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선수 정보
|선수명 = 김태형
|영문 표기 = Kim Tae-Hyeong
|소속 구단 = 두산 베어스
|등번호 = 88
|선수 사진 파일명 =
|사진 사이즈 =
|사진 설명 =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생년월일 = {{출생일과 나이|1967|9|12}}
|사망일 =
|신장 = 173
|체중 = 76
|수비 위치 = [[포수]]
|투구 = 우
|타석 = 우
|프로 입단 연도 = [[1990년]]
|드래프트 순위 = [[1988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88년]] 2차 4순위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첫 출장 = [[KBO (야구)|KBO]] / [[1990년]] [[4월 9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LG 트윈스|LG]]전 (홈서울)
1타수 1안타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01년]] [[5월 30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삼성 라이온즈|삼성]]전
|획득 타이틀 =
|계약금 = 5억원
|연봉 = 5억원 (2018년)
|경력 =
'''선수 경력'''
*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1990년 ~ 1998년)
* [[두산 베어스]] (1999년 ~ 2001년)
'''지도자 경력'''
* [[두산 베어스]] 플레잉코치 (2001년)
* [[두산 베어스]] 배터리코치 (2002년 ~ 2011년)
* [[SK 와이번스]] 배터리코치 (2012년 ~ 2014년)
* [[두산 베어스]] 감독 (2015년 ~ 현재)
|대표국가 = 대한민국
|올림픽 = 1988 서울 (시범종목)
}}
'''김태형'''(金太亨, [[1967년]] [[9월 12일]] ~ )는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포수]]이자, 현재 [[두산 베어스]]의 감독이다.
== 선수 시절 ==
===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시절 ===
[[서울화계초등학교|서울화계초]], [[신일중학교 (서울)|신일중]], 중퇴 후 [[단국대학교|단국대]] 체육학과 편입 이후 졸업을 거쳐 1990년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에 입단하면서 1980년대를 주름잡던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의 포수 듀오 [[조범현]]과 [[김경문]]을 밀어내고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했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수비형 포수 중 하나였고,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의 주전으로 뛰면서 상대적으로 장타력이 좋은 박현영과 출장 시간을 이상적으로 배분했으며, [[김인식 (1947년)|김인식]] 감독 취임 이후 일발 장타력을 인정받던 [[이도형 (야구인)|이도형]]까지 포수 진에 가세한 덕분에, OB의 포수 진은 현재까지도 내려오는 전통의 포수 왕국의 컬러를 확립하게 되었다. 아무래도 공격력 부분에선 백업인 박현영, [[이도형 (야구인)|이도형]]에 비해 열세인 덕분에 특출난 시즌 성적을 기록하지는 못했으나, 1995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한 일등공신이었다. 이후 국가대표 출신 초대형 포수 유망주 [[최기문 (야구인)|최기문]], [[진갑용]], [[홍성흔]]이 연달아 입단하며, 그의 주전 포수 자리를 자연스럽게 세대교체하는 시도가 진행되었는데, 의외로 [[최기문 (야구인)|최기문]]을 밀어낸 [[진갑용]]이 타격, 수비 양쪽에서 부진을 거듭하며 확실한 후계자로 믿음을 주지 못했다.
=== [[두산 베어스]] 시절 ===
1999년부터 신인 열세로 평가받던 [[홍성흔]]이 의외로 주전 포수를 차지하면서, [[홍성흔]]의 백업과 수비 강화를 위한 역할로 자연스럽게 세대교체가 진행되었다. 2001년 플레잉코치로 보직이 변경되었으며, 6서울 출장을 끝으로 그대로 은퇴했다. 선수 시절 비슷한 커리어의 수비형 포수였고, 이후 현역 감독으로 경쟁 중인 대선배 [[조범현]], [[김경문]]보다는 현역 시절 타격을 잘했다.
한국 프로야구 선수협회 5적 네임밸류로 불렸으나 당시 구단주가 [[KBO (야구)|KBO]] 회장이면서 두산그룹 오너였던 박용오 회장이었고 선수협에 가입하면 구단 자체를 없애 버린다고 엄포를 놓자 그는 선수들의 안전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구단과 선수협 가입 불가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구단이 [[심정수]]를 트레이드 시키면서 구단의 약속이 이행되지 않자 다시 선수들을 이끌고 선수협에 가입했다.
== 야구선수 은퇴 후 ==
=== [[두산 베어스]] 코치 시절 ===
현역 마지막 시즌부터 플레잉 코치로 뛰기 시작했고 다음 해 은퇴하면서 [[두산 베어스]]에서만 10년 동안 배터리코치로만 재직하면서 [[홍성흔]] 이후의 포수 자원인 [[용덕한]], [[양의지]] 등을 강인권 코치와 프로에 안착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두산 베어스]]가 [[김광수 (1959년)|김광수]] 감독대행 체제로 2011 시즌이 끝난 후 감독 후보군에 올랐지만, 당시 투수코치였던 [[김진욱]]이 신임 감독이 됨에 따라 팀을 떠나 [[SK 와이번스]]에 1군 배터리코치로 옮겼다.
=== [[SK 와이번스]] 코치 시절 ===
[[SK 와이번스]] 배터리 코치 시절 코치로서 능력은 유능하다고 인정받았다. [[SK 와이번스]]로 자리를 옮긴 후에 수비적으로는 아직 모자란 모습을 보였지만 포수보다 플래툰으로 많이 나왔던 [[이재원 (야구 선수)|이재원]]이 주전 포수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데는 그의 공이 컸다. 3년간 [[SK 와이번스]]의 배터리코치로 있다가 2015년, 당시 감독이었던 [[송일수]]가 성적 부진으로 경질되자 친정팀으로 돌아와 감독을 맡았다.
=== [[두산 베어스]] 감독 시절 ===
취임식 때 그는 공격적인 야구를 선보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015년]] 감독 부임 첫해 페넌트레이스 성적 79승 65패, 3위로 마쳤고 [[2015년 KBO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에서 [[SK 와이번스|SK]]를 꺾고 올라온 [[넥센 히어로즈|넥센]]과의 준플레이오프에서 4차전 2-9로 크게 뒤지던 서울를 7회부터 9회까지 연속 9득점을 올리며 7점 차 대역전승, 3승 1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이어 [[NC 다이노스|NC]]와의 플레이오프에서도 벼랑 끝에 몰렸으나 4차전 [[더스틴 니퍼트]], 5차전 선발투수 [[장원준 (야구 선수)|장원준]]의 활약으로 3승 2패로 [[NC 다이노스|NC]]를 꺾고 감독 부임 첫해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하였다. [[2015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1차전 역전패를 당했으나 2차전부터 5차전을 내리 이기며 14년 만에 팀에 우승을 안겨주었다. 이 우승으로 그는 역대 4번째로 감독 부임 첫해에 우승을 이끈 주인공이 되었고, 이러한 공로로 2015 시즌 감독상을 받았다. [[1995년]] 현역 시절, [[2001년]] 코치 시절, [[2015년]] 감독 시절 우승하여 한팀에서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2016년]] [[5월 11일]] [[SK 와이번스|SK]]와의 서울에서 통산 100승을 달성하였다. 전반기 종료 후 후반기를 앞두고 3년 재계약을 체결하였다.
== 기타 ==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주장 시절에는 정말 무서운 군기반장이기도 했다. 서울 끝나고 선수들을 소집해서 엄하게 다그치는 일도 자주 있었다. 이광용의 옐로카드에 출연해서 해명하기로는 "당시 감독이던 김인식 감독이 성격이 부드러우셔서 군기반장을 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고 밝혔다.
== 출신 학교 ==
* [[서울화계초등학교]]
* [[신일중학교 (서울)|신일중학교]]
* [[단국대학교]] 체육학과(편입 후 졸업)
== 통산 기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right;"
|- bgcolor="#efefef"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
|1990 ||rowspan="9" style="text-align:center;"|[[두산 베어스|OB]]||0.181 ||87 ||166 ||13 ||30 ||3 ||0 ||1 ||36 ||7 ||1 ||3 ||11 ||2 ||12 ||3 ||9
|-
|1991 ||0.226 ||88 ||199 ||17 ||45 ||8 ||0 ||1 ||56 ||24 ||3 ||2 ||14 ||1 ||13 ||4 ||5
|-
|1992 ||0.244 ||108 ||246 ||28 ||60 ||6 ||2 ||0 ||70 ||20 ||2 ||2 ||23 ||2 ||19 ||4 ||11
|-
|1993 ||0.277 ||107 ||242 ||22 ||67 ||14 ||2 ||1 ||88 ||27 ||1 ||0 ||15 ||2 ||14 ||5 ||5
|-
|1994 ||0.231 ||81 ||199 ||19 ||46 ||9 ||0 ||1 ||58 ||18 ||1 ||2 ||11 ||1 ||24 ||3 ||7
|-
|1995 ||0.216 ||93 ||194 ||20 ||42 ||12 ||0 ||1 ||57 ||19 ||1 ||1 ||7 ||3 ||26 ||4 ||7
|-
|1996 ||0.272 ||85 ||254 ||24 ||69 ||10 ||0 ||1 ||82 ||20 ||2 ||0 ||2 ||0 ||13 ||7 ||4
|-
|1997 ||0.267 ||42 ||86 ||7 ||23 ||4 ||0 ||2 ||33 ||9 ||0 ||0 ||4 ||1 ||12 ||1 ||1
|-
|1998 ||0.203 ||69 ||143 ||8 ||29 ||5 ||0 ||0 ||34 ||7 ||1 ||1 ||8 ||4 ||16 ||2 ||7
|-
|1999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두산 베어스|두산]]||0.200 ||37 ||80 ||4 ||16 ||5 ||0 ||1 ||24 ||4 ||0 ||0 ||5 ||1 ||9 ||1 ||2
|-
|2000 ||0.174 ||24 ||23 ||0 ||4 ||0 ||0 ||0 ||4 ||2 ||0 ||1 ||0 ||0 ||5 ||3 ||0
|-
|2001 ||0.333 ||6 ||3 ||1 ||1 ||0 ||0 ||0 ||1 ||0 ||0 ||0 ||0 ||0 ||1 ||0 ||0
|- bgcolor="#cccccc"
|'''통산''' ||'''12시즌'''||0.235 ||827 ||1835 ||163 ||432 ||76 ||4 ||9 ||543 ||157 ||12 ||12 ||100 ||17 ||164 ||37 ||58
|}
== 각주 ==
{{전임후임|
|전임자 = [[송일수]]
|후임자 = (현임)
|대수 = 10
|직책 = [[두산 베어스]] 감독
|임기 = 2014년 10월 21일 ~ 현재
}}
{{두산 베어스 명단}}
{{둘러보기 상자 묶음
|제목 = 두산/OB 베어스
|bg = black
|fg = white
|내용 =
{{1995년 OB 베어스}}
{{2015년 두산 베어스}}
{{2016년 두산 베어스}}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KBO 리그 감독}}
[[분류:196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KBO 리그 포수]][[분류:OB 베어스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감독]][[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화계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