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숭'''(盧嵩, [[1337년]] ~ [[141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광주 노씨|광주]](光州). 자는 중보(中甫), 호는 상촌(桑村). 목은 [[이색]]의 문생이다. [[고려]]조에서 동지밀직(同知密直) 겸 [[대사헌]](大司憲), [[전라남도|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 [[조선의 개국공신|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으며, [[조선 태종]] 때 벼슬이 검교에 이르렀다. [[시호]]는 경평(敬平)이다. == 생애 == 1357년([[공민왕]] 6)에 진사가 되고, 1365년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지신사(知申事)·대사헌·지밀직(知密直)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우왕]]이 반유(盤遊)하기를 절도가 없이 하였는데, 어느날 명하여 어가(御駕)가 들[野]로 갔다가 마침 큰 비가 와서 냇물이 창일(漲溢)하니, 노숭이 힘써 화복(禍福)을 진달(陳達)하고 눈물을 흘리면서 간(諫)하였으므로 우왕이 이에 돌아왔다. 그때 사람들이 그 경직(勁直)한 것을 아름답게 여겼다. 1382년(우왕 8년) 동지밀직(同知密直) 겸 [[대사헌]](大司憲)이 되었다. 어느날 [[우왕]]이 말을 달려 노숭의 정원(庭園)에 들어갔다가 이것이 누구의 집이냐고 물으니, 종자(從者)가 사실대로 대답하자 말을 채찍질하여 빨리 달려서 나가버렸다. 노숭이 자주 반유(盤遊)하는 것을 간(諫)하였기 때문에 [[우왕]]이 마음으로 이를 꺼려하였던 것이다. 1389년(공양왕 1) [[전라남도|전라도]][[관찰사]]가 되어 전주(全州)의 용안(龍安)과 나주(羅州)의 영산(榮山)에 성을 쌓아 조세를 운수(運輸)하여서 조전(漕轉)을 편리하게 하고, 왜구로부터의 피해를 막았다. 또한 조세를 3년 동안 면제시켜주도록 조정에 건의했으며, 의창(義倉)이 없는 주군(州郡)에 이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조선 개국 후 한양윤(漢陽尹)으로서 [[조선의 개국공신|조선 개국원종공신]]에 추가로 녹훈되었고 공신전 30결을 받았다. 1395년(태조 4) 개성유후(開城留後)를 거쳐 1397년에는 경기좌도도관찰사(京畿左道都觀察使)가 되었다. 이때 경기 땅에 고관들의 별장이 많았는데, 차역(差役)을 고르게 하고 청탁을 하지 않는 청렴함을 보였다. [[조선 태종|태종]]이 즉위하자 삼사좌사(三司左使)·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로 발탁되었고, 다음해 참판승추부사(參判承樞府事)로 기복(起復)되었으며, 그 뒤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1414년 검교에 이르렀다. [[시호]]는 경평(敬平)이다.[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ca_11408004_001 태종실록 28권, 14년(1414 갑오 / 명 영락(永樂) 12년) 8월 4일(갑진) 1번째기사] == 가족 == * 할아버지 : 대호군 노단(盧亶) ** 아버지 : 감찰지평(監察持平) 노준경(盧俊卿) ** 어머니 : 비순위별장(備巡衛別將) 이천로(李天老)의 딸 *** 아들 : 노상인(盧尙仁) *** 아들 : 노상의(盧尙義) *** 아들 : 노상례(盧尙禮) *** 아들 : 노상지(盧尙智) *** 아들 : 노상신(盧尙信) == 각주 == {{각주}} {{토막글|사람|한국사}} [[분류:1337년 태어남]][[분류:1414년 죽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광주 노씨]][[분류:과거 급제자]][[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개국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