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정보 | 이름 = 김정렬 | 현지어표기 = 金貞烈 | 종교 = [[불교]] | 별명 = 호(號)는 서암(曙巖)· 산남(山南)· 이열(怡悅)
일본식 이름은 '''카가와 사다오'''(香川貞雄) | 배우자 = 이희재 | 자녀 = 슬하 3남 2녀 | 부모 = [[김준원 (1888년)|김준원]](부), 변상희(모) | 친척 = [[김기원 (1878년)|김기원]](큰아버지)
[[김영환 (1921년)|김영환]](아우) | 정당 = [[무소속]] | 생애 =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 (74세) | 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a/Sadao_Kagawa%2C_Ki-61.jpg/300px-Sadao_Kagawa%2C_Ki-61.jpg | 설명 = [[가와사키 Ki-61|3식 전투기 히엔]]의 앞에 서 있는 김정렬 장군 |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경성부]] | 사망지 =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복무 ={{육군|일본제국}}
{{육군|대한민국}}
{{공군|대한민국}} | 복무 기간 = 1941년 ~ 1957년 1월 6일
{{육군|일본제국}}[[1941년]] ~ [[1945년]]
{{육군|대한민국}}[[1946년]] ~ [[1949년]]
{{공군|대한민국}}[[1949년]] ~ [[1957년]] [[1월 6일]] | 최종 계급= 일본 육군 대위(1945년)
대한민국 육군 대령(1949년)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중장|공군}} 전역(대한민국 공군 예편) - [[1957년]] [[1월 6일]] | 근무 = [[대한민국 공군본부|공군본부]] | 지휘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서훈 내역 =1951년 2월 및 1956년 12월 미국 수공훈장
1951년 10월 [[태극무공훈장]]
1954년 10월 [[을지무공훈장]]
1956년 4월 [[충무무공훈장]]
1963년 12월 수교훈장 흥인지
1987년 7월 수교훈장 광화대장
1992년 9월 1일 국민훈장 무궁화장 | 기타 이력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김정렬'''(金貞烈, 일본식 이름: 香川貞雄 카가와 사다오,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웹 인용 |url =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3g1898a |출판사 =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제목 = 김정렬 }}{{깨진 링크|url=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3g1898a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외교관]], [[기업가]]이다. 국회의원과 국무총리를 지낸 그의 [[호 (이름)|아호(雅號)]]는 서암(曙巖), 산남(山南), 이열(怡悅)이다. 그는 [[김신 (1922년)|김신]]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의 창군 주역의 한 사람으로 공군 군번은 1번(50001번)이었다. [[1940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1941년]] 일본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조종수로 출전하였다. 해방 후 창군에 참여하고 [[1949년]]에는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참여하여 초대,3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57년]] 중장 예편 이후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1963년]]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의 초대 의장이 되었다가 그 해에 주미대한민국대사로 부임, 1년간 근무했다. 1966년에는 반공연맹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1967년]]에는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기업인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때 총리 서리로 발탁되어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그의 큰아버지 [[김기원 (1878년)|김기원]]도 대한제국 군인이었다 그의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도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육군]] 창군에 참여하여 [[한국 전쟁]] 당시 육군 대령으로 참전하였고, [[6.25 전쟁]] 당시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폭격의 위기로부터 구한 [[김영환 (1921년)|김영환]]은 그의 동생이었다. == 생애 == === 생애 초반 === [[1917년]] [[9월 29일]] [[경성부]] 종로에서 김준원과 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영환 (1921년)|김영환]]은 그의 동생이었다. 김정렬은 [[경성부]]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큰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대한제국]] 군인이었던 무관 집안이었다.{{뉴스 인용 |저자=방학진 |url=http://www.sbook.co.kr/view.html?serial=465 |제목=조국의 하늘을 욕되게 한 김정렬 |출판사=작은책 |날짜=2006-03-01 |확인날짜=2008-03-25 }}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선]]에서 무관을 지낸 집안으로, 큰아버지 김기원과 아버지 김준원은 구한말 군관학교를 졸업한 대한제국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 무렵에 각각 다시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15기와 26기 졸업생으로 일본군에 편입되어 일제 강점기에도 군인으로 활동했다. 특히 아버지 김준원은 해방 후 육군 창군에 참여, [[한국 전쟁]]에는 육군 대령으로 경남병사구사령관으로 활동하였고 예비역 [[1성 장군|준장]]으로 예편하기도 했다. 1935년 경성공립중학교(京城公立中學校)를 졸업한 뒤 다시 편제가 바뀐 에 4학년이 되었다. [[1937년]] 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예과사관학교에 들어갔다. === 일본군 복무 === 1940년 일본예과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 54기로 편입, [[1941년]] 3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제국 육군]] 항공대 소속 조종사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며 [[1941년]] [[12월]] 항공 중위로 [[필리핀]] 공략 작전에 참여하였다. 일본 육군의 비행중대장 및 비행전대장으로 보임되었다. [[1942년]] 일본 아케노(明野)육군항공비행학교에 입학하여 [[1943년]] 일본 아케노(明野)육군항공비행학교를 졸업했다. 바로 대위로 승진하여 전투기 비행중대장으로 보임되었다. === 창군과 공군 창설 활동 === 광복 후 [[1946년]] [[최용덕 (1898년)|최용덕]], [[이근석]],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 등과 함께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항공대]]([[공군]]의 전신) 창설에 앞장섰으며, 그해 이희재와 결혼하였으나 야근과 훈련 등의 이유로 2년간 결혼식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가 [[1948년]]에 결혼하였다. [[1949년]] [[육군 항공대]]가 [[대한민국 공군|공군]]으로 독립하자 김정렬은 동생 [[김영환 (1921년)|김영환]]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공군]]의 창군에 참여하여 [[대한민국 공군]]의 초대 [[참모총장]]이 되었다.한편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은 [[대한민국 육군]] 창군에 참여하였다. 한편 공군의 [[장군|장성]]으로 진급하여 당시 육군 [[대령]]으로 있던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보다도 더 직급이 높아졌다. 이후 초대, 제3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하였는데 당시 육군 [[대령]]인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 공군 대령인 동생 [[김영환 (1921년)|김영환]] 등도 참전하였다. [[6.25 전쟁]] 이후 공군사관학교 교장, 군사정전회담 한국군 연락장교단 단장, 주한(駐韓)[[유엔군사령부]] 한국군사사절 단장, [[공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7년]] 초 공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1957년 [[7월]]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장관이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장관]] 재직 중 [[1958년]] 방첩 조직인 79호실을 조직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4월 25일]]부터 [[권승렬]] 등과 함께 [[이승만]]의 하야를 촉구하고 자신도 사퇴하였다. [[4·19 혁명]] 이후 1년간 야인 생활을 하였다. === 국방부 중앙정보국 설치 === {{참고|국방부 79호실}} [[1959년]] 어느 날 미 [[CIA]] 주요 간부 한 사람 이 당시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인 김정렬에게 [[미국]] 기관과는 별도김교식, 《다큐멘터리 박정희 3권》 (평민사, 1990) 21페이지 의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며 당시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 [[김정렬]]에게 제의해왔다. 그는 [[미국]] 기관과 는 별도의 조직으로 운영될 [[CIA]] 지부 를 [[대한민국]]에 설치하고 싶다고 제의해왔다. 그는 [[CIA]] 지부가 설치 되면 그 요원 들에게 [[외교관]]과 똑같은 [[치외법권]]이 보장 되어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김교식, 《다큐멘터리 박정희 3권》 (평민사, 1990) 22페이지 그러나 [[김정렬 (1917년)|김정렬]]은 쉽게 응하지 않았다. [[미국 중앙정보부]], 즉 CIA 간부라고 자신을 소개한 넬슨은 [[CIA]] 서울지부를 창설하러 왔다고 말하 는 것이었다. 어리둥절해 하는 김 장관에게 넬슨은 전임 장관인 [[김용우 (1912년)|김용우]]와 [[CIA]]부장 앨런 덜레스가 함께 서명한 협약서를 제시했다. 김정렬은 이 제안에 대해 [[CIA]] 한국 지부가 독자적인 기관으로서 설치되는 것은 곤란하나, [[주한 미국 대사관]] 안에 적당한 자리를 마련하여 활동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한미 두 나라의 정보협력에 대해서 규정한 문서였는데 김정렬은 이런 것이 있는 줄 그때 처음 알게 되었다. 넬슨은 이 협약에 따라 [[CIA]]지부를 개설하고 이 기구와 상대할 한국측 정보기관도 만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김정렬은 [[이후락]]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였지만 미국 [[CIA]]에서 계속 부탁하자 [[이승만]]에게 보고했다. [[이승만]]은 아에 [[CIA]]를 믿지 말라면서 쉽게 허락해주지 않았다. 결국 정보기관은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의 예하에 두는 것으로 낙착된다. 김 장관이 이 문제를 [[이승만]] 대통령과 상의했더니 대통령은 내키지 않는 표정으로 [[CIA]]지부의 창설을 허가하면서도 주의를 주는 것이었다. [[1958년]]부터 [[미국]]은 [[CIA]]를 본뜬 정보기관을 설치하도록 [[이승만]] 대통령에게 요청하였지만 [[미국]]을 불신하던 [[이승만]]은 그 제의를 받아 주는 척 하면서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산하에 설치함으로써 기능을 격하시켰다. === 정치 활동과 기업인 활동 ===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에 의해 다시 발탁되어 1963년 1월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 창당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해 3월부터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초대 당 의장이 되었고, 같은 해 [[주미 대한민국 대사]]가 되어 1년간 근무하고 [[1965년]] 귀국했다. 1966년 [[반공연맹]] 이사장, 1967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전국구(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지냈다.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가 자신이 [[곽영주]]의 훼방으로 소장 진급이 어려워졌을 때 김정렬이 나서서 [[박정희]]를 소장으로 진급시켜준 은혜를 잊지 못했던 [[박정희]]는 자신이 정권을 잡자 김정렬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초대 당의장을 시켜준 것부터 시작해서 국가의 요직을 두루 경험하게 해줬으며 이것이 [[전두환 정권]]인 5공화국까지 이어지게 했다. 또 [[정일권]]의 후임으로 주미 한국대사를 지냈으며, 이것은 김정렬의 대사 임명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아그레망]]이 정식으로 요청된 것이었다.{{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3041600329201011&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3-04-16&officeId=00032&pageNo=1&printNo=5375&publishType=00020| 제목 = 駐美 大使에 金貞烈씨 任命 | 날짜 = 1963-04-16 | 출판사 = 경향신문 }} [[국회의원]] 임기를 마친 후 1971년부터 [[삼성물산]] 사장(三星物産)으로 초빙된 뒤 경제동우회(經濟同友會)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주식회사 정우개발(正友開發)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실업계에서 활동하다가, 1980년 [[최규하]] 대통령을 찾아가 하야를 종용하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을 계기로 [[전두환]] 정권에서 [[1980년]] [[8월]] [[국정자문회의]] 위원이 되었다. 이어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平和統一諮問會議) 수석부의장으로 공직에 복귀하여 전두환 정권 말기에는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의 마지막 [[국무총리]]를 지냈다. === 생애 후반 === [[1987년]]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서리]]가 되고 그해 [[7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가 되었다. 취임 직후 직접 개각을 단행하고 [[6.10 항쟁]]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그 해의 대통령 선거를 관리하였다. [[1988년]] [[2월]]에 물러났다. [[1988년]] [[2월]] [[노태우]]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에 위촉되어 [[1991년]]까지 재직하였다. 그는 오랜 [[군인]]생활 및 [[공직]]생활로 [[을지무공훈장]]·[[충무무공훈장]]·[[태극무공훈장]]·[[수교훈장광화장]]과 [[미국]]의 [[리전오브메리트]]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1989년]] [[한일협력위원회]](韓日協力委員會) 위원장이 되었다. === 사후 === [[서울특별시]] [[동작구]] 산 44-7번지 [[국립서울현충원|동작동 현충원]] 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근처에는 [[허정]]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권한대행]] 겸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내각수반]]과 [[장택상]] 국무총리의 묘소가 소재해 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 이 명단에는 큰아버지 [[김기원 (1878년)|김기원]]과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도 포함되어 있다. == 저서 == === 회고록=== * 《항공의 경종》http://m.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72201 == 수상 경력 == * [[을지무공훈장]] * [[충무무공훈장]] * [[태극무공훈장]] * [[1963년]] [[수교훈장]] 흥인장 * [[1987년]] [[수교훈장]] 광화대장 * [[미국]] 리전오브메리트 훈장 == 학력 == * [[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 졸업 * 일본 [[육군나카노학교]] 졸업 * [[일본 아키노 육군비행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특3기(1947년)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1948년)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1949년) * [[대한민국 국방부 헌병학교]] 졸업(1950년) *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 가족 관계 == * 큰아버지 : [[김기원 (1878년)|김기원]](金基元, [[1878년]] [[11월 9일]] ~ [[1934년]] [[7월 14일]], [[일본]] [[육군]] [[중령|중좌]] 전역.) * 아버지 : [[김준원 (1888년)|김준원]](金埈元, [[1888년]] [[9월 18일]] ~ [[1969년]] [[1월 1일]], 前 [[대한민국 육군|육군]] [[경상남도|경남]]병사구사령관. [[1953년]]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 어머니 : 변상희(邊尙熙, [[1894년]] ~ ? ) ** 동생 : [[김영환 (1921년)|김영환]](金英煥, [[1921년]] [[1월 8일]] ~ [[1954년]] [[3월 4일]], 前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 [[대한민국]] [[공군]] [[1성 장군|준장]].) * 부인 : 이희재(李姬載, [[1920년]] [[6월 25일]] ~ [[2012년]] [[8월 26일]] ) ** 아들 : 김덕기(金悳基, [[1947년]] [[5월 9일]] ~ ) ** 아들 : 김정기(金晶基, [[1950년]] [[3월 17일]] ~ ) ** 아들 : 김형기(金亨基, [[1955년]] [[5월 29일]] ~ ) ** 딸 : 김태자 ** 딸 : 김경순 == 기타 == [[한국 전쟁]]일때 김정렬은 공군 준장으로,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은 육군 대령, 동생 [[김영환 (1921년)|김영환]]은 공군 대령으로 모두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 같이 보기 == * [[김준원 (1888년)|김준원]] * [[김신 (1922년)|김신]] ==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 |[[대한민국 제7대 총선|제7대 총선]]||[[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목록|국회의원(전국구)]]||7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5|0|6}} 50.6%||5,494,922표||전국구 5번||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d/%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25px-%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 |} == 각주 == == 참고 자료 == * {{헌정회|945|김정렬}} * {{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청산하지 못한 역사 2 |날짜=1994-03-01 |출판사=청년사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7278-313-8}} |장=김정렬 : 일제에서 6공까지 노회한 군인의 권력이동 (조현연) }} * 남정옥, 《6.25 전쟁, 이것 만은 알아야 한다》 (삼우사, 2010) * 반민족문제연구소, 《청산 하지 못한 역사: 한국 현대사 를 움직인 친일파 60, 2권》(반민족문제연구소, 1994) {{전임후임| |전임자 = [[이한기]]
(서리) |후임자 = 김정렬 |대수 =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서리]] |임기 = [[1987년]] [[7월 14일]] ~ [[1987년]] [[8월 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정렬
(서리) |후임자 = [[이현재]] |대수 = 19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임기 = [[1987년]] [[8월 7일]] ~ [[1988년]] [[2월 24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초대) |후임자 = [[최용덕 (1898년)|최용덕]] |대수 =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임기 = [[1949년]] [[10월 31일]] ~ [[1952년]] [[11월 1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최용덕 (1898년)|최용덕]] |후임자 = [[장덕창]] |대수 = 3 |직책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임기 = [[1954년]] [[12월 1일]] ~ [[1956년]] [[12월 1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용우 (1912년)|김용우]] |후임자 = [[이종찬 (1916년)|이종찬]] |대수 = 7 |직책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 |임기 = [[1957년]] [[7월 6일]] ~ [[1960년]] [[5월 2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정일권]] |후임자 = [[김현철 (1901년)|김현철]] |대수 = 6 |직책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주 미국 대사]] |임기 = [[1963년]] [[5월]] ~ [[1964년]] [[10월]] }} {{전임후임| |전임자 = (초대) |후임자 = [[주영복]] |대수 =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임기 = [[1981년]] [[5월 7일]] ~ [[1985년]] [[6월 2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초대) |후임자 = [[윤치영]] |대수 = |직책 = 초대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장 |임기 = [[1963년]] [[2월 26일]] ~ [[1963년]] [[4월 22일]]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제7대 비례대표 민주공화당}} [[분류:1917년 태어남]][[분류:1992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직무대리]][[분류: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분류: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분류: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 제5공화국]][[분류:대한민국의 국무총리]][[분류: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박정희]][[분류:전두환]][[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일본 아키노 육군비행학교 동문]][[분류: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 동문]][[분류: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통위부 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국방부 헌병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경주 김씨]][[분류:대한민국 공군 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