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정보 |이름=김영환 |현지어표기 = 金英煥 |종교=[[불교]] |배우자= |자녀= |정당 = [[무소속]] |부모= [[김준원 (1888년)|김준원]](부), 변상희(모) |친척= [[김기원 (1878년)|김기원]](큰아버지)
[[김정렬 (1917년)|김정렬]](형) |출생일= [[1921년]] [[1월 8일]]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54|3|4|1921|1|8}} |본관= [[경주 김씨|경주(慶州)]] |별명= [[호 (이름)|호(號)]]는 창공(蒼空)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경성부]] |사망지 = {{국기|대한민국}} [[강원도 (남)|강원도]] [[강릉시|강릉]] 상공에서 항공 추락사 |복무= {{육군|일본제국}}
{{육군|대한민국}}
{{공군|대한민국}} |복무 기간=[[1945년]] ~ [[1954년]] |최종 계급= {{일본 육군 계급장|소위}}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준장|공군}} |근무=[[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지휘=[[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 |주요 참전 전투/전쟁=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서훈 내역= |기타 이력= |}} '''김영환'''(金英煥, [[1921년]] [[1월 8일]] ~ [[1954년]] [[3월 4일]])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육군]]과 [[대한민국 공군]]의 창설자이기도 하다. == 생애 == 본관은 [[경주 김씨|경주]](慶州)이고 [[호 (이름)|호(號)]]는 창공(蒼空)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최종 계급은 [[대한민국 공군]] [[1성 장군|준장]]이다. 큰아버지는 [[김기원 (1878년)|김기원]]이고 아버지는 [[김준원 (1888년)|김준원]]이며, 형은 [[김정렬 (1917년)|김정렬]]이다. [[서울특별시|서울]] 출생으로 [[1938년]] 3월 서울를 졸업하고 [[1944년]] 1월 [[일본]] [[간사이 대학]] 법과에 유학하여 1년을 중퇴로써 마친 후 [[1945년]] 학병 징집되어 일본 육군 예비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포병 소위로에 주둔 중 광복을 맞은 뒤 국군 창설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1946년]] [[1월 15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참위(소위) 임관하였으며 [[2월 18일]]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주둔 육군 제6연대의 초대 연대장 및 조선경비대 총사령부 고급부관 등으로 근무하면서 국군 창설에 심혈을 기울였다. [[1947년]] 4월 육군 부위(중위)로 통위부 정보국장을 지낸 그는 [[1948년]] [[4월 1일]] 공군창설 7인 간부의 일원으로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 입교하여 [[5월 2일]] 졸업하였다. 곧 이어 국군경비사관학교에 입대하여 미식훈련을 받은 다음 [[1947년]] [[5월 14일]] 육군 정위(대위)로 재임관, 육군항공총감부에 근무하면서 공군창설의 산파역을 수행하였다. [[1948년]] [[7월 21일]] [[대한민국 육군|육군]] 항공기지사령부로 전속되어 작전과장 겸 인사과장으로 활동한 그는 [[1949년]] [[3월 15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공군 소령 재임관 직후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으로 이동하여 대대장으로 근무하였고, 1950년 2월 20일, 대한민국 공군 중령 진급하여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5대대 대대장으로 재임하고 있었다. [[1951년]] [[8월 1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10대대 대대장으로 임명된 데 이어 [[9월 25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강원도]] [[강릉시|강릉]]전진기지사령부 부참모장으로 보임되었다. [[1952년]] [[6월 18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부전단장으로 자리를 옮긴 그는 [[1953년]] [[2월 15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장으로 취임하여 출격항공기에 대한 제1선 지휘관으로 작전부대 지휘 및 운영을 관장, 대한민국 공군의 출격작전을 수행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휴전 협정이 체결되고 난 후인 [[1953년]] [[12월 15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장으로 전보되어 전투조종사 양성에 주력하던 그는 [[1954년]] [[1월 28일]] 공군 준장으로 진급하였으나, [[1954년]] [[3월 4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 창설 기념행사에서 비행 중 기체 추락으로 사망했다. 이후 전쟁을 수행하면서 수많은 전공을 거둬 [[1951년]] [[충무무공훈장]]을 비롯해 [[1952년]] [[미국]] [[비행 훈장]], 공비토벌기장, 한국 전쟁 종군기장을 수여받았고, [[1953년]]에는 대통령수장과 [[을지무공훈장]]을, 그리고 [[1954년]]에는 대통령수장과 유엔종군기장, [[미국]] [[공로 훈장]]을 각각 수여받았다. == 가족 관계 == * 큰아버지: [[김기원 (1878년)|김기원]](金基元, [[1878년]] [[11월 9일]] ~ [[1934년]] [[7월 14일]], [[일본]] [[육군]] [[중령|중좌]] 전역.) *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金埈元, [[1888년]] [[9월 18일]] ~ [[1969년]] [[1월 1일]], 前 [[대한민국 육군|육군]] [[경상남도|경남]]병사구사령관. [[1952년]]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 형: [[김정렬 (1917년)|김정렬]](金貞烈,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 前 [[대한민국 국무총리|국무총리]]. [[1957년]] [[대한민국]] [[공군]] [[3성 장군|중장]] 전역.) == 학력 == * [[연세대학교|경성 연희전문학교]] [[졸업]] * [[일본]] [[간사이 대학|간사이 대학교]] 법학과 중퇴(사후 1957년 3월 16일 명예 학사 학위 추서) * [[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 [[졸업]] *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조선경비사관학교]] 특3기 * [[대한민국 육군대학교|대한민국 육군참모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미국 공군참모대학교]] [[졸업]] == 일화 == [[한국 전쟁]] 당시인 [[1951년]] [[가야산]]에 숨은 [[인민군]]들을 잡기 위해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민족]]의 [[문화유산]]을 없앨 순 없다며 [[명령]]을 어긴 적이 있다.〈해인사에 가자〉 김경화 저, 190쪽 [[2010년]] [[대한민국 정부]]는 [[해인사]] [[폭격]]을 거부하여 [[세계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과 [[장경판전]]을 지킨 공로를 인정, [[대한민국의 훈장|금관문화훈장]](1급)을 추서했다아시아경제 2010년8월16일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82015423134987 보도 자료 리스트] == 각주 == [[분류:1921년 태어남]][[분류:1954년 죽음]][[분류:항공 사고로 죽은 사람]][[분류:추락사한 사람]][[분류:대한민국 공군 준장]][[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군사영어학교 동문]][[분류: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연희전문학교 동문]][[분류:간사이 대학 동문]][[분류:육군참모학교 동문]][[분류:육군대학교 동문]][[분류:미국 공군참모대학교 동문]][[분류:충무무공훈장]][[분류:을지무공훈장]][[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경주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