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치

이석준 "위안부 기록 유네스코 등재는 '민간 몫'"

등록 2016.06.27 12:13:02수정 2016.12.28 17:1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이 2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무총리실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단과 국정현안에 대한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 실장은 "상시 청문회법이 정부나 공공기관 직원들의 업무를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고, 소신있게 일할 수 있는 풍토가 어떻게 될 지 우려가 많다"고 말했다. 2016.05.23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이 2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무총리실 기자실에서 출입기자단과 국정현안에 대한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 실장은 "상시 청문회법이 정부나 공공기관 직원들의 업무를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고, 소신있게 일할 수 있는 풍토가 어떻게 될 지 우려가 많다"고 말했다. 2016.05.23 [email protected]

"위안부 협정 이면약속? 모른다"

【서울=뉴시스】김난영 기자 =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은 27일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유네스코 등재와 관련 "민간이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정부 역할에 선을 그었다.

 이 실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 국무조정실 업무보고에 출석,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지원 중단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무엇인가'라는 지적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위안부 기록의 유네스코 등재에 대해선 정부가 지금까지 지원을 해왔고, 15개 민간단체가 공동으로 등재를 신청했기 때문에 (등재 자체는) 민간에서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정부는 아무 역할도 하지 않나'라는 박용진 더민주 의원의 지적에도 "정부는 지원은 하지만 기본적으로 문서 발굴이나 조사를 지원했고, 지금은 (민간단체가 등재를) 신청했기 때문에 민간단체 위주로 추진하는 게 맞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 2014년 정부가 국내,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의 일본군 위안부 기록을 문화재청을 통해 유네스코에 등재 신청하기로 발표했던 것에 관해서는 "(등재를) 추진한다는 점에선 (현재 상황도) 똑같은 것 같다"고 했다.

 그는 같은 맥락으로 '일본군 위안부 기록 등재에 관해 2년 전 정부의 태도와 지금 태도가 다른 것은 정부가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할 사항'이라는 박 의원 지적에 "특별히 사과 문제에 대해선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이 실장은 또 '정부가 나서서 등재를 추진하지 않는 배경에 위안부 졸속 협정 과정에서의 이면 약속이 있는 게 아니냐'는 추궁에는 "거기에 대해 제가 알고 있지 못한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