]] * [[김숙자 (1389년)|김숙자]] * [[유숭조]] * [[조광조]] * [[사림파]] {{Col-end}} == 참고 문헌 == * 중종실록 * 연산군일기 * 국조방목 * 국조인물고 * 대동야승 * 석담일기 * 연려실기술 == 외부 링크 ==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5166013&code=13110000 [이광형의 ‘문화재 속으로’] (77) 중종반정의 주역 류순정 초상화] 국민일보 2011.07.17 {{전임후임| 전임자=[[박원종]]| 후임자=[[박원종]]| 직책=[[조선]]의 [[섭정]]
([[성희안]]과 공동)| 임기= [[1507년]] ~ [[1509년]] }} {{종묘배향공신}} [[분류:1459년 태어남]][[분류:1512년 죽음]][[분류:사상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군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한국의 섭정]][[분류:영의정]][[분류:정국공신]][[분류:정난공신 (중종)]][[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한국의 장군]][[분류:진주 류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훈구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