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선수 정보 |선수명 = 김기태 |영문 표기 = Kim Ki-Tae |소속 구단 = |등번호 = |선수 사진 파일명 = |사진 사이즈 = |사진의 코멘트 =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생년월일 = {{출생일과 나이|1969|5|23}} |사망일 = |신장 = 180 |체중 = 85 |수비 위치 = [[1루수]], [[외야수]], [[지명타자]] |투구 = 좌 |타석 = 좌 |프로 입단 연도 = [[1991년]] |드래프트 순위 = [[1991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1991년]] 특별우선지명([[쌍방울 레이더스]]) |첫 출장 = [[KBO 리그|KBO]] / [[1991년]] [[4월 11일]]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한화 이글스|빙그레]]전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05년]] [[10월 6일]]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한화 이글스|한화]]전 |획득 타이틀 = * [[1992년]] [[KBO 리그|KBO]] 최고 출루율 * [[1994년]] [[KBO 리그|KBO]] 홈런왕, 최고 장타율 * [[1997년]] [[KBO 리그|KBO]]타격왕, 최고 출루율, 장타율 * [[1992년]] ~ [[1994년]]·[[2004년]] [[KBO 리그|KBO]] 골든 글러브 |계약금 = 5억원 |연봉 = |경력 = '''선수 경력''' * [[쌍방울 레이더스]] (1991년 ~ 1998년) * [[삼성 라이온즈]] (1999년 ~ 2001년) * [[SK 와이번스]] (2002년 ~ 2005년) '''코치 경력''' * [[SK 와이번스]] 타격보조코치 (2006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타격코치 (2007년 ~ 2009년) * [[LG 트윈스]] 수석코치 (2011년)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코치 (2007년 ~ 2008년) '''감독 경력''' * [[LG 트윈스]] 2군 감독 (2010년 ~ 2011년) * [[LG 트윈스]] 감독 (2012년 ~ 2014년) * [[KIA 타이거즈]] 감독 (2015년 ~ 2019년) |대표국가 = 대한민국 |아시안게임 = [[1990년]] 베이징 |올림픽 = [[2000년]] 시드니 }} {{메달 시작}}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스포츠|남자 [[야구]]}} {{메달 경기|[[올림픽]]}} {{동메달|[[2000년 하계 올림픽|2000 시드니]]|[[야구]]}} {{메달 끝}} '''김기태'''(金杞泰, [[1969년]] [[5월 23일]] - )는 전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내야수]]이자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 감독이다.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신생팀 특별우선 지명을 받아 입단한 이래 팀의 중심 타자로 맹활약해 [[2011년]] [[KBO 리그]] 레전드 올스타 지명타자 부문에 선정됐다. [[쌍방울 레이더스]]의 재정난으로 [[1999년]]에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했다가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과의 불화로 [[2001년]] 시즌 후 6:2 현금 트레이드돼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2005년]]에 은퇴했다. [[2008년]] ~ [[2009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타격코치와 이스턴 리그 퓨처스 팀 감독으로 활동했다. == 선수 시절 == ===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 [[1991년]] [[인하대학교]] 체육교육학과를 졸업한 그는 신생 팀 특별우선 지명을 받아 [[1991년]]에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 내야수였지만 현역 시절엔 붙박이 지명타자로 나왔으며, [[1992년]] ~ [[1994년]]까지 3년 연속 지명타자 부문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 [[1991년]] 데뷔 첫 해 2할대 타율, 27홈런, 95타점으로 최고의 한 해를 보냈으나, 같은 팀 투수 [[조규제]]에게 밀려 신인왕 수상에 실패했다. [[1992년]]에는 3할대 타율, 31홈런으로 지명타자 부문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상|골든 글러브]]와 출루율 1위를 기록했고, [[1994년]]에는 25홈런으로 좌타자로는 첫 홈런왕 타이틀을 차지했다. [[1997년]]에는 타격왕을 차지했고 [[1996년]]과 [[1997년]]에 팀의 중심 타자로서 팀의 2차례 포스트 시즌 진출을 이끈다. 그러나 모기업인 쌍방울이 IMF 사태로 부도 처리돼 재정난을 겪게 되자 그는 [[1999년]] 팀의 핵심 불펜 투수였던 [[김현욱 (야구인)|김현욱]]과 당시 [[삼성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양용모]], [[이계성]]과의 2:2 현금 트레이드(20억원)로 이적했다.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그는 같은 해 [[해태 타이거즈]]에 트레이드된 [[양준혁]]을 대신해 중심 타자로 활약했다. [[1999년]]에 2할대 타율, 28홈런, 88타점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적을 거둔다.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올림픽]]에 참가해 같은 팀 1루수 [[이승엽]]과 함께 중심 타선을 이끌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의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올림픽]]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하지만 [[2001년]]에는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올림픽]] 때 함께했던 당시 감독이었던 [[김응용]]과의 불화[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1940293 '신의 허락' 받지 못한 불운의 스타 3인방] - 마이데일리 로 출장 광주 수가 크게 감소했고, 홈런도 기록하지 못한 채 타율도 1할대로 급추락했다. 또 [[2001년 한국시리즈]]에도 출전하지 못했다. 2001 시즌 후 [[SK 와이번스]]와의 6:2 현금 트레이드(그, [[정경배]], [[김태한]], [[이용훈 (야구 선수)|이용훈]], [[김동수 (야구인)|김동수]], [[김상진 (1970년)|김상진]] <-> [[틸슨 브리토|브리토]], [[오상민]] + 현금 11억)돼 이적했다. 이는 [[KBO 리그]] 역사상 최고의 빅 딜이었고, 팀이 현금 11억을 받아 당시 FA를 선언했지만 팀을 찾지 못했던 [[양준혁]]을 다시 데려왔다. === [[SK 와이번스]] 시절 === 6:2 현금 트레이드로 예전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선수단을 승계한 팀으로 돌아온 그는 나이가 들며 전성기 때의 타격은 나오지 않았지만 꾸준히 팀의 중심 타선을 이끌었다. 그는 [[2004년]]에 마지막 3할 타율, 10홈런, 67타점으로 현역 마지막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다. [[2003년]]에는 준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거쳐 데뷔 후 첫 [[200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 출전했지만 [[현대 유니콘스]]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5년]] 그는 15년 간의 선수 생활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 [[한신 타이거스]]에서 연수를 받다가 팀이 코치진 대개편을 해 연수 일정을 조정하고 조기 귀국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37441 '8연패' SK, 올해도 코치진 개편 효과 볼까] - OSEN 귀국 후 [[2006년]] 시즌 팀의 타격보조코치를 맡았다. 시즌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육성군 지도자 연수를 갔다. == 야구선수 은퇴 후 == 연수 후 [[2008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의 타격코치로 임명돼 [[2009년]]까지 코치로 활동한 후 당시 감독이었던 [[박종훈 (1959년)|박종훈]]의 요청으로 귀국해 [[2010년]]에 [[LG 트윈스]]의 2군 감독으로 선임됐다. 동메달을 획득했던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올림픽]] 이후 8년 만에 코치진으로 올림픽에 돌아와 [[2008년 하계 올림픽|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 타격코치로 활동하며 금메달 획득을 이끌었다. [[2011년]] [[7월 30일]] [[LG 트윈스|LG]]의 분위기 쇄신을 위해서 수석코치로 임명됐고, [[박종훈 (1959년)|박종훈]]이 성적 부진으로 시즌 최종전에 사임하자 [[2011년]] [[10월 7일]] 후임 감독으로 선임됐다. 붙박이 지명타자로 뛰었던 선수 출신으로는 드물게 감독이 됐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2474206 지명타자 출신이 사령탑을?… 편견을 뿌리치다] - 동아일보 === 감독 시절 === ==== [[LG 트윈스]] 감독 시절 ==== 그러나 [[LG 트윈스|LG]]의 감독으로 부임하자마자 FA였던 [[송신영]], [[조인성 (야구인)|조인성]], [[이택근]]을 잃었고, 2012 시즌 시작 전 승부조작 사건으로 투수 [[박현준 (야구 선수)|박현준]]과 [[김성현 (1989년)|김성현]]마저 잃어 전력 출혈이 크게 발생한 채 시즌을 시작했다. [[2012년]] [[9월 12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팀의 에러 연발과 [[SK 와이번스|SK]] 선발 투수 [[윤희상]]의 공을 공략하지 못해 3:0으로 끌려갔으나 9회말 2아웃 상황에서 4번 타자 [[정성훈 (1980년)|정성훈]]이 상대 투수 [[이재영 (야구 선수)|이재영]]을 상대로 2루타를 쳐 내 추격했다. 그러나 상대 팀 [[SK 와이번스|SK]]가 마무리 투수 [[정우람]]을 등판시키자 이에 분개해 타석에 올라온 5번 타자 [[박용택]]을 내리고 신인 투수 [[신동훈 (야구 선수)|신동훈]]을 대타로 타석에 올려 스탠딩 4구 삼진을 당하게 하고 광주를 마친 후, 전화기를 꺼 둔 채 잠적했다. 다음 날 광주 중 대타를 기용한 것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SK 와이번스|SK]]가 팀을 무시하는 것 같아서 그랬다고 답변했다.[http://osen.mt.co.kr/article/G1109466293 김기태, “상대 벤치가 장난치는 것 같았다”] - OSEN 이 사건으로 그는 [[KBO (야구)|KBO]]로부터 벌금 500만원과 엄중 경고 처분을 받았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260627 KBO, LG 김기태 감독에게 벌금 500만원 부과] - 스포츠조선 이 사건으로 팬들 사이에서 "포기태"라고 불렸다. 2012년 시즌 7위를 기록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그가 감독으로 부임한 첫 해 이후 선수단 사이에서 야구 외적인 잡음이 없어졌다는 것이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349758 김기태 감독, LG 역사에 굵은 획을 긋다] - 조이뉴스24 [[2013년]]에는 [[2002년]] 이후 팀의 상승세가 뛰어나서 팬들로부터 "갓기태"라고 불렸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42&article_id=0001953801 "할 말 해라" 소통의 야구 통했다] - 주간한국 그 해 상위권 팀들 중 가장 먼저 포스트 시즌 진출을 확정지으며, 11년 만에 포스트 시즌에 진출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10&article_id=0000101299 김기태 감독의 ‘형님 리더십’, 형님들도 못한 미라클] - MK스포츠 [[류제국]]의 맹활약으로 최종전에서 [[두산 베어스]]를 이기고 정규 시즌을 2위로 마감했으나, 팀은 경험 부족을 드러내 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 패하며 [[2013년 한국시리즈]]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4년]] [[4월 23일]] 팀의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했고, 후임으로 [[양상문]]이 새 감독으로 선임됐다. ==== [[KIA 타이거즈]] 감독 시절 ==== 감독 사퇴 6개월 만인 [[2014년]] [[10월 28일]] [[선동열]]의 후임으로 고향 팀의 감독으로 취임복귀했다. 그로부터 약 3년 후인, [[2017년 KBO 리그|2017년]] [[10월 3일]] 시즌 마지막 광주 [[kt 위즈]]전에서 대승을 거둬 [[2009년]] 이후 8년만이자, 개인 첫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차지했으며 또한 선수 시절엔 이루지 못했던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의 우승을 이뤄냈다. 2018년 시즌 종료 전에 [[임창용]]을 방출시켜 팬들의 질책을 많이 받았다. 2019년 5월 16일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2번째로 시즌 중에 자진 사퇴했다. == 출신 학교 == * [[광주서림초등학교]] * [[광주충장중학교]] * [[광주제일고등학교]] * [[인하대학교]] == 수상·타이틀 경력 == * 타격왕(1997년) * 홈런왕(1994년) * 출루율왕(1992년, 1997년, 1998년) * 장타율왕(1994년, 1997년) * 골든 글러브상 지명타자 부문(1992년, 1993년, 1994년, 2004년) [[1997년]] 시즌에 [[이승엽]]과 함께 타격 3관왕을 기록했다. OPS는 1위를 기록했으나 후반기에 부상으로 15경기를 결장했다. 그의 부상은 정규 시즌을 3위로 마친 [[쌍방울 레이더스]]의 [[플레이오프]] 탈락에도 영향을 미쳤고, 누적 기록 뿐만 아니라 [[이승엽]], [[이종범]], [[양준혁]]과의 홈런 경쟁에서도 밀리는 데 영향을 미쳤다. 홈런 수는 [[이승엽]]과 6개차, 2위 그룹과는 불과 4개 차이였다. == 주요 기록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 |- bgcolor = "#cccccc" ! 기록 ! 날짜 ! 소속 ! 구장 ! 상대팀 ! 상대 투수 ! 경기수 ! 달성 당시 나이 ! 기타 ! 각주 |- |600타점 |1998. 5. 24 |[[삼성 라이온즈|삼성]]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LG 트윈스|LG]] | | | |8번째 | |- |2000루타 |2000. 7. 5 |삼성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 |[[두산 베어스|두산]] | |1070 |31세 1개월 12일 |5번째 | |} == 통산 기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right; font-size:small" |-style="line-height:1.25em" ![[년|연

도]]!!소

속!![[나이|나

이]]!!출

장!![[타석|타

석]]!![[타수|타

수]]!![[득점 (야구)|득

점]]!![[안타|안

타]]!![[2루타|2

타]]!![[3루타|3

타]]!![[홈런|홈

런]]!![[타점|타

점]]!![[도루|도

루]]!![[도루|도

실]]!![[볼넷|볼

넷]]!![[삼진|삼

진]]!![[타율|타

율]]!![[출루율|출

율]]!![[장타율|장

율]]!![[OPS|O
P
S]]!![[누타수|루

타]]!![[병살타|병

타]]!![[몸에 맞는 볼|몸

맞]]!![[희생 번트|희

타]]!![[희생 플라이|희

플]]!![[고의 사구|고

4]] |- |style="text-align: center;"|[[1991년 한국프로야구|1991]] |rowspan="8" style="text-align:center;"|[[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style="text-align: center;"|22 |124||508||427||65||112||15||0||27||92||7||4||72||'''93'''||.262||.370||.487||.857||208||9||4||0||5||4 |- |style="text-align: center;"|[[1992년 한국프로야구|1992]] |style="text-align: center;"|23 |123||525||398||86||120||28||3||31||96||5||7||'''114'''||84||.302||'''.461'''||.621||1.082||247||11||8||0||5||'''18''' |- |style="text-align: center;"|[[1993년 한국프로야구|1993]] |style="text-align: center;"|24 |96||395||317||36||76||17||2||9||43||11||5||'''73'''||57||.240||.380||.391||.771||124||7||1||0||4||'''8''' |- |style="text-align: center;"|[[1994년 한국프로야구|1994]] |style="text-align: center;"|25 |108||454||376||70||119||20||4||'''25'''||79||9||10||'''74'''||70||.316||.430||'''.590'''||1.020||222||10||2||0||2||13 |- |style="text-align: center;"|[[1995년 한국프로야구|1995]] |style="text-align: center;"|26 |116||482||402||48||129||'''34'''||3||12||72||12||10||72||44||.321||.419||.510||.929||205||8||1||0||7||15 |- |style="text-align: center;"|[[1996년 한국프로야구|1996]] |style="text-align: center;"|27 |91||366||310||47||92||17||3||12||53||3||6||54||48||.297||.399||.487||.886||151||9||0||0||2||'''20''' |- |style="text-align: center;"|[[1997년 한국프로야구|1997]] |style="text-align: center;"|28 |111||478||390||95||134||30||3||26||79||10||7||84||54||'''.344'''||'''.460'''||'''.636'''||'''1.096'''||248||11||2||0||2||14 |- |style="text-align: center;"|[[1998년 한국프로야구|1998]] |style="text-align: center;"|29 |126||541||434||84||134||28||4||31||90||10||5||'''104'''||79||.309||'''.440'''||.606||'''1.046'''||263||11||0||0||3||15 |- |style="text-align: center;"|[[1999년 한국프로야구|1999]]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삼성 라이온즈|삼성]] |style="text-align: center;"|30 |130||560||468||82||137||33||2||28||88||5||4||82||95||.293||.403||.551||.954||258||9||6||1||3||6 |- |style="text-align: center;"|[[2000년 한국프로야구|2000]] |style="text-align: center;"|31 |101||395||333||69||103||24||1||26||80||5||1||57||56||.309||.410||.622||1.032||207||6||2||0||3||'''7''' |- |style="text-align: center;"|[[2001년 한국프로야구|2001]] |style="text-align: center;"|32 |44||102||85||5||15||2||1||0||9||0||0||16||17||.176||.314||.224||.537||19||1||1||0||0||1 |- |style="text-align: center;"|[[2002년 한국프로야구|2002]] |rowspan="4" style="text-align:center;"|[[SK 와이번스|SK]] |style="text-align: center;"|33 |101||337||284||32||73||15||1||9||46||2||1||47||57||.257||.359||.412||.771||117||6||0||3||3||0 |- |style="text-align: center;"|[[2003년 한국프로야구|2003]] |style="text-align: center;"|34 |93||265||236||32||69||7||0||3||18||2||2||27||30||.292||.364||.360||.724||85||4||0||1||1||0 |- |style="text-align: center;"|[[2004년 한국프로야구|2004]] |style="text-align: center;"|35 |126||465||403||60||129||24||0||10||67||2||4||57||55||.320||.404||.454||.858||183||10||0||4||1||6 |- |style="text-align: center;"|[[2005년 한국프로야구|2005]] |style="text-align: center;"|36 |54||130||112||5||23||4||0||0||11||0||0||15||23||.205||.297||.241||.538||27||4||0||2||1||1 |- bgcolor = "#F2F2F2" !colspan="3"|[[KBO 리그|KBO]] 통산 : 15년 |'''1544'''||'''6003'''||'''4975'''||'''816'''||'''1465'''||'''298'''||'''27'''||'''249'''||'''923'''||'''83'''||'''66'''||'''948'''||'''862'''||'''.294'''||'''.407'''||'''.515'''||'''.923'''||'''2564'''||'''116'''||'''27'''||'''11'''||'''42'''||'''129''' |}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 등번호 == * '3' (1991 ~ 1993년 - [[쌍방울 레이더스]]) * '10' (1994년 ~ 1998년 - [[쌍방울 레이더스]], 1999년 - [[삼성 라이온즈]], 2002년 ~ 2005년 - [[SK 와이번스]]) * '11' (2000년 ~ 2001년 - 시드니 올림픽, [[삼성 라이온즈]]) * '130' (2007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84' (2008년 - [[요미우리 자이언츠]]) * '88' (2008년 -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 * '71' (2010년 ~ 2011년 - [[LG 트윈스]]) * '91' (2012년 ~ 2014년 - [[LG 트윈스]]) * '77' (2014년 ~ 2019년 - [[KIA 타이거즈]]) == 각주 == == 외부 링크 == * {{KBO 타자|91803|김기태}} * [http://www.statiz.co.kr/player.php?opt=1&name=%EA%B9%80%EA%B8%B0%ED%83%9C&birth=1969-05-23 김기태 - 스탯티즈] *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393494 야구의 추억, 서른 다섯 번째] 장판교에 홀로 선 장비, 레이더스 4번 타자 {{전임후임 |전임자 = [[박종훈 (1959년)|박종훈]] |후임자 = [[조계현 (야구인)|조계현]](감독대행) |대수 = 10 |직책 = [[LG 트윈스]] 감독 |임기 = 2011년 10월 7일 ~ 2014년 4월 23일 }} {{전임후임 |전임자=[[선동열]] |후임자=[[박흥식 (야구인)|박흥식]](감독대행) |대수=8 |직책=[[KIA 타이거즈]] 감독 |임기=2014년 10월 28일 ~ 2019년 5월 16일 }} {{2017년 KIA 타이거즈}} {{한국 시리즈 우승 감독}} {{KBO 리그 감독}} {{둘러보기 상자 묶음 |제목 = 대한민국 국가 대표 |bg = #0A6EFF |fg = white |내용 = {{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7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 {{KBO 홈런상}} {{KBO 타율상}} {{KBO 출루율상}} {{KBO 장타율상}} {{KBO 골든글러브 지명 타자}} {{한국 프로 야구 30주년 레전드 올스타}} {{2000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KBO 홈런상 수상자]][[분류:KBO 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장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출루율상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한국 프로 야구 200홈런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800타점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9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분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LG 트윈스 감독]][[분류:KIA 타이거즈 감독]][[분류:김해 김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분류:광주충장중학교 동문]][[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분류:인하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