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선수 정보
|선수명             = 김시진
|영문 표기          = Kim Si-Jin
|소속 구단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 
|선수 사진 파일명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6/%EA%B9%80%EC%8B%9C%EC%A7%84.jpg/300px-%EA%B9%80%EC%8B%9C%EC%A7%84.jpg
|사진 사이즈        = 300px
|사진 설명          =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의 김시진
|국적               = {{KOR}}
|출신지             = {{KOR}} [[경상북도]] [[포항시]]
|생년월일           = {{출생일과 나이|1958|5|8}}
|신장               = 183
|체중               = 83
|수비 위치          = [[투수]]
|투구               = 우
|타석               = 우
|프로 입단 연도     = [[1983년]]
|드래프트 순위      = [[1983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1983년 1차 2순위]]([[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 [[한국 야구 위원회|KBO]] / [[1983년]] [[5월 3일]] <br /> [[삼미 슈퍼스타즈|삼미]]전 구원
|마지막 경기        = [[한국 야구 위원회|KBO]] / [[1992년]] [[5월 15일]] <br /> [[한화 이글스|빙그레]]전 구원
|획득 타이틀        = <nowiki></nowiki>
* [[1985년]]·[[1987년]] 골든 글러브
|계약금             = 3억원
|ì—°ë´‰               =
|경력               = <nowiki></nowiki>
'''선수 경력'''
* [[삼성 라이온즈]] (1983년 ~ 1988년)
* [[롯데 자이언츠]] (1989년 ~ 1992년)
'''코치 경력'''
* [[태평양 돌핀스]] 투수코치 (1993년 ~ 1995년)
* [[현대 유니콘스|현대 피닉스]] 코치 (1996년 ~ 1997년)
* [[현대 유니콘스]] 투수코치 (1998년 ~ 2006년)
* [[WBSC 프리미어 12]] 전력분석팀장 (2015년 ~ 2015년)
'''감독 경력'''
* [[현대 유니콘스]] 감독 (2007년)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감독 (2009년 ~ 2012년)
*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12년 ~ 2014년)
'''기타 경력'''
* [[KBO (단체)|KBO]] 경기 감독관 (2008년)
* [[KBO (단체)|KBO]] 경기 운영위원 (2017년 ~ 2018년)
* [[KBO (단체)|KBO]] 기술 위원장 (2018년 ~ 현재)
|대표국가           = 대한민국
|야구 월드컵        = [[1982년]] 서울
}}

'''김시진'''(金始眞, [[1958년]] [[5월 8일]] ([[1958년]] [[음력 3월 20일]]) -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자, 현 [[KBO (단체)|KBO]]기술위원장이다.
[[1983년]] [[삼성 라이온즈]]에서 데뷔해 [[1992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할 때까지 10시즌 동안 통산 124승 73패, 16세이브, 3점대 평균자책점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남겼다. 은퇴 후 [[태평양 돌핀스]]를 시작으로 13년 동안 투수코치 생활을 하다가 [[2006년]] 시즌 후 [[김재박]]의 후임으로 [[현대 유니콘스]]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었다. [[2009년]]부터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감독직을 맡아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2013년부터 [[롯데 자이언츠]] 감독직을 맡았으나 2014년 10월 팀 성적 부진으로 자진사퇴하였다.<ref name="ohmynews">[[오마이뉴스]] - 2008년 4월 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72861 "최동원 · 선동렬에 가려진 위대한 투수"]</ref>

== 선수 시절 ==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육군중앙경리단에서 병역을 마치고 [[1983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으며, 입단 첫 해에 17승(14선발승으로 [[장명부]](28선발승)에 이어 선발승 2위)(그 뒤 1986년 16선발승으로 [[선동열]](17선발승)에 이어 선발승 2위)을 올리면서 [[삼성 라이온즈]]의 에이스로 활약했는데  [[6월 15일]] 롯데전(대구)에서 완봉승을 거둔 후<ref>{{뉴스 인용
| 제목     = 프로야구 三美(삼미), 「射程(사정)거리」고수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61600209208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6-16&officeId=00020&pageNo=8&printNo=18984&publishType=00020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 쪽       = 
| 날짜     = 1983-06-16
| 확인날짜 = 2018-04-20
}}</ref> [[7월 9일]] 삼미전(대구)에서 8회 강우콜드 완봉승을 기록하여<ref>{{뉴스 인용
| 제목     = 프로야구 MBC·해태 스타트 快調(쾌조)
|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071100329208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3-07-11&officeId=00032&pageNo=8&printNo=11625&publishType=00020
| 출판사   = 경향신문
| 저자     = 이종남
| 쪽       = 
| 날짜     = 1983-07-11
| 확인날짜 = 2018-04-20
}}</ref>  순수신인 최초 2완봉승 도달 투수가 됐고 결국 그 해 5완봉승으로 마감했는데(당시 전구단 상대 완봉승) 이 기록은 아직까지 순수신인 최다 완봉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 프로 데뷔 이후 5년 만에 [[KBO 리그]] 사상 최초로 개인 통산 100승을 올렸다. [[1985년]] 25승(21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이었는데 전년도(15선발승)에 이어 2년 연속 최다 선발승 1위) 5패, 10세이브, 201탈삼진으로 소속 구단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 우승을 이끄는 등 [[삼성 라이온즈]]에서만 111승을 올렸다.<ref name="ohmynews" /> 
특히, [[1985년]]에 방어율 2.00을 기록했는데 이 기록은 역대 선발 20승 이상 투수 중 최저 방어율 기록<ref>{{뉴스 인용
| 제목     = 20승 이상 투수
| url      = https://www.koreabaseball.com/file/ebook/2018/레코드북_ebook/index.html
| 출판사   = 한국야구위원회
| 저자     = 
| 쪽       = 120
| 날짜     = 2018-03-01
| 확인날짜 = 2018-07-01
}}</ref>으로 남아 있다.
[[삼성 라이온즈]]에서 거둔 111승은 최다 승리 기록이였으나 2013년 8월 8일 [[배영수]]가 112승을 거두면서 최다승 기록이 경신되었다.
하지만, [[1985년]]에는  본인 뿐 아니라 같은 팀 [[장효조]] [[이만수]] 등에게 던져진 표가 분산된 점<ref>{{뉴스 인용
| 제목     =  [윤병웅의 야구 기록과 기록 사이] MVP 향배를 갈랐던 과거 속 요소들
| url      =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2130717
| 출판사   = OSEN
| 저자     = 윤병웅
| 쪽       = 
| 날짜     = 2010-08-18
| 확인날짜 = 2019-03-16
}}</ref>,  [[1987년]]에는 저조한 방어율 탓인지<ref>{{뉴스 인용
| 제목     =  MVP에 張(장)효조 有力(유력)
| url      =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7101000329208004&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7-10-10&officeId=00032&pageNo=8&printNo=12934&publishType=00020
| 출판사   = 경향신문
| 저자     = 이영만
| 쪽       = 
| 날짜     = 1987-10-10
| 확인날짜 = 2019-03-16
}}</ref>   정규시즌 MVP 자리에서 밀려나야 했고 [[1983년]] 홈런-타점 2관왕으로 정규시즌 MVP를 차지한 [[이만수]]는 그 해 최다승(30승)(28선발승)을 기록한 [[후쿠시 히로아키|장명부]]가 재일동포란 이유 탓인지<ref>{{뉴스 인용
| 제목     =  [장환수기자의 장외홈런]올스타 투표의 ‘오차범위’ 
| url      =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0&aid=0000129297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장환수
| 쪽       = 
| 날짜     = 2002-05-13
| 확인날짜 = 2019-03-16
}}</ref>  경쟁에서 탈락해 MVP의 영예를 안을 수 있었으며 다음 해에는 최초 타격 3관왕으로 2연속 정규시즌 MVP가 유력했음에도 막판 타격왕 레이스를 인위적으로 조작했던 탓에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1980년대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 사건으로 인해 [[1988년 한국 프로 야구|1988년]] [[11월 23일]] [[전용권]], [[오대석]], [[허규옥]]과 함께 [[최동원]], [[김성현 (1963년)|김성현]], [[오명록]]을 상대로 [[롯데 자이언츠]]에 트레이드되었다. 그리고 한 달 뒤 두 팀은 [[장효조]]와 [[김용철 (야구인)|김용철]] 등의 트레이드를 성사했다. 이후 4년 간 [[롯데 자이언츠]]에서 13승 24패를 추가하는 데 그쳤고, [[1992년]]에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정규 리그 통산 124승을 올렸지만, [[한국시리즈]]에서는 승리없이 7패로 좋은 기록을 내지 못했다.
올스타전에서는 좋은 투구 내용을 보였으나 포스트시즌 경북 포항에서 약하다는 이유로 '새가슴', '볼넷 공장장'이라고 불렸지만, 이를 데뷔 후 5년 간 무려 1,104이닝이나 투구한 심한 혹사의 후유증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 야구선수 은퇴 후 ==
=== [[투수]] 코치 시절 ===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하고 [[1993년]] [[태평양 돌핀스]]의 투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오랫동안 [[김재박]]과 같이 활동하였으며,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기 전까지 투수 코치로 계속 활동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아마추어 실업 야구 팀 [[현대 유니콘스|현대 피닉스]]에서 잠깐 코치 생활을 하기도 했었으나, 이내 곧 [[1998년]]에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로 임명되어 프로에 복귀했고, 그 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이래 첫 우승을 거두었다.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를 맡으면서 그는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임선동]], [[조용준]], [[오주원]], [[황두성]], [[박준수]], [[장원삼]] 등 뛰어난 투수들을 조련하고 육성하는 데에 뛰어났으며 [[투수]]를 보는 안목이 탁월했다. 투수 코치를 맡은 기간 동안 그는 '명 조련사'로 불렸는데, [[1998년]]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2002년]] [[조용준]], [[2003년]] [[이동학]], [[2004년]] [[오주원]] 등이 [[한국 프로 야구 신인왕|신인왕]]을 수상했던 것을 예로 들면 그는 투수 코치로서 선수들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 일가견이 있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감독 생활에도 이어져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최초 1차 지명으로 선발한 좌완 투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 역시 [[2009년 한국 프로 야구|2009 시즌]]에 옥석으로 평가받았다.<ref>[[스포츠 서울]]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013951 "히어로즈가 끝까지 지킨 강윤구는 누구?"]</ref> 시즌 전 트레이드로 홍역을 앓았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는 걸출한 신인 우완 투수 [[고원준]]을 배출하였으며, 트레이드로 영입한 [[금민철]]을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그가 투수 코치로 있는 동안 [[태평양 돌핀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뛰어난 [[투수]]들이 많이 배출되어 '투수 왕국'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 감독 시절 ===
==== [[현대 유니콘스]] 시절 ====
[[2006년 한국 프로 야구|2006년]]까지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를 역임하다가, 2006 시즌 종료 후 [[LG 트윈스]]의 감독이 된 [[김재박]]의 뒤를 이어 [[현대 유니콘스]]의 2대 감독이자 마지막 감독이 되었다. [[2007년]]에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은 [[현대 유니콘스]]에서 감독으로 생각 이상의 선전을 하여 시즌 56승 69패 1무로 시즌 6위를 기록하였다. [[2007년]] 고별전을 끝으로 시즌 후 재정난을 이겨 내지 못한 [[현대 유니콘스]]는 이듬해 3월 해체되었다.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시절 ===
[[2008년]] 시즌 종료 후, 성적 부진을 이유로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에서는 [[이광환]]을 경질하고 그를 감독으로 임명했다. 그는 구단과 계약 기간 3년, 계약금 2억원, 연봉 2억원 등 총 8억원에 계약을 맺으면서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의 2대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2008년 [[10월 10일]] 감독 취임식을 가졌다.<ref>《한겨레》, 2008, 10, 11.</ref> [[2009년]]에 6위를 기록하였지만, 시즌 후반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와 치열한 4위 다툼을 벌이기도 했고, 시즌 초반에는 한때 선두를 달리기도 했다. 특히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와 [[강정호]], [[황재균]] 등의 젊은 선수들은 [[이택근]], [[이현승 (야구 선수)|이현승]], [[장원삼]]의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파동|트레이드 파동]] 때 "트레이드 불가"로 못박을 정도로 좋은 활약을 보여 주었다. [[2009년]] [[8월 6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감독 통산 100승을 기록했다.
[[2010년 한국 프로 야구|2010 시즌]]에는 [[이현승 (야구 선수)|이현승]], [[장원삼]], [[이택근]], [[황재균]] 등의 이적 공백으로 인해 팀 전력에 큰 손상을 입으면서 하위권으로 쳐졌지만 어려운 팀 상황 속에서도 [[손승락]], [[고원준]], [[김성현 (1989년)|김성현]], [[김성태 (1982년)|김성태]], [[금민철]] 등 뛰어난 새 투수들을 키워 내 "투수 조련의 달인"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 때 갓 제대하고 마무리로 전향한 [[손승락]]이 [[이용찬 (야구 선수)|이용찬]]을 제치고 세이브왕을 차지하였다. 한편, 경북 포항 운영 면에 대해서 일부 팬들에게 "작전 능력이 미숙하다", "선수 교체 타이밍이 좋지 못하다" 등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2010년]]에는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투수코치로 선임되어 금메달에 기여하였다.
[[2011년]]에는 감독 부임 이후 처음으로 최하위인 8위를 기록한다.
[[2012년]]에는 시즌 초반 상위권에 있었으나,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자 경질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부임 첫 해에 감독 커리어 최고 순위인 5위와 동시에 최고승률 .532를 달성했으나 가을 야구에는 실패했다. 이는 한국 프로야구 역대 최고 승률 포스트시즌 탈락이다.[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312180100150040009307]
2013 시즌 계투진의 많은 블론세이브와 투수 교체에 관한 비판이 있었고, 또한 당시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였던 [[김승회]] 혹사 논란이 있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296602]
2014 시즌 들어 수비진의 안정화로 리그 최소 실책 부문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으나 [[강민호]]와 [[전준우]]를 필두로 하는 타선의 부침과 [[송승준]]의 부진이 겹쳐 6월까지 5할대 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9구단 체제로 인한 휴식일에 팀 내부 사정으로 인해 [[권두조]]가 수석코치에서 중도 사임하였다. 이후 프런트와의 마찰로 인해 [[2014년]]을 끝으로 사퇴하였다.

=== [[KBO (단체)|KBO]] 위원 시절 ===
그는 감독에서 물러난 뒤 [[2008년]] 한 해 동안 [[KBO (단체)|KBO]]의 경북 포항 감독관으로 재직하였다. 2017년부터 [[KBO (단체)|KBO]]의 경북 포항 운영위원으로 활동했다.

== 별명 ==
삐쩍 마른 체구에 머리가 크다는 이유로 [[꼴뚜기]]라고 불렸다.<ref>{{뉴스 인용|제목=KIA 김선빈, 프로 지명 못 받은 동생 선현 걱정|url=http://sports.hankooki.com/lpage/baseball/201008/sp2010083119275257360.htm|출판사=스포츠 한국|저자=|쪽=|날짜=2010-08-31|확인날짜=2011-05-05}}</ref>

== 수상 ==
* [[일간스포츠]] 프로 코치상 (2000년)
* 티켓링크 프로 코치상 (2000년)
*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투수)|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투수 부문]] (1985년, 1987년)
* 한국 프로 야구 다승 1위 (1985년, 1987년)(두 해 모두 21선발승으로 본인의 선발 최다승 타이)(1984년에는 15선발승으로 최다 선발승)
* 한국 프로 야구 승률 1위 (1985년)
* [[한국 프로 야구 올스타전]] - 최우수 선수 (1985년)

== 출신 학교 ==
* [[한양대학교]]
* [[포항중학교]]
* [[포항중앙초등학교]]

== 등번호 ==
* '29' - [[삼성 라이온즈]] (선수)
* '28' -  [[롯데 자이언츠]] (선수)
* '79' - [[현대 유니콘스]] (투수코치 & 감독),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롯데 자이언츠]] (감독)

== 통산 기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right; font-size:small"
|-style="line-height:1.25em"
![[년|연<br /><br />도]]!!소<br /><br />속!![[나이|나<br /><br />이]]!![[승리 투수|승<br /><br />리]]!![[패전 투수|패<br /><br />전]]!![[승률|승<br /><br />률]]!![[평균 자책점|평<br />자<br />책]]!!출<br /><br />장!![[선발투수|선<br /><br />발]]!![[완투|완<br /><br />투]]!![[완봉|완<br /><br />봉]]!![[세이브 (야구)|세<br />이<br />브]]!![[홀드 (야구)|홀<br /><br />드]]!![[이닝|이<br /><br />닝]]!![[안타|피<br />안<br />타]]!![[홈런|피<br />홈<br />런]]!![[볼넷|볼<br /><br />넷]]!![[고의 사구|고<br /><br />4]]!![[삼진 (야구)|탈<br />삼<br />진]]!![[몸에 맞는 볼|몸<br /><br />맞]]!![[보크|보<br /><br />크]]!![[폭투|폭<br /><br />투]]!![[실점|실<br /><br />점]]!![[자책점|자<br /><br />책]]!![[타자 (야구)|타<br />자<br />수]]!![[WHIP|W<br />H<br />I<br />P]]
|-
|style="text-align: center;"|[[1983년 한국프로야구|1983]]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삼성 라이온즈|삼성]]
|style="text-align: center;"|26
|17||12||.586||2.55||37||25||17||5||1||0||229.1||189||8||95||6||154||14||0||5||78||65||950||1.24
|-
|style="text-align: center;"|[[1984년 한국프로야구|1984]]
|style="text-align: center;"|27
|19||11||.633||3.18||39||26||11||2||2||0||215.0||178||14||'''112'''||2||154||13||0||8||94||76||910||1.35
|-
|style="text-align: center;"|[[1985년 한국프로야구|1985]]
|style="text-align: center;"|28
|'''25'''||5||'''.833'''||2.00||47||29||10||2||10||0||'''269.2'''||172||8||'''121'''||3||'''201'''||15||1||10||63||60||1064||1.09
|-
|style="text-align: center;"|[[1986년 한국프로야구|1986]]
|style="text-align: center;"|29
|16||6||.727||2.47||30||26||11||1||3||0||196.2||161||6||'''110'''||4||87||6||0||3||68||54||822||1.38
|-
|style="text-align: center;"|[[1987년 한국프로야구|1987]]
|style="text-align: center;"|30
|'''23'''||6||.793||3.12||33||'''27'''||7||3||0||0||193.1||166||9||'''96'''||1||113||7||1||5||73||67||818||1.36
|-
|style="text-align: center;"|[[1988년 한국프로야구|1988]]
|style="text-align: center;"|31
|11||9||.550||3.49||25||19||5||1||0||0||144.1||107||10||70||1||67||7||0||3||62||56||602||1.23
|-
|style="text-align: center;"|[[1989년 한국프로야구|1989]]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롯데 자이언츠|롯데]]
|style="text-align: center;"|32
|4||9||.308||3.87||19||16||1||0||0||0||111.2||106||8||60||3||55||8||1||3||53||48||493||1.49
|-
|style="text-align: center;"|[[1990년 한국프로야구|1990]]
|style="text-align: center;"|33
|7||10||.412||4.04||26||26||4||2||0||0||151.1||136||9||57||0||67||12||0||1||75||68||631||1.28
|-
|style="text-align: center;"|[[1991년 한국프로야구|1991]]
|style="text-align: center;"|34
|2||4||.333||6.18||13||9||1||0||0||0||55.1||70||5||26||0||31||1||0||3||39||38||258||1.74
|-
|style="text-align: center;"|[[1992년 한국프로야구|1992]]
|style="text-align: center;"|35
|0||1||.000||13.06||4||2||0||0||0||0||10.1||17||5||8||0||2||0||0||0||15||15||53||2.42
|- bgcolor = "#F2F2F2"
!colspan="3"|[[KBO (야구)|KBO]] 통산 : 10년
||'''124'''||'''73'''||'''.629'''||'''3.12'''||'''273'''||'''205'''||'''67'''||'''16'''||'''16'''||'''0'''||'''1577.0'''||'''1302'''||'''82'''||'''755'''||'''20'''||'''931'''||'''83'''||'''3'''||'''41'''||'''620'''||'''547'''||'''6601'''||'''1.30'''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 감독 기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 bgcolor="#F0F0F0;"
!연<br/>도 !!팀 !!순<br/>위 !!경<br/>기 !!승 !!무 !!패 !!승<br/>률 !!타<br/>율 !!안<br/>타 !!홈<br/>런 !!도<br/>루 !!득<br/>점 !!실<br/>점 !!평<br/>균<br/>자<br/>책 !!비<br/>고
|-
|2007||<div style="text-align: center;">[[현대 유니콘스|현대]]</div>||6||126||56||1||69||0.448||0.271||1154||96||51||530||615||4.41||
|-
|2009||<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div>||6||133||60||1||72||0.451||0.272||1219||153||192||683||762||5.40||
|-
|2010||<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7||133||52||3||78||0.391||0.262||1165||87||135||570||652||4.55||
|-
|2011||<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8||133||51||2||80||0.389||0.245||1065||79||99||512||622||4.36||
|-
|2012||<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6||118||54||2||62||0.466||0.247||952||90||159||497||503||3.94||
|-
|2013||<div style="text-align: center;">[[롯데 자이언츠|롯데]]</div>||5||128||66||4||58||0.532||0.261||1118||61||133||556||553||3.93||
|}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KBO 투수|83412}}
* [http://www.statiz.co.kr/player.php?opt=1&name=%EA%B9%80%EC%8B%9C%EC%A7%84&birth=1958-03-20 김시진 - 스탯티즈]

{{s-start}}
{{S-sports}}
{{s-bef | before = [[이광환]]}}
{{s-ttl | title = 제2대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 감독 | years = [[2008년]] [[10월 6일]] ~ [[2012년]] [[9월 17일]]}}
{{s-aft | after = [[김성갑]] ([[감독 대행]])}}
{{s-bef | before = [[김재박]]}}
{{s-ttl | title = 제2대 [[현대 유니콘스]] 감독  | years = [[2006년]] [[11월 6일]] ~ [[2008년]] [[3월 11일]]}}
{{s-aft | after = (팀 해체)}}
{{s-bef | before = [[권두조]] ([[감독 대행]])}}
{{s-ttl | title = 제15대 [[롯데 자이언츠]] 감독 | years = [[2012년]] [[11월 11일]] ~ [[2014년]] [[10월 17일]]}}
{{s-aft | after = [[이종운 (1966년)|이종운]]}}
{{s-ach|aw}}
{{s-bef | before = [[최동원]]}}
{{s-ttl | title = 제4대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years =[[1985년]]}}
{{s-aft | after = [[선동열]]}}
{{s-bef | before = [[선동열]]}}
{{s-ttl | title = 제6대 [[한국 프로 야구 골든글러브]] 투수| years =[[1987년]]}}
{{s-aft | after = [[선동열]]}}
{{s-end}}

{{롯데 자이언츠 역대 감독}}
{{넥센 히어로즈 감독}}
{{1985년 삼성 라이온즈}}
{{2003년 현대 유니콘스}}
{{2004년 현대 유니콘스}}
{{둘러보기 상자 묶음
|제목 = 한국 프로 야구 수상 및 명예
|bg = #778899
|fg = white
|ë‚´ìš© = 
{{KBO 골든글러브 투수}}
{{KBO 올스타전 MVP}}
{{한국 프로 야구 시즌 최다 이닝 투구}}
{{KBO 탈삼진상}}
{{KBO 승리상}}
{{KBO 승률상}}
}}
{{1982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항시 출신]][[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감독]][[분류:현대 유니콘스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 감독]][[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KBO 승리상 수상자]][[분류:KBO 승률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포항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