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김부식 (변호사)||검사를 역임한 한국의 변호사}}
{{다른 뜻 넘어옴|문렬공}}
{{작가 정보
|이름= 김부식
|원어이름= 金富軾
|출생일= [[1075년]]
|출생지= [[고려]]
|사망일= [[1151년]] (77세)
|장르= 저술
|사망지= [[고려]] [[개성특급시|개경]]
|국적= [[고려]]
|필명= 자는 입지(立之)
호는 뇌천(雷川)
시호는 문렬(文烈)
|학력= 고려 숙종대 문과
|직업= 문신, 정치가, 역사가, 저술가
|활동 기간 = [[1099년]] ~ [[1151년]]
|배우자=
|부모= 김근(부)
|자녀=
|친척=
|서명=
|웹사이트=
}}
'''김부식'''(金富軾, [[1075년]] ~ [[1151년]])은 《[[삼국사기]]》를 쓴 [[고려]] 시대 학자·문신·역사가이다. 본관은 [[경주 김씨|경주]], 자는 입지(立之), 호는 뇌천(雷川),[[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5COb_A1075_1_0001702&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시호는 문렬(文烈)이다.
[[고려 인종|인종]]의 명을 받들어 [[정습명]](鄭襲明), [[김효충]](金孝忠) 등 10인과 함께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 생애 ==
김부식은 신라 왕실의 후예로 증조부인 김위영을 [[고려 태조]]가 경주(慶州)의 주장으로 임명하였다고 한다.[《[[고려사]]》 권97, 열전10, 김부일전.] 부친 김근이 좌간의대부로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일찍 세상을 떠나 편모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지위가 높은 가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김부식과 그의 형제들은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다.
김부식은 [[고려 숙종|숙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안서 대도호부(安西 大都護府) 사록(司錄)과 참군 녹사(參軍錄事)로 배치되었고, 임기가 끝난 후 직한림원으로 임명되었으며, 좌사간, 중서사인을 역임하였다. [[1121년]]([[고려 예종|예종]] 16년)에는 임금에게 경사(經史)를 강의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고려 인종|인종]]이 즉위하면서 외척인 [[이자겸]]은 국정을 농단하였다. 이 시기 김부식은 이자겸의 전횡에 비례(非禮)를 이유로 반대한 일[《고려사》 권98, 열전11, 김부식전.] 이 있으나 직접적으로 대항하지는 않고 묵종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그는 이자겸 집권기에 순탄하게 승진하였다.[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Ⅰ)》, 집문당, 1999년.] 또한 [[1126년]]과 [[1127년]]에 [[송나라]]에 사신으로 행차하여 송나라가 몰락하는 과정을 직접 목격하였으며, 박승중(朴昇中)·정극영(鄭克永)과 함께 《예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여 《삼국사기》를 편찬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쌓았다. 어사대인(御史大人)·호부상서(戶部尙書)·한림원학사 등을 거쳐 평장사(平章事)에 승진하였고, 수사공(守司空)을 더하였다.
[[1126년]](인종 4년) 이자겸이 피살됨으로써 그의 전횡은 끝났으나 이로 인한 혼란과 궁궐의 소실 등을 이유로 서경파가 득세하였다. 이 시기 김부식은 추밀원사(樞密院使)로 승진하여 재추(宰樞)의 반열에 오르는 등 정치적 지위가 급성장하였다. [[묘청]] 등의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서경천도운동]]은 [[1129년]](인종 7년) 무렵부터 대두되기 시작하여 서경에 궁궐을 축조하고 인종도 자주 행차하였다. 서경파의 [[정지상]] 등은 묘청과 [[백수한]]이 성인이니 모든 정치를 그들에게 물어서 행하자고 하면서 연판장을 돌렸다. 조정 신료 가운데 오직 평장사 김부식, 참지정사 임원애(任元敱), 승선(承宣) 이지저(李之氐)만이 이를 거부하였다.[《고려사》 권127, 열전40, 묘청전.] 그러나 서경의 서기(瑞氣)를 조작한 일이 탄로나고, 행차 때의 악천후 등이 잇따름에 따라 김부식 등의 반대파 의견이 우세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김부식 일파는 [[1134년]](인종 12년) 인종의 서경 행차를 막는 데 성공하였다.
서경 천도가 불가능해지자 묘청·조광·유담 등은 [[1135년]](인종 13년)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김부식은 토벌군의 원수가 되어 일단 개경에 머물고 있던 서경파 정지상, 김안(金安), 백수한을 처형하고 출전하였다. 김부식은 중군장으로서 좌군장으로 [[김부의]](金副儀)[김부식의 동생], 우군장으로 이주연(李周衍)을 거느리고 서경으로 향했다. 서인들은 묘청·유담들을 죽이고 항복하였으나, 조광(趙匡)이 또 반하므로 서경을 포위하고, 그 이듬해인 [[1136년]]에 잔당을 소탕하였다. 반란을 진압한 김부식은 수충정난정국공신(輸忠定難靖國功臣) 칭호와 검교태보수태위[[문하시중]]판상서이부사감수국사상주국 겸 태자태보(檢校太保守太尉門下侍中判尙書吏部事監脩國史上柱國兼太子太保)로 임명되었다. 김부식은 이 전공을 이용하여 정적(政敵)인 [[윤언이]](尹彦頥)를 축출하고 정권을 잡았다.
이후 [[고려 인종|인종]]의 명을 받들어 [[정습명]], [[김효충]](金孝忠) 등 10인과 함께 [[삼국사기]]의 편찬을 지휘하였으며, 최산보(崔山甫)·이온문(李溫文)·허홍재(許洪材)·서안정(徐安貞)·박동계(朴東桂)·이황중(李黃中)·최우보(崔祐甫)·김영온(金永溫) 등이 편수에 참여하였다. 그 후 집현전 태학사·태자태사(太子太師)의 벼슬과 동덕찬화공신(同德贊化功臣)의 칭호를 더하였다.
[[1140년]](인종 18년) 이후 그의 세력이 약화되고 윤언이가 정계에 복귀하자 위기를 느낀 김부식은 [[1142년]](인종 20년)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김부식이 관직에서 물러난 뒤인 [[1145년]](인종 23년)에 《삼국사기》 50권의 편찬이 완료되었다. 의종이 즉위하자 낙랑국 개국후(樂浪國開國候)로 봉했고, 그 뒤 김부식은 《인종실록》의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송나라의 사신 노윤적(路允迪)이 왔을 때 관반사(館伴使)로서 그를 맞아들였고, 같이 왔던 [[서긍]](徐兢)이 그의 《[[고려도경]]》에 김부식의 집안을 실어 송나라 황제에게 진상함으로써 김부식의 이름은 송나라에도 유명하였다.
[[1151년]]([[고려 의종|의종]]) 5년 77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난 지 19년 후 [[무신정변]]이 일어나 [[정중부]]에 의해 [[부관참시]]를 당한다. [[대각국사]]의 비문을 지었고, 죽은 뒤 인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문집 20권을 지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 평가 ==
1123년 중국 [[송나라]]의 국신사로 고려를 다녀 갔던 서긍(徐兢)은 김부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인용문|“박학강식(博學強識)해 글을 잘 짓고, 고금을 잘 알아 학사의 신복을 받으니, 그보다 위에 설 수 있는 사람이 없다.”
|{{서적 인용|저자=서긍|제목=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연도=[[1123년]]}}}}
[[신채호]]는 그가 왕명을 받아 서경 반란군 토벌을 지휘한 것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다.
{{인용문|고려부터 조선까지 1천 년간 ‘[[묘청의 난]]’보다 지나친 대사건이 없을 것이다. 이 사건에 대해 역사가들은 왕의 군사가 반역자를 친 전쟁으로 알았을 뿐이었으니….(중략) 만일 이와 반대로 김부식이 패하고 [[묘청]] 등이 이겼더라면, 조선사가 독립적이며 진취적으로 진전했을 것이다.|{{서적 인용|저자=[[신채호]]|장=조선역사상(朝鮮歷史上) 일천년래(一千年來) 제일대사건(第一大事件)|제목=《[[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草)》|연도=[[1929년]]}}}}
반면 한국 사학 1세대로 평가되는 역사학자 [[이기백]] 전 이화여대·서강대 교수는 아래와 같이 그의 저술에 대해 호평하였다.
{{인용문|《삼국사기》는 합리적인 유교사관에 입각하여 씌어진 사서로 이전의 신이적(神異的)인 고대 사학에서 한 단계 발전한 사서|{{서적 인용|저자=[[이기백]]|장=문학과 지성 (文學과 知性)|제목=《[[삼국사기론]](三國事記論)》|연도=[[1978년]]}}}}
== 저서 ==
* 《[[삼국사기]]》
== 가계 ==
* 증조부 : 김위영(金魏英, ? ~ ?)
* 조부 : 김원충(金元冲, ? ~ ?)
** 아버지 : [[김근 (고려)|김근]](金覲, ? ~ ?), 국자좨주(國子祭酒)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출처 : 고려사]
** 어머니 : ?
*** 형 : 김부필(金富弼, ? ~ ?)[출처 : 고려사]
*** 형 : [[김부일]](金副佾, [[1071년]] ~ [[1132년]]), 문과 급제, 태위(太尉), 문간공(文簡公)
*** 본인 : 김부식(金富軾)
**** 아들 : [[김돈중]](金敦中, 1119 ~ [[1170년]]), 문과 급제, 좌승선(左丞宣)
***** 손자 : [[김군수]](金君綏, ? ~ ?), 문과 급제,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 아들 : [[김돈시]](金敦時, ? ~ [[1170년]])
*** 아우 : 김부의(金副儀)[초명 부철(富轍)], 문사공(文司空), 문의공(文懿公)
(文(문)左諫議大夫())
== 김부식이 등장한 작품 ==
=== 텔레비전 드라마 ===
* 《[[무인시대 (드라마)|무인시대]]》 [[KBS]] 드라마, [[2003년]]~[[2004년]], 배우 : [[주효만]]
== 같이 보기 ==
{{Col-begin}}
{{Col-3}}
* [[신라]]
* [[삼국사기]]
* [[삼국유사]]
* [[고려 인종]]
* [[묘청]]
* [[이자겸]]
* [[척준경]]
* [[김돈중]]
* [[김돈시]]
* [[김군수]]
* [[일연]]
{{Col-3}}
* [[춘추필법]]
* [[묘청의 난]]
* [[무신정변]]
* [[설총]]
* [[김대문]]
* [[이인로]]
* [[정습명]]
* [[윤관]]
* [[윤언이]]
* [[윤인첨]]
* [[정지상]]
{{Col-3}}
* [[경진]]
* [[이고 (고려)]]
* [[이의방]]
* [[이준의]]
{{Col-end}}
== 각주 ==
== 외부 링크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472&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김부식]
{{글로벌세계대백과|제목=귀족사회의 동요}}
{{2001년-이 달의 문화 인물}}
[[분류:김부식| ]][[분류:1075년 태어남]][[분류:1151년 죽음]][[분류:고려의 유학자]][[분류:고려의 불교 신자]][[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작가]]
[[분류:고려의 시인]][[분류:고려의 서예가]][[분류:고려의 역사가]][[분류:과거 급제자]][[분류:경주 김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
[[분류:묘청]][[분류:문벌귀족]][[분류:무신정권]][[분류:중세의 역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