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 정보
|이름 = 고영희
|원래이름 = 高永喜
|사진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9/Go_Yeong-hui_Portrait.jpg/300px-Go_Yeong-hui_Portrait.jpg
|출생일= {{출생일|1849|12|16}}
|출생지= [[조선]] [[한성부]] [[서울특별시]]
|사망지=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916|1|24|1849|12|16}}
|사망원인=
|거주지=
|국적= {{국기나라|대한제국}}
{{국기나라|일제 강점기 조선}}
|별명=
|학력=
|직업=
|종교= [[유교]]([[성리학]])
|작위 = [[자작]]([[조선귀족]])
|후임자 = [[고희경 (1873년)|고희경]]
|배우자=
|자녀= [[고희경 (1873년)|고희경]]
|부모= 고진풍
|친척=
|서명=
|웹사이트=
}}
'''고영희'''(高永喜, [[184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일]][{{서적 인용 |편집자= [[국사편찬위원회]] |제목=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 |연도= 1971년 |출판사= 도서출판 탐구당 |페이지=584, 752쪽 }}]) ~ [[1916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다.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되었다. [[자 (이름)|자]]는 자중(子中), 본관은 [[제주 고씨|제주]](濟州), 본적은 경성 북부(北部) 옥동(玉洞) 15통 9호(1914년 당시 주소)이며 고진풍(高鎭豊)의 아들이다.
== 생애 ==
[[1866년]] 부사용(副司勇)이 되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후 [[김기수 (수신사)|김기수]]가 [[수신사]] 대표로 일본에 갔을 때 그를 수행하였다. 그는 이런 기회를 통해 강화도 조약 체결 후 바로 일본의 문물을 접하면서 일찌감치 친일 개화파에 속하게 되었다. 귀국 후 일본의 발전 모습을 알리고, 원산항이 개항되어 통상항이 되자 사무관처리(事務官處理)가 되어 크게 공을 세웠다. [[1881년]]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에 갔을 때 또 다시 김기수를 수행하였다. [[1882년]] 일본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의 차비역관(差備譯官)이 되었고, 그 뒤 중용되어 인천조계획정(仁川租界劃定)의 사무를 맡았다. 이어서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를 역임하였다.
[[1884년]] [[갑신정변]]이 실패하면서 일시 몰락하여 간성·삭녕·고양 등의 군수직을 지낸 뒤 사직하고 일시 한거하다가 다시 복귀하여 [[1885년]] 이후 기기국방판(機器局幇辦)을 지냈다. [[1894년]] [[갑오경장]]에 참여하여 내부 참의, [[학무아문]] 참의, [[농상아문]] 협판을 지냈다.
[[1895년]] 주일 특명전권공사를 거쳐[{{서적 인용
|저자=[[김삼웅]]
|제목=친일정치 100년사
|날짜=1995-07-01
|출판사=동풍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86072-03-7}}
|페이지=86}}] [[1896년]] [[농상공부]] 협판, 외부 협판이 되었으며, [[독립협회]]의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1899년]] [[9월 12일]] - [[9월 17일]], [[역대 한성판윤|한성판윤]]을 역임하였다.[{{웹 인용 |url=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65.html# |제목=서울육백년사 |확인날짜=2006-02-04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61938/http://seoul600.visitseoul.net/seoul-history/sidaesa/txt/65.html# |보존날짜=2007-09-28 |깨진링크=예 }}] [[1903년]] 주일 특명전권공사, [[탁지부]] 협판, [[중추원 (대한제국)|중추원]] 찬의 등을 거쳐 [[1904년]] 황해도관찰사, [[1905년]] 제실회계심사국장(帝室會計審查局長)·경리원경(經理院卿)을 거쳤다.
[[1907년]] [[이완용]] 내각에 탁지부대신으로 중용되어,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헤이그 특사 사건을 구실로 [[대한제국 고종|고종]]의 양위를 강요할 때 적극적인 반대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 뒤 법부대신, [[1909년]] 내부대신 임시서리·탁지부대신이 되었다. [[한일신협약]]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협조하여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포함되었다.
훈장으로는 이화대수장(李花大綬章) 및 [[1910년]] [[10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자작]]위를 받고, 10만 엔을 받았다. 또한,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고문에 임명되었다.[{{서적 인용
|저자=김삼웅
|제목=친일정치 100년사
|날짜=1995-07-01
|출판사=동풍
|출판위치=서울
|id={{ISBN|978-89-86072-03-7}}
|페이지=80}}]
== 사후 ==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그의 작위를 습작한 아들 [[고희경 (1873년)|고희경]]과 함께 선정되었다. 고희경은 후에 백작으로 승급했다. [[2006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일제 강점기]] 초기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가족 관계 ==
* 증조부 : 고경직(高景稷) - 혜민서교수(惠民署敎授)
*조부 : 고재승(高在昇) - 인의(引儀)
*생조부 : 고재창(高在昌) - 혜민서직장(惠民署直長)
*외조부 : 이일준(李一遵) - 1809년 역과(譯科)
*아버지 : 고진풍(高鎭豊) - 사역원교회(司譯院敎誨)
**본인 : 고영희(高永喜)
**부인 : 1852년 역과(譯科) 합격한 이호기(李浩基)의 딸 태안이씨(泰安李氏)
*** 장남 : [[고희경 (1873년)|고희경]](高羲敬, 1873~1934) - 1891년 진사, 1916년 자작을 습작했다 1920년 백작으로 승급, 1926년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손자 : [[고흥겸]](高興謙, 1893~1939) - 1934년 백작을 습작
*****증손자 : [[고중덕]](高重德, 1923~) - 1939년 백작을 습작
*** 차남 : 고희성(高羲誠) - 1893년 진사
*형 : 고영주(高永周) - 1859년 역과(譯科)
*동생 : 고영선(高永善) - 1870년 역과(譯科)
*동생 : 고영철(高永喆) - 1876년 역과(譯科)
**조카 : [[고희동]]((高羲東, 1886~1965) - 한국인 최초 서양화가
== 같이 보기 ==
* [[고희경 (1873년)|고희경]]
== 참고 자료 ==
* {{서적 인용
|저자=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제목=2006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연도=2006
|발행월=12
|id=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출판위치=서울
|쪽=10~26
|장=고영희
|장url=http://www.pcic.go.kr:8088/pcic/UserFiles/File/KOYONGHEE(1).pdf
}}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6JOc_A1849_1_0000461|고영희|高永喜}}
* {{서적 인용 |편집자= [[국사편찬위원회]] |제목=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 |연도= 1971년 |출판사= 도서출판 탐구당}}
* 조선귀족열전(朝鮮貴族列傳, 大村友之丞編, 1910)
== 각주 ==
{{각주}}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
[[분류:1849년 태어남]][[분류:1916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자작]][[분류:유교 신자]][[분류:급진개화파]][[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한일 병합 조약 관련자]][[분류:제주 고씨]][[분류:독립협회]][[분류:이화대훈장 수훈자]][[분류:친일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