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정보 |이름= 김수봉 |사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1/%EA%B9%80%EC%88%98%EB%B4%89%EA%B5%90%EC%88%98%EB%8B%98_Soo-Bong_Kim.jpg/170px-%EA%B9%80%EC%88%98%EB%B4%89%EA%B5%90%EC%88%98%EB%8B%98_Soo-Bong_Kim.jpg |출생일= [[1960년]] |출생지= [[부산광역시]] |국적= {{국기|대한민국}} |장르= [[입자물리실험]] |소속= 서울대학교 |학력= 서울대학교/Univ.Pennsylvania |업적=중성미자 변환상수 측정 검출시설 구축과 실험 수행
중성미자 변환 발견과 변환상수 측정
톱쿼크 발견 및 질량 측정
초신성 폭발의 중성미자 최초 관측 |수상=[[제1회 서울대학술연구상, 서울대학교 (2008)]]
[[Asahi Prize 공동수상, 아사히신문문화재단 (1999)]]
[[Bruno Rossi Prize 공동수상, 미국천체학회 (1989)]]
[[Asahi Prize 공동수상, 아사히신문문화재단 (1988)]] }} '''김수봉'''은 [[서울대학교]]의 교수이다. * 총 연구논문 편수 및 인용회수: 총 500 여편 / 약 25,000 여회의 인용회수 * 인용회수 100회가 넘는 논문 39편(2000회 이상 1편, 500회 이상 7편, 300회 이상 10편, 100회 이상 21편)으로 국제학계에서 인정받는 연구업적 다수 보유 * ISI에서 모든 학문분야의 HCR(Highly Cited Researchers) 세계 5,000인에 선정되었음. ==중성미자 변환과 질량에 관한 연구== * 초신성 폭발의 중성미자 최초 관측 (1987) * 태양중성미자의 실시간으로 방향과 에너지를 측정 (1989) * 대기중성미자의 변환 발견 (1998) * 태양중성미자와 대기중성미자의 변환 현상 관측 (1995~) * 가속기로 만든 중성미자 빔으로 중성미자 변환을 관측하고 중성미자의 질량 존재를 확고히 규명 (1998~2005) * 미 측정됐던 중성미자 변환상수 발견을 위해 세종대학교수 등과 함계 [[원전중성미자실험]]({{llang|en|Reactor Experiment for Neutrino Oscillations}}, 줄여서 '''RENO'''))을 시작하여 [[한빛원자력발전소]](옛이름: 영광원자력발전소) 부근에 국내 최초의 중성미자 검출시설을 성공적 구축한 뒤 실험 수행 중 (2006~ ). * 2013년 4월 3일 [[원전중성미자실험]]에서 중성미자 3번째 섞임각을 측정하였다고 발표{{저널 인용|author=RENO Collaboration|journal=Physical Review Letters|volume=108|issue=18|pages=191802|doi=10.1103/PhysRevLett.108.191802|arxiv=1204.0626|title=Observation of electron-antineutrino disappearance at RENO|date=2012-04-03|bibcode = 2012PhRvL.108s1802A }} ==톱쿼크 발견과 질량 측정에 관한 연구== * 톱쿼크 질량 측정 (1995) * 톱쿼크 발견 (1995) ==과거 부터 현재까지 참여 실험== * [[:jp:カミオカンデ|KAMIOKANDE (일본어)]] * [[:en:Collider Detector at Fermilab|CDF (Collider Detector at Fermilab) (영어)]] * [[슈퍼 카미오칸데|슈퍼 카미오칸데 실험]] * [[:en:K2K experiment|K2K 실험 (영어)]] * [[:en:T2K experiment|T2K 실험 (영어)]] * [[원전중성미자실험]] == 각주 ==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6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물리학자]][[분류:경암학술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