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DDH-979 강감찬||대한민국의 전함}} {{공직자 정보 |이름=강감찬 |원래 이름 = 姜邯贊 |정당 = [[무소속]] |국적 = [[고려]] |그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8/Statue_of_Gang_Gam-chan.jpg/250px-Statue_of_Gang_Gam-chan.jpg |그림설명= 낙성대공원에 있는 강감찬 동상 |출생일={{출생일|948|12|22}} |사망일={{사망일과 나이|1031|9|9|948|12|22}} |별명= 아명 : 은천(殷川)
시호 : 인헌(仁憲) |출생지= [[고려]] [[양광도]] [[금주]] [[낙성대]]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본관 = [[금천 강씨|금주]](衿州) |경력 = 문관(文官) |군사그림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6/Gang_Gam-chan_face.jpg/200px-Gang_Gam-chan_face.jpg |군사그림설명 = 강감찬 장군의 초상화(왼쪽)와 동상(오른쪽) |계급 = 고려국 천수현개국후 |학력 = 983년(고려 성종 3년) 과거 장원 급제 |복무기간 = 993년 ~ 1019년 |군복무 = 고려 관군 |임기 = [[1019년]] [[11월 1일]] ~ [[1020년]] [[12월 1일]] |직책 = [[고려|고려국]] [[문하시랑]]
(高麗國 門下侍郞) |군주 = [[고려 현종|고려 현종 왕순]] |군주2 = [[고려 현종|고려 현종 왕순]]
[[고려 덕종|고려 덕종 왕흠]] |임기2 = [[1030년]] [[1월 31일]] ~ [[1031년]] [[8월 20일]] |직책2= 고려국 [[문하시중]]
(高麗國 門下侍中) }} '''강감찬'''(姜邯贊《[[고려사]]》의 표기 또는 姜邯瓚[[흥국사 (개성)|흥국사]] 석탑 탑명의 표기, [[948년]] [[12월 22일]]([[음력 11월 19일]]) ~ [[1031년]] [[9월 9일]]([[음력 8월 20일]]))은 [[고려]]의 문관(文官)이다. 본관은 [[금천 강씨|금주]](衿州)이다. [[983년]](성종 3)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예부시랑, 한림학사를 거쳐 문하평장사가 되었다. [[요나라]]의 3차 침입을 격퇴하였고,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남)에 봉해졌다. 1030년(현종 21)에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현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고 문종(文宗) 때에 수태사 겸 중서령(守太師兼中書令)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인헌(仁憲)이다0 == 생애 == === 생애 초 === 강감찬은 [[948년]] [[12월 22일]]([[음력 11월 19일]])에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강궁진]](姜弓珍)의 아들로 [[양광도]] [[금주 (고려)|금주]](현 [[서울특별시]] [[관악구]] 낙성대 근처)에서 태어났다. 어릴적 이름은 은천(殷川)이다. 5대조인 강여청(姜餘淸)이 시흥군(始興郡)으로 이주하여 금주(衿州)의 호족이 되었다. [[983년]](성종 3)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예부시랑이 되었다. 그 후 지금의 서울(남경)과 경주(동경) 시장을 역임하였다. === 요나라의 1차 침입 === [[993년]] [[요나라]]([[거란]])의 [[요 성종|성종]]은 [[송나라]]와 고려 사이의 친선 관계를 차단하였다. 또 고구려를 자신들의 영토라고 우기면서 옛 고구려의 영토를 달라면서 [[소손녕]](蕭遜寧)을 보내 고려를 침공하였다. [[서희]](徐熙)는 고구려를 계승하였기 때문에 나라이름을 고려라고 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요의 땅도 다 고려 땅이라고 주장, 압록강 동쪽의 여진을 내쫓고 옛땅을 돌려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말에 설득된 소손녕은 물러갔고, 고려는 [[서희]]의 담판 결과로써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 요나라의 2차 침입 === [[1010년]]([[고려 현종|현종]] 1년) 요나라 성종이 [[강조의 정변]]을 표면상의 구실로 내세워 40만 군으로 [[고려 서경|서경]](西京)을 침공하였다. 현종은 [[강조]]를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로 삼아 30만 군을 거느리고 [[선천|통주]](通州)에 나가 막게 했으나 크게 패배했다. 강감찬은 요나라에 항복하자는 다른 중신들에 반대하며 전략상 일시 후퇴할 것을 주장하여 [[나주]]로 피난하여 사직을 보호하였다. [[하공진]](河拱辰)이 적을 설득하자 요나라군은 고려에서 물러갔다. 요나라 군이 돌아가던 중 [[양규]](楊規)가 고려에서 물러가는 요군을 뒤에서 쳐 고려는 큰 승리를 거두고 요는 많은 피해를 입고 물러갔다. 이듬해인 [[1011년]] 국자제주(國子祭酒)가 되고, 한림학사·승지·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중추원사(中樞院使)·이부상서 등을 역임했으며, [[1018년]]에는 경관직인 내사시랑 동내사 문하평장사(內史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와 외관직인 서경 유수를 겸임하였다. 서경 유수는 단순한 지방의 행정관직이 아니라 군사 지휘권도 행사하는 요직으로 강감찬이 이 직책에 임명된 것은 요나라의 재침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출처|날짜=2014-4-16}} === 요나라의 3차 침입 === [[1018년]](현종 9) 요나라는 고려 현종이 친히 입조하지 않은 것과 [[강동 6주]]를 돌려주지 않은 것을 구실로 삼아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으로 고려를 침략했다. 이때 서북면 행영 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로 있던 강감찬은 상원수가 되어 부원수 [[강민첨]](姜民瞻) 등과 함께 20만 8천 명을 이끌고 나가 곳곳에서 요나라군을 격파했다. 흥화진(興化鎭) 전투에서는 1만 2천여 명의 기병을 산골짜기에 매복시키고, 굵은 밧줄로 쇠가죽을 꿰어 성 동쪽의 냇물을 막았다가 적병이 이르자 막았던 물을 일시에 내려보내는 전술로 혼란에 빠진 요나라군을 크게 무찔렀다. 이어 [[자산군|자주]](慈州)와 [[신계군|신은현]](新恩縣)에서 고려군의 협공으로 패퇴하는 요나라군을 추격하여 [[구성시|귀주]](龜州)에서 적을 섬멸했는데, 이 전투를 [[귀주대첩]]이라 한다. 요나라군 10만 명 중에서 생존자는 겨우 수천에 불과하였다. 강감찬이 승리를 거두고 수많은 포로와 전리품을 거두어 돌아오자 현종은 직접 영파역(迎波驛)까지 마중을 나와 금화팔지(金花八枝: 금으로 만든 꽃 여덟 송이)를 머리에 꽂아 주고 오색비단으로 천막을 쳐서 전승을 축하하는 연회를 벌였다. [[귀주대첩]]의 승리로 요나라는 침략 야욕을 포기하게 되었고, 고려와 요나라 사이의 평화적 국교가 성립되었다. 고려는 송나라와 정식 외교 관계는 단절하였지만, 무역 및 문화 교류는 계속 이루어졌고, 요나라도 송으로부터 조공을 받는 수준에서 송과도 긴장된 평화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 전쟁 이후 === 전란이 수습된 뒤 검교태위 [[문하시랑]]문하성의 차관급 동내사문하평장사 천수현개국남檢校太尉 門下侍郎 同內史門下平章事 天水縣開國男에 봉해지고 [[식읍]] 3백 호를 받았으며,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의 호를 받았다. [[1020년]]에는 특진검교태부 천수현개국남特進檢校太傅 天水縣開國子에 봉해져 식읍 3백 호를 받은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1030년]]에 다시 관직에 나아가 문하시중에 올랐으나 현종 사후 사망하였다. [[고려 덕종|덕종]]이 즉위하자 개부의동삼사 추충협모안국봉상공신 특진 검교태사가 되었다. === 사후 === [[고려 문종|문종]] 때 수태사 겸 중서령(守太師兼中書令)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인헌(仁憲)이다. 향년 84세. 죽은 후 현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 국사리에서 묘지석을 발굴해 1968년 [[강감찬 충현사|충현사]]가 건립되었다. == 저서 == 〈낙도교거집 樂道郊居集〉과 〈구선집 求善集〉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 == 강감찬이 등장한 작품 == * 《강감찬》([[KBS]], [[1974년]], 배우:[[주현]]) * 《[[천추태후 (드라마)|천추태후]]》([[KBS]], [[2009년]]~[[2009년]], 배우:[[이덕화]]) == 설화 == [[고려시대]]의 명장으로 [[거란]]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왔을 때 서북면행영도통사로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흥화진(興化鎭)에서 적을 무찔렀으며 달아나는 적을 [[귀주대첩]]에서 크게 격파하여 수많은 [[전설]]이 전해내려 오고 있다. {{참고|강감찬 설화|설명=[[고려]] 강감찬 장군 [[전설]]이나 [[설화]]에 대해서는}} == 관련 문화재 == * [[낙성대|강감찬생가터]] - 서울특별시 시도기념물 제3호. * [[낙성대 삼층석탑]] -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 제4호. == 기념 == * [[대한민국 해군]] 소속의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제5번함은 강감찬함(ROKS DDH-979)이다. == 같이 보기 == {{Col-begin}} {{Col-3}} * [[금천 강씨]] * [[강동 6주]] * [[송]] * [[거란]] * [[여진]] * [[헤이안시대]] * [[고려-요 전쟁]] * [[귀주대첩]] * [[강민첨]] * [[서희]] {{Col-3}} * [[소배압]] * [[소손녕]] * [[강조]] * [[김치양]] * [[이현운]] * [[박술희]] * [[윤관]] {{Col-3}} * [[윤언이]] * [[묘청]] * [[이의방]] * [[이순우]] * [[정지상]] * [[최영]] {{Col-end}} == 각주 == == 외부 링크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2423&path=|183|193|&leafId=223 네이버 캐스트 : 오늘의 인물 - 강감찬]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제목=고려의 대외정책}} [[분류:948년 태어남]] [[분류:1031년 죽음]] [[분류:금천 강씨]]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분류:과거 급제자]] [[분류:장원 급제자]] [[분류:귀주 대첩]] [[분류:고려의 문신]] [[분류:숭의전 16공신]] [[분류:고려-거란 전쟁 관련자]] [[분류:고려의 군인]] [[분류:고려 전기의 문신]] [[분류:고려의 문하시중]] [[분류:한국의 장군]] [[분류:영웅]] [[분류:문벌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