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다. [[본관]]은 (신)[[신 안동 김씨|안동]](安東)이며 [[자 (이름)|자]](字)는 경은(景隱), [[호 (이름)|호]](號)는 하옥(荷屋),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의 아들이자 [[김유근]]의 동생이며, [[조선 순조|순조]]의 왕비인 [[순원왕후]](純元王后)의 남동생이다. [[조선 문조|익종]]의 외숙부였다. 순탄한 벼슬생활을 하면서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다.
== 생애 ==
[[1825년]], 아버지인 [[김조순]]의 추천으로 무품관직(無品官職)인 부수(副率)가 되었고 [[1834년]]에는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으로 승진하여 [[1837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41세의 나이로 진사가 되었고 1838년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부교리(副校理)와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지내고 승진하여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사헌부]][[대사헌]], [[병조판서]]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철종의 즉위년인 [[1850년]] 이후 요직에 등용되어 [[의정부]] [[우참찬]](右參贊)과 [[선혜청]] 당상 등에 보직되었으며 금위대장을 거쳐 총융사, 다시 금위대장, [[형조판서]], 훈련대장, 공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였는데 한번도 외관직을 맡은 적없이 순탄한 벼슬생활을 하였다.
[[1853년]]부터 [[1863년]]까지 [[영의정]]에 세 번이나 보직되었으며 [[1862년]], [[삼정의 문란]]으로 발생한 각지의 민란을 진압하기 위해 이정청(釐正廳)의 총재관(摠裁官)을 겸하였다. 그 뒤 [[순원왕후]]는 승하하였으나 일족의 실력을 바탕으로 안동김씨의 중심인물로서 세도정치를 폈다.[{{웹 인용 |url=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inmul/johoo/1/219.html# |제목=서울육백년사, 인물, 김조순 |확인날짜=2009-01-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40826152457/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inmul/johoo/1/219.html# |보존날짜=2004-08-26 |깨진링크=예 }}]
파락호의 처지에 있던 [[흥선군]]이 그의 저택을 방문하자 재정적으로 후원하였으며 처지가 궁한 그가 석파란으로 알려진 난초화를 가져오면 이를 받고 소정의 금액을 지불해주기도 하였다. 흥선군을 귀찮게 여긴 다른 사대부가와는 달리 흥선군에게 용돈, 노잣돈을 줘서 돌려보내기도 했다. [[안동 김씨]]의 중심인물로서 [[조선 헌종|헌종]]과 [[조선 철종|철종]]대에 걸쳐 세도정치를 폈으며 1863년 12월 철종이 아들없이 급서하여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원상 정원용과 함께 흥선대원군의 둘째아들인 명복(命福)이 사왕(嗣王)으로 결정되자 봉영사(奉迎使)로 파견되어 [[대한제국 고종|고종]]으로 옹립하는 일을 주관했다.
[[1863년]], [[대한제국 고종|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권하자 영의정에서 물러났으나 원임대신 자격으로 정사에 참여하여 국정을 자문하였다. 아들 [[김병기 (1818년)|김병기]]와 함께 몰락왕족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던 흥선대원군을 도왔으며, 다른 안동김씨 일족이 숙청당했을 때도 몰락하지 않고 원로대우를 받았다. 1864년부터 [[철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여 실록총재관(實錄摠裁官)으로 《철종실록》 편찬을 주관, 지휘하였다. [[1868년]] 대원군에 의해 삼군부(三軍府)가 부활, 설치되자 삼군부영사(三軍府領事)가 되었다. 돈령부영사(敦寧府領事)로 치사하였으며, [[1866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1869년]]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충익(忠翼)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조선정감》에 보면 고종(高宗)이 [[조선 정조|정조]](正祖)의 능인 [[융건릉|건릉]](健陵)에 행행(行幸)했을 때 흥선대원군이 김좌근에게 무안을 준 일화와 그의 애첩이었던 [[나주]](羅州)의 기생 양씨(梁氏), 즉 나합(羅閤)의 투기를 트집잡아 청수동 별장(淸水洞別莊)으로 대원군이 찾아가 궁궐중건비 10만냥과 고종의 가례비(嘉禮費) 10만냥을 받아낸 재미있는 일화가 소개되고 있다.
[[1999년]] 그의 후손들은 그와 아들 [[김병기 (1818년)|김병기]]가 살던 [[경기도]] [[이천시|이천군]]의 가옥을 기증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이천시 내촌리에 있다.[[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090612003241&subctg1=&subctg2= 서울대, ‘김좌근 고택’ 기증받아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일보]]
== 가족관계 ==
* 5대조부 : 영의정 충헌공(忠獻公) [[김창집]](金昌集)
** 고조부 : 우부승지 증 의정부좌찬성 충민공 [[김제겸]](金濟謙)
*** 증조부 : 증 의정부좌찬성 김달행(金達行)
**** 할아버지 : 서흥부사(瑞興府使) 증 영의정 김이중(金履中)
***** 아버지 :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
***** 어머니 :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청송 심씨]](淸松沈氏) - 심건지(沈健之)의 딸
****** 형님 : 돈령부판사(敦寧府判事) [[김유근]](金逌根)
******* 조카 : 어조참판 김병주(金炳㴤) - 생부 : 김홍근(金弘根)
****** 형님 : 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김원근 (1786년)|김원근]](金元根)
******* 조카 : 형조판서 김병지(金炳地)
****** 누나 :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
****** 매형 : [[조선 순조|순조대왕]](純祖大王)
******* 조카 : [[조선 익종|익종대왕]](翼宗大王=효명세자)
****** 정실 : 정경부인(貞敬夫人) 윤씨(尹氏)
******* 양자 : 좌찬성(左贊成) 광주부유수 [[김병기 (1818년)|김병기]](金炳冀) - 생부 : 김영근(金泳根)
****** 후첩 : 나주부인(羅州夫人) 양씨(梁氏), 별칭은 나합
== 고종 즉위 반대 이유 ==
김좌근과 [[김흥근]]은 [[조선 철종|철종]]이 병석에 눕자 만나서 비밀리에 숙의했다.[윤효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박광희 편역, 다산초당, 2010) 137페이지]
김좌근과 김흥근이 내린 결론은 "만일 흥선군이 [[대원군]]이라는 위치를 믿고 국정에 간섭해서 그 위세로 나라의 [[법]]을 변경하면 이 일을 감히 누가 막을 자가 있겠소? 그리 되면 나라는 불안한 상황 속에서 종묘사직에 위험이 미칠 것이다." 라는 것이다. [[윤효정]]은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놓고, 그들의 예상대로 됐다고 보았다.
[[윤효정]]은 이를 두고 김좌근과 김흥근 두 정승의 통찰력과 먼 훗날을 염려하는 마음이라 평했다.[윤효정, 《대한제국아 망해라》 (박광희 편역, 다산초당, 2010) 138페이지] 그러나 [[흥선대원군]]은 둘의 만남을 전해듣고 앙심을 품게 된다.
고종이 즉위하게 되자 김좌근과 김병기는 흥선대원군이 집정(執政)하는 데 반대했다.[임용한, 《난세에 길을 찾다》 (박광희 역, 시공출판사, 2009) 284페이지] 그러나 조대비는 김좌근 등의 반발을 무릎쓰고 흥선군의 정치 참여를 공식화했다.
== 관련 항목 ==
* [[김조순]]
* [[김문근]]
* [[순원왕후]]
* [[순조]]
* [[김병기 (1818년)|김병기]]
* [[정원용]]
* [[조대비]]
* [[흥선대원군]]
== 기타 ==
그의 첩 [[나합 양씨]]는 [[경기도]] [[시흥시]] 출신이다. 인사성이 빨라 김좌근은 그녀에게 빠져들었고, 한참 뒤부터는 그녀와 함께 국정을 논하면서 방백수령들이 그들의 손에서 많이 나왔다.[황현, 《매천야록》 (정동호 역, 일문서적, 2011) 46페이지] 더구나 나합은 남편 [[김좌근]] 몰래 빈객들과 간통까지 했으며 한때 그의 세력이 커져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는 아첨하기를 나합이라고 불렀다. [[나합]]은 나주 합하의 약칭으로 남편인 김좌근이 삼정승을 지낸 거물로, 삼정승에게 붙는 존칭인 합하를 붙이게 된 것에서 유래한다. 그에게 비판적이었던 세인들은 나주 조개라고 비아냥대기도 했다.
나합에 대한 일은 [[황현]]의 [[매천야록]], [[윤효정]]의 [[대한제국아 망해라]]에도 실렸고, 이는 [[김동인]]의 [[운현궁의 봄]]과 [[유주현]]의 [[대원군]]에도 묘사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참판]] [[조연창]]이 나합의 초대를 받고 둘이 대좌하고 있는데 김좌근이 갑자기 들어와 그를 보고 꾸짖었다. '영감은 대체 무슨 일로 이 곳에 와 있소?'라 하자 이 말을 들은 나합은 간드러지게 웃으며 둘러댔다. '어찌 대감은 관상을 벌써 보셨습니까? 저 또한 관상을 보려고 합니다.' 김좌근은 손뼉을 치면서 응대하였다. '옳소, 옳소' 그런 뒤에 나갔다. [[황현]]에 의하면 당시 [[조연창]]은 관상을 잘 봤다고 하는데 후에 이름을 별창으로 고쳤다.
== 대중 문화에 나타난 김좌근 ==
=== 드라마 ===
* [[장민호 (배우)|장민호]] - [[1982년]] ([[풍운 (1982년 드라마)|풍운]]) [[MBC]] 드라마
* [[김성원 (배우)|김성원]] - [[1989년]] ([[바람과 구름과 비]]) [[KBS]]2 드라마
* [[송재호]] - [[2001년]] ([[명성황후 (드라마)|명성황후]]) [[KBS]] 드라마
* [[최종원]] - [[2014년]] ([[조선 총잡이]]) [[KBS2]] 드라마
=== 영화 ===
* [[백윤식]] - [[2018년]] ([[명당 (영화)|명당]])
== 각주 ==
== 참고 문헌 ==
* 순조실록
* 헌종실록
* 철종실록
* 고종실록
* 고종시대사
{{전임후임|
전임자=[[조인영]]|
후임자=[[김문근]]|
직책=[[조선]]의 상급 국상|
임기= [[1849년]] [[7월 25일]] ~ [[1854년]] [[10월 23일]]
}}
[[분류:1797년 태어남]][[분류:1869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한국의 섭정]][[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안동 김씨 (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영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