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우'''(金大羽, [[1900년]] [[7월 10일]] ~ [[1976년]] [[4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친일반민족행위자 관료로 출신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다. [[1943년]] [[전라북도지사]], [[1945년]] [[6월]] [[경상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 그해 [[8월]] 광복 직후 행정, 치안권 교섭에 총독부측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으며, 해방 직후에도 해방된 한국의 초대 경상북도지사를 지내다가 그해 [[10월 12일]] 물러났다.
[[1919년]] [[경성공업전문학교]] 광산학과 2학년 재학 중, 그해 [[3.1 만세 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징역 7개월형을 언도받고 복역했다. [[1925년]] [[조선총독부]] 관료 채용시험에 합격하여 관료로 활동했다.
해방 뒤에도 그는 미군정에 의해 신임을 얻어 [[경상북도지사]]로 유임되어 일본인 관료 및 구 [[조선총독부|총독부]] 관료들을 파면하고 새로운 인물을 군수로 임명했지만, [[1946년]] [[공금]]을 횡령하고 도피하였다. [[1948년]] [[5월 10일]]에는 초대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고, 5대, 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 생애 ==
=== 초기 활동 ===
[[1918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전신인 [[경성공업전문학교]] 광산학과에 입학했다. [[1919년]] [[경성공업전문학교]] 광산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일 때 그해 [[3월]] [[3·1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김대우는 만세 운동에 가담하여 [[탑골 공원]] 시위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징역 7개월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르고 석방되었다.
그러나 경성공전 졸업 후 [[일본]]에 유학하여 [[규슈 대학|규슈 제국대학]] 공학부로 진학했다. [[1925년]] [[규슈 대학|규슈 제국대학]] 공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 [[조선총독부]] 관리 채용시험에 합격하면서부터는 유명한 친일파 관료가 되었다.
=== 관료 생활 ===
김대우는 총독부 임야조사위원회에서 관직을 시작하여 [[평안북도]] [[박천군]]의 [[군수]](1928), [[평안북도]]청 내무부 산업과장(1930)으로 승진했다.
[[1936년]] 총독부 학무국의 사회교육과장으로 임명되었는데, 황민화 정책의 첨병인 이 자리는 [[일본 고등문관시험]] 출신들이 앉는 요직이었다. 김대우는 이 직위에 근무하면서 [[1937년]] 학무부 촉탁 [[이각종]]에게 〈[[황국신민의 서사]]〉를 작성하도록 하고, 각급 학교 등에서 이를 암기, 제창하고 출판되는 모든 서적에도 반드시 실을 것을 강요하였다.
[[1939년]]에는 [[전라남도]] 참여관 겸 내무부장, 금융조합연합회 전남 감리관, 전남 방공위원회 위원, [[광주광역시|광주]] 사상보호관찰심사회 예비위원에 임명되었고, [[1940년]] [[경상남도]] 참여관 및 산업부장을 거쳐 [[1943년]] [[전라북도]] 지사에까지 올랐다. 전북 지사를 지낼 때는 징용을 관장하는 근로동원원호회 지부장을 맡기도 했다.
김대우의 빠른 승진 비결은 일제에 대한 특별한 충성이었다는 분석이 있다. 일제 때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군수를 지내고 광복 후 여러 차례 당시의 행적을 참회한 [[이항녕]]의 증언에 의하면, 자신이 경상남도 [[하동군]] 군수로 있을 때 경남 산업부장으로 근무하던 김대우가 군별로 공출미를 강제로 할당한 것은 물론, 보고된 재고량을 못 믿겠다며 할당량을 터무니 없이 늘려 수탈을 조장한 바 있다고 한다.[{{서적 인용
|저자=정운현
|제목=나는 황국신민이로소이다
|날짜=1999-07-28
|출판사=개마고원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85548-46-5}}
|장="나를 손가락질 해다오" - 전 홍익대학교 총장 이항녕}}] 이렇게 승진을 거듭하던 김대우는 [[태평양 전쟁]] 종전 두달 전인 [[1945년]] 6월 [[경상북도]] 지사에 임명되어 광복을 맞았다.
=== 해방 이후 ===
광복 직후 총독 [[아베 노부유키]]의 지시에 따라 임시로 경무국장 직무대리에 임명되어 행정권 인수 인계 절차를 위한 [[송진우 (정치인)|송진우]], [[안재홍]] 등 조선인과의 협상에 참가했으며, [[경상북도지사]]에 유임되었다. 미군정의 보고서에 의하면 '그는 수완가였고, 그의 유임은 의심할 것 없이 지방 정부에서 가장 큰 효율을 촉진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제40사단의 지원과 함께 김대우는 여러 군과 다른 지역의 관리들의 교체를 진행했는데, 일본인들을 제거하고 조선인들을 지명했다.' 한다. [[9월 2일]] 이후 [[미군정]]이 총독부의 행정 기능을 그대로 인수하면서 그도 계속 경북 지사로 근무하다가 [[10월 19일]]에야 미 군정 도지사의 고문으로 물러났다.
미군정 경북지사로 근무할 때 공금 3만원을 횡령한 것이 드러나 [[1946년]] [[2월]] 업무상횡령혐의로 특별범죄심사위원회 조사부에 소환되었으나 곧 도주했다. [[1946년]]부터 도피 생활을 하였고, 지명수배되었지만 곧 흐지부지되었다.
=== 정부 수립 이후 ===
[[1948년]] [[5월 10일]]에는 초대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으며 그해 9월 2일 [[반민특위]] 재판관 [[곽상훈]]에 의해 공민권 정지 3년형을 선고받았다.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풀려났고 공민권정지 3년형 외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1951년]] 일본인으로 조선총독부 관료로 조선에서 지방관을 역임한 고시진이 비밀리에 [[부산]]에 방문, [[장택상]]과 만났다가 [[족청]]계의 폭로로 장택상은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김대우는 고시진의 밀입국과 [[부산]] 밀항에 관련되어 [[1952년]] [[9월 28일]] 경찰에 긴급 구속되었다. [[10월 22일]] 구류기간이 만류되었으나 다른 이유로 계속 구속되었고 김대우는 구속의 부당함을 주장, 장준택 변호사를 변호인으로 선임하여 항소하였다. [[1953년]] [[2월 8일]] 불기소 및 유예처분을 받고 풀려났다.
이후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그해 [[6월 22일]] 그가 민주당 공천을 받고 국회의원에 입후보한 것이 문제시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장면]] 당시 민주당 대표가 그의 입후보를 권고하고 도왔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1961년]] [[7월]]에는 [[5.16 군사 정변]] 직후 군정이 [[민주당]] 정권 관련자들을 용공으로 몰아 재판할 때 그가 민주당 각료들을 도와 일본 약품을 밀입수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기도 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목록|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낙선하였다.
== 사후 ==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명단에는 그의 동생으로 경찰 관료를 지낸 [[김호우]]도 들어 있다. [[2009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슬하의 7남매 중 차남인 [[김광연 (1929년)|김광연]]은 [[송도병원]] 원장을, 막내 아들 [[김광순]]은 한국하우톤 회장을 지내는 등 자손이 번창했고, 이들은 김대우를 평범한 공무원이며 올곧은 선비로 기억하고 있다.[{{뉴스 인용
|url = http://www.chosunilbo.net/national/news/200607/200607110496.html
|제목 = "조선일보 제호 쓴 분의 글씨죠" - 김광연씨네 7남매, 서예가 김돈희씨 작품 본사 기증
|출판사 = 조선일보
|날짜 = 2006-07-11
|확인날짜 = 2008-05-27
|저자 = 이규현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71009094006/http://www.chosunilbo.net/national/news/200607/200607110496.html#
|보존날짜 = 2007-10-09
|깨진링크 = 예
}}]
== 가족 관계 ==
* 아들 : 김광연([[1929년]] ~ , 의사, 대장항문의, 서울송도병원 원장 역임)
* 며느리 : 이영희
* 아들 : 김광순
* 딸 : 김숙연
* 동생 : 김호우(金虎雨, 1947년 목포경찰서장 역임)
== 같이 보기 ==
* [[황국신민서사]]
* [[경상북도]]
* [[이경희 (1882년)|이경희]]
* [[박중양]]
* [[허억]]
* [[최남선]]
== 참고자료 ==
* {{서적 인용
|저자=반민족문제연구소
|제목=친일파 99인 1
|날짜=1993-02-01
|출판사=돌베개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7199-011-7}}
|장=김대우 : ‘황국신민의 서사’ 입안자 (김무용)}}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7HIL_A1900_1_0001412|김대우|金大羽}}
== 각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병태 (1887년)|김병태]]
|후임자 = [[정연기 (1891년)|정연기]]
|대수 = 13
|직책 = [[전라북도지사|일제강점기 전라북도지사]]
|임기 = [[1943년]] [[8월 18일]] ~ [[1945년]] [[6월 16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이창근]]
|후임자 = [[김대우 (1900년)|김대우]]
(미군정 초대 경상북도지사)
|대수 = 16
|직책 = [[경상북도지사|일제강점기 경상북도지사]]
|임기 =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
{{전임후임|
|전임자 = [[김대우 (1900년)|김대우]]
(조선총독부 최후의 경상북도지사)
|후임자 = [[자노우스키]]
|대수 =
|직책 = 초대 [[경상북도지사|미군정 경상북도지사]]
|임기 = [[1945년]] [[8월 15일]] ~ [[1945년]] [[10월 19일]]
}}
[[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76년 죽음]][[분류:대한제국 사람]][[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 당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