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earch.pstatic.net/common?type=a&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5%2F201608051620421481.jpg '''김영기'''([[1962년]]~)는 한국 출신의 [[대학교수]]이다. == 생애 == [[경상북도]] [[경산시|경산]]에서 태어나 1962년 [[고려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90년 미국 로체스터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연구원, 캘리포니아대 교수를 거쳐, 현재 시카고대 물리학과 교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부소장으로 겸임하고 있다. == 업적 == [[2000년]]에는 과학저널 [[디스커버]]지가 선정한 21세기 세계과학을 이끌 과학자 20인 중 한명으로 뽑혔으며, [[2004년]]에는 물리학에 큰 업적을 남긴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미국물리학회 펠로로 선정되었으며,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양성자,반양성자 가속기인 [[테바트론]]을 이용한 양성자,반양성자 충돌실험 그룹인 CDF(Collider Detector at Fermilab)의 공동대표를 맡았다. 2008년에는 시카고 비즈니스가 선정한 주목할 여성(Woman to Watch)으로 뽑혔다.{{웹 인용 |date = 2008 |url = http://www.chicagobusiness.com/section/issue02?date=20080503 |title = Woman to Watch |publisher = Chicago Business |language = 영어 |확인날짜 = 2011-04-13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10313061040/http://www.chicagobusiness.com/section/issue02?date=20080503# |보존날짜 = 2011-03-13 |깨진링크 = 예 }}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2조 전자볼트(2TeV)의 질량 중심 에너지 테바트론은 가속된 양성자와 반양성자를 충돌시켜 소립자들을 생성시키는 입자 가속기이며, CDF 검출기는 이때 생성되는 소립자들의 소멸과정을 조사할 수 있는 실험장치로 김 박사는 검출기의 제작, 실험의 운영, 실험 데이터의 물리적 분석 등 모든 연구 과정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 12개국 850여명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연구 그룹의 대표로 여성 과학자가 선출된 것은 극히 이례적인 것으로 국제학계에서 김 박사의 탁월한 능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김 박사는 글루온과 [[쿼크입자]]가 생성하는 [[입자다발]](jet)을 분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top-쿼크의 발견과 그 질량측정에 기여하였다. 또한 약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W 보존과 top-쿼크 입자의 질량을 정밀 측정함으로써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질량의 근원을 밝힐 수 있는 열쇠로 현대 물리학에 이론적으로 도입된 [[힉스 입자]]의 질량을 예측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Precision Top-Quark Mass Measurement at CDF," The CDF Collaboration, Phys. Rev. Lett. 109, 152003 (2012). . CDF의 실험과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김 박사는 힉스 입자의 검출을 위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으며, 향후 국제학계에서 새로운 물리 현상의 발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큰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 이휘소와의 관계 == 이휘소는 1977년 6월 교통사고로 숨지기 전까지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입자 이론물리 분과의 총책임자를 맡았으며, 대학원시절 김영기의 지도교수인 강주상은 미국에서 이휘소에게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받았다. == 각주 ==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산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물리학자]][[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로체스터 대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