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정보 |이름 = 김준원 |현지어표기 = 金埈元 |종교 = [[불교]] |본관= [[경주 김씨|경주(慶州)]] |배우자= 변상희 |자녀= [[김정렬 (1917년)|김정렬]](장남)
[[김영환 (1921년)|김영환]](차남) |부모= |친척=[[김기원 (1878년)|김기원]](형) |생애=[[1888년]] [[9월 18일]] ~ [[1969년]] [[1월 1일]] (80세) |태어난 곳={{국기|조선}} [[한성부]] |죽은 곳={{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복무={{육군|일본 제국}}
{{육군|대한민국}} |복무 기간={{육군|일본제국}}[[1914년]] ~ [[1945년]]
{{육군|대한민국}} [[1946년]] ~ [[1954년]] |최종 계급= {{일본 육군 계급장|대위}}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준장|육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서훈 내역= |기타 이력= |}} '''김준원'''(金埈元, [[1888년]] [[9월 18일]] ~ [[1969년]] [[1월 1일]]{{뉴스 인용 |제목=金埈元 예비역장군 별세 |출판사=조선일보 |쪽=7면 |날짜=1969-01-05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본관은 [[경주 김씨|경주]](慶州)이고 [[대한민국 공군]]의 초대 참모총장을 지낸 [[김정렬 (1917년)|김정렬]]과 [[대한민국 공군]]의 창설 인사 가운데 한 사람인 [[김영환 (1921년)|김영환]]의 아버지이다.{{뉴스 인용 |저자=방학진 |url=http://www.sbook.co.kr/view.html?serial=465 |제목=조국의 하늘을 욕되게 한 김정렬 |출판사=[[작은책]] |날짜=2006-03-01 |확인날짜=2008-07-04 }} == 학력 == * [[일본 육군사관학교]] 26기 졸업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특2기 [[졸업]]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 생애 == 출신지는 [[한성부]]이다. 형인 [[김기원 (1878년)|김기원]]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제15기로 졸업한 [[대한제국]]의 무관이었다. 김준원도 [[일본]]에 유학하여 [[1914년]]에 일본육사를 제26기로 졸업{{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청산하지 못한 역사 2 |날짜=1994-03-01 |출판사=청년사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7278-313-8}} |장=김정렬 : 일제에서 6공까지 노회한 군인의 권력이동 (조현연) }} 했다. 이후 [[일본군]] 장교가 되어 [[1923년]]에 일본 육군 보병 대위에 올랐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 [[대한민국 국군]]이 창설될 때 참여하여 [[1949년]]에 육군 소령이 되면서 김정렬과 함께 국군에서 복무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한 [[1950년]]에는 경남지구 병사구사령부 참모장을 역임하였으며, 이듬해 101사단 102연대장을 지냈다. [[1952년]]에 경남 병사구 사령관, [[1953년]]에는 서울지구 민사부장에 올랐다. [[1954년]]에 경남 병사구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육군 준장으로 진급한 뒤 예비역에 편입되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형 김기원, 아들 김정렬과 함께 선정되었다. == 같이 보기 == * [[일본육군사관학교]] * [[김기원 (1878년)|김기원]] * [[김정렬 (1917년)|김정렬]] == 참고 자료 == * {{국사편찬위원회 인물|101_21666|김준원|金埈元}} == 각주 == [[분류:1888년 태어남]][[분류:196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대한민국 육군 준장]][[분류: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경주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