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김동기]]}}
'''김동기'''(金相琪, [[1918년]] [[4월 14일]] - [[2011년]] [[7월 3일]])는 [[동아일보]]의 사장과 부회장, 회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대한민국]]의 제2대 [[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을 역임한 [[김성수 (1891년)|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부인 [[고광석]]사망하시고 혼인 하신 이아주의  4남이시며 [[동아일보]] 제2~4대 명예회장을 지낸 [[김상만 (언론인)|김상만]]의 친 동생이다.

DBS 동아방송국장, [[동아일보]] 사장, [[동아일보]] 부회장을 거쳐 [[동아일보]]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명박 정부]]의 외교·안보담당 수석비서관 [[김병국 (1959년)|김병국]]의 아버지이다.

== 생애 ==
1918년 4월 14일 [[전라북도]] 고창에서 [[김성수 (1891년)|인촌 김성수]]와 그의 첫 부인 [[고광석]] 사망하시고 이아주 부인 소생  4남으로 출생해 와 상과를 거쳐 [[일본]]으로 유학,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상과를 졸업했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1070401072730136002</ref> 1957년 동아일보에 입사해<ref>http://news.donga.com/3/all/20110704/38517785/1</ref> 동아일보사에서 동아일보 출판부장<ref>{{웹 인용|url=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1107/h2011070321291884840.htm#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1-10-0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20018/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1107/h2011070321291884840.htm# |보존날짜=2014-05-17 |깨진링크=예 }}</ref> 과 [[동아방송|DBS 동아방송]] 국장, [[동아일보]] 사장, [[동아일보]] 부회장을 거쳐 [[동아일보]]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81년 3월 2일 사장 취임사를 통해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는 기로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동아일보의 사장 자리는 영광의 좌석이 아니라 고난의 자리임을 잘 알고 있다"며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은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일종의 지구전이기 때문에 동아의 과거가 그랬듯, 반드시 승리한다는 신념으로 궁극의 목표를 향해 꾸준하고 의연하게 전진해 나가자"고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ref name="do001">http://news.donga.com/3/all/20110704/38516698/1</ref>

김 전 회장은 다양한 문화사업으로 국내 문화 발전에도 앞장섰다. 1981년에는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해 평생교육의 장을 열었다. 1984년에는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며 잡지 저널리즘의 영역을 확장했다. 4월 음악동아 창간호는 '지휘봉의 제왕 카라얀', '스페셜 인터뷰-윤이상' 등을 실어 클래식 애호가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ref name="do001"/>

사장(1981~82년)과 회장(83~89년) 재직 시 서울 여의도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하고,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는 등 사세를 키웠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32120045&code=100402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 경향신문 2011년 07월 03일자</ref> 1981년 신년호부터 12면에서 16면으로 증면했다. 발행부수도 1979년 100만 부에서 5년 새 50만 부가 증가해 1984년에는 한국 일간신문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 150만 부를 돌파<ref name="do001"/> 하기도 했다.

1987년 '박종철 군 고문 치사사건' 보도로 정점을 이뤘다.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12개 면 중 6개면에 걸쳐 박 군 치사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6·10 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결정적인 사건이었다.<ref name="do02">http://news.donga.com/3/all/20110703/38507708/1</ref> [[전두환]] 정부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박종철 치사사건 보도를 그대로 내보내기도 했다.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6·29선언이 나온 날에는 서울시내 가판대에서만 동아일보 40만 2800부가 팔리기도 했다.<ref name="do02"/>

[[1991년]] [[3월]] [[동아일보]] 고문, 이후 성곡학술문화재단 감사로도 피선되었다. 그밖에 한국민간방송협회 이사와 방송윤리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ref name="do001"/>

== 가족 관계 ==
* 부인 : 원종숙
** 아들 : [[김병국 (1959년)|김병국]]([[1959년]] [[3월 18일]] ~ ,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고려대학교|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며느리 주영아<ref name="han01">[http://www.hani.co.kr/arti/society/obituary/485581.html 7월 4일 궂긴소식] 한겨레</ref>
** 아들 : 김병표((주) 주원 대표이사)
** 며느리 신준희<ref name="han01"/>
** 딸 : 김창원
** 사위 : 이종훈(사업<ref name="han01"/>)
** 딸 : 김영원
** 사위 : 이민교(변호사<ref name="han01"/>)
** 딸 : 김효신

== 평가 ==
1981~82년 동아일보 사장, 1983~1989년 회장을 지내며 엄혹한 군사정권의 압박 하에서도 신문경영 일선에서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ref name="dong01">[http://news.donga.com/3/all/20110703/38507708/1 김상기 前회장, 민주주의 발전 위해 힘써]</ref> 는 평가가 있다.

그에 의하면 그는 1981년 3월2일 사장 취임사를 통해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는 기로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동아일보의 사장 자리는 영광의 좌석이 아니라 고난의 자리임을 잘 알고 있다"며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은 오랜 시일이 걸리는 일종의 지구전이기 때문에 동아의 과거가 그랬듯, 반드시 승리한다는 신념으로 궁극의 목표를 향해 꾸준하고 의연하게 전진해 나가자"고 민주주의를 향한 강한 의지를 밝혔<ref name="dong01"/> 으며, 그의 이런 뜻은 동아일보의 1987년 '박종철 군 고문 치사사건' 보도로 정점을 이뤘다. 그해 1월 19일자 동아일보는 12개 면 중 6개면에 걸쳐 박 군 치사사건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6·10 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6·29선언이 나온 날에는 서울시내 가판대에서만 동아일보 40만 2800부가 팔리기도 했다.<ref name="dong01"/>

== 기타 ==
김 전 회장은 다양한 문화사업으로 국내 문화 발전에도 앞장섰다. 1981년에는 서울 사옥에 '동아문화센터'를 개설해 평생교육의 장을 열었다. 1984년에는 '음악동아' '월간 멋' 등 2개의 월간지를 창간하며 잡지 저널리즘의 영역을 확장했다. 4월 음악동아 창간호는 '지휘봉의 제왕 카라얀' '스페셜 인터뷰-윤이상' 등을 실어 클래식 애호가들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다.<ref name="dong01"/>

그는 또한 동아일보의 사세 확장에도 기여했다. 동아일보는 1981년 신년호부터 12면에서 16면으로 증면했다. 발행부수도 1979년 100만부에서 5년 새 50만 부가 증가해 1984년에는 한국 일간신문 사상 최초로 발행부수가 150만부를 돌파하며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신문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ref name="dong01"/>

== 각주 ==
<references/>

== 관련 항목 ==
* [[김성수 (1891년)|김성수]]
* [[김상만 (언론인)|김상만]]
* [[김연수 (기업인)|김연수]]
*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 [[장덕수]]
* [[안재홍]]
* [[신익희]]
* [[윤치영]]

== 외부 링크 ==
* [http://news.donga.com/3/all/20110703/38507708/1 김상기 前회장, 민주주의 발전 위해 힘써] 동아일보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703500019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 서울신문 2011년 07월 03일자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04/2011070400036.html 80년대 동아일보 이끈 김상기 전 회장 별세] 조선일보 2011년 07월 04일자
*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469 김상기 전 동아일보 회장 별세]{{깨진 링크|url=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26469 }} 기자협회보

[[분류:동아일보]][[분류:일제 강점기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분류:김성수 (1891년)]][[분류:윤치영]][[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고창군 출신]][[분류:울산 김씨]][[분류:병사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