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0/01/Yaun_jae_gil.jpg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다. 본관은 [[해평 길씨|해평]],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 또는 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a_A1353_1_0001122&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목은 [[이색]]과 포은 [[정몽주]]와 함께 고려 말의 [[삼은]]으로 불린다. [[고려]]가 망하자 관직을 버리고 [[선산]]에 낙향하여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으며, [[김숙자 (1389년)|김숙자]], [[최운룡]], [[김종직]] 등을 통해 [[사림파]]로 학맥이 계승되었다. == 생애 == 11세 때 절에 들어가 글을 배우고, 그 뒤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세 때인 [[1370년]]([[고려 공민왕|공민왕]] 19) [[박분]]에게 《[[논어]]》, 《[[맹자]]》를 배웠으며, 그 뒤 박분과 함께 [[개경]]으로 가서 이색, 정몽주, [[권근]]의 제자가 되어 [[성리학]]을 공부하였다. 1374년(공민왕 23)에 국자감(國子監)에 들어가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해에 감시에 합격했다. [[1386년]]([[고려 우왕|우왕]] 12) 문과에 급제했다. 1387년 성균관 학정이되고, [[1388년]](우왕 14) [[성균관]] 박사(成均館博士)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1389년 문하주서가 되었으나 나라가 망할것임을 알고 여러 차례 관직을 사양하였으나 왕은 그를 아껴서 사직서를 반려하였다. [[고려 창왕|창왕]] 때에는 문하주서가 되었으나, 고려가 쇠망할 기운을 보이자, 늙은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1392년]]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을 사퇴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후인 [[1400년]]([[조선 정종|정종]] 2년)에, 전부터 친하게 지내던 세자 [[이방원]]이 그에게 태상박사의 벼슬을 내렸으나,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 하여 거절하고 고향인 [[경상북도]] 선산(善山)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조선 세종|세종]]이 즉위하던 해인 1419년에 6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문하에 [[김숙자 (1389년)|김숙자]], [[배인경]](裵仁敬), [[최운룡]](崔雲龍) 등의 문하생을 길러냈다. 그의 성리학은 [[김숙자 (1389년)|김숙자]], [[최운룡]],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 등에게 이어졌다. == 사상과 영향 == 비록 그는 [[조선]]의 관직에는 진출하지 않았으나 그의 동문들, 그가 후에 길러낸 제자들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인용문|[[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도전]]
             →[[이숭인]]
             →[[정몽주]]→[[권근]]
                  →[[권우 (1363년)|권우]]→[[조선 세종|세종대왕]]
                     →[[정인지]]
                  →길재→[[김숙자 (1389년)|김숙자]]→[[김종직]]→[[정여창 (1450년)|정여창]]
                             →[[김굉필]]→[[조광조]]→[[백인걸]]→[[이이]](율곡)
                                     →[[성수침]]→[[성혼]](우계)
                                     →[[이연경]]
                                 →[[김안국]]
                                 →[[김정국]]
                             →[[이심원|주계부정 이심원]]
                             →[[김일손]]
                             →[[김전]]
                             →[[남곤]]}} == 관련 작품 == === 드라마 === * 《[[용의 눈물]]》([[KBS]], [[1996년]]~[[1998년]], 배우:강태기) == 저작 == * 《야은집》 * 《야은언행습유》(冶隱言行拾遺) * 《야은속집》 * [[고려]]의 옛 도읍지 송경(지금의 개성)을 찾았을 때 읊은 시조 〈[[고려]] 유신 회고가〉는 유명하다.
{{인용문|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도라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없네
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 관련 항목 == * [[고려 3은]] * [[정몽주]] * [[이숭인]] * [[권근]] * [[김숙자 (1389년)|김숙자]] * [[청풍사]] * [[구미 채미정]] * [[선산 삼강정려]] == 각주 == * {{글로벌세계대백과}} {{청백리}} {{고려 삼은}} [[분류:1353년 태어남]][[분류:1419년 죽음]][[분류:과거 급제자]][[분류:사상가]][[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고려의 유학자]][[분류:고려의 철학자]][[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고려의 작가]][[분류:고려의 시인]][[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해평 길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태종]][[분류:14세기 한국 사람]][[분류:15세기 한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