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뛰는 뉴스 더 깊은 뉴스 더 다른 뉴스 사람人뉴스 오피니언 기업과 경제 뉴스 전국 네트워크
2024년 06월 02일 일요일
위로가기 버튼
상단메뉴아이콘
상단검색 아이콘
'서든어택2' 출시 4일째···전작 ‘서든어택’부터 넘어야 산다

여자캐릭터 선정성 논란에 비판도...
서든어택2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은 불만 폭주

advertisement

▲ 서든어택2 대표 이미지. / 사진=넥슨

advertisement

[아시아타임즈=유성현 기자] 넥슨의 올 하반기 기대작인 온라인 게임 ‘서든어택2’가 지난 6일 첫 출시됐지만 아직은 전작 ‘서든어택’을 넘어서지 못한 채 주춤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10일 PC방 게임전문 리서치 서비스 게임트릭스에 따르면 ‘서든어택2’의 9일 기준 게임시장 점유율은 1.98%로 8위를 기록하고 있다. ‘서든어택의 점유율은 5.73%로 5위다. 전날보다 각각 한 계단씩 떨어졌다.

1~3위는 각각 오버워치(32.04%), 리그 오브 레전드(25.29%), 메이플스토리(6.47%)가 이름을 올렸다.

넥슨이 출시한 '서든어택2'는 '서든어택' 개발사인 넥슨지티가 4년여의 개발기간을 거쳐 만든 작품이다. 이런 긴 시간을 투자해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식 서비스 3일 만에 선정성 논란에 휘말리며 비판을 받았다.

서든어택2 속 여자 캐릭터의 의상과 죽은 후 모습 등을 일부 이용자가 캡처해 유포하면서 시작됐다. 여자캐릭터 ‘미야’의 가슴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담벼락에 걸쳐진 채 죽은 장면이 나온다.

또한 바닥에 엎드려 있는 자세가 선정적이어서 이용자들이 시체를 구경하러 다닌다는 말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또한 넥슨지티가 300억을 들여 개발한 것 치고는 너무 허술하다는 평이 줄을 잇고 있다. 서든어택2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후기를 올린 유저들은 전작보다 못하다는 불만이 폭주한다. ‘그래픽 대비 비대한 디스크 필요 용량’과 ‘전작에서 콘텐츠를 그냥 갖다 쓴 것 등’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가 많다.

넥슨이 오버워치나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성에 도전할 생각이 있다면 먼저 ‘서든어택’부터 넘어서야 한다는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유성현 편집부
다른기사 보기
ysh@asiatime.co.kr [저작권자ⓒ 아시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advertisement

advertisement

5월 수출 581억 달러, 전년비 11.7%↑…무역수지 41개월 만 최대치

[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한국의 5월 수출이 작년보다 11.7% 증가하면서 8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이 이어졌다. 1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며 41개월 만에 최대 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5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5월 수출액은 581억5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7% 증가했다. 5월 수출액은 2022년 7월(602억4000만 달러) 이후 22개월 만에 최대다. 월간 수출 증가율은 작년 10월 플러스 전환 이후 8개월 연속 같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5월 수출은 15대 주력 수출품 중 이차전지, 일반기계, 철강, 자동차 부품을 제외한 11개 품목의 수출이 고르게 증가했다. 인공지능(AI) 수요 급증 등 IT 전방 산업 수요 확대와 메모리 가격의 빠른 상승세에 힘입어 한국의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도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5월 반도체 수출액은 113억8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54.5% 증가했다. 이는 올해 3월(116억7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110억 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5월 반도체 수출 중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포함한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68억6000만 달러로 101.0% 증가했다. 비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45억2000만 달러로 작년보다 14.3%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작년보다 15.8% 증가한 16억3000만 달러로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5월 자동차 수출은 작년보다 4.8% 증가한 64억90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5월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일부 생산 시설이 신차 생산 시설 공사로 가동을 중지했지만 수출 단가가 높은 하이브리드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수출 확대로 전년 대비 수출 증가세가 지속된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올해 자동차 수출은 설 연휴가 있던 2월을 제외하고 매월 60억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중심의 수주 증가 추세 속에 5월 선박 수출은 작년 동월 대비 108.4% 증가해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 밖에 바이오·헬스(18.7%), 석유제품(8.4%), 석유화학(7.4%), 가전(7.0%), 섬유(1.6%) 등 수출도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양대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동반 증가한 가운데 중국이 다시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 됐다. 5월 대중국 수출은 7.6% 증가한 113억8000만 달러로 2022년 10월(122억 달러)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규모로 집계됐다. 전통적인 대중 수출 중간재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등 상품의 수출 증가가 대중 수출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도 15.6% 증가한 109억3000만 달러로 역대 5월 중 최고 수준이었다. 대미 수출에서는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 수출이 전기차를 포함해 호조세가 지속됐고 반도체, 컴퓨터 등도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였다. 세계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 작년부터 한국의 대미 수출이 강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월간 대미 수출은 작년 12월 20여년 만에 대중 수출을 앞질렀다. 이후 대미 수출이 대체로 대중 수출을 앞지르다가 중국이 5월 다시 한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복귀했다. 비록 최대 수출국이 중국으로 바뀌었지만 대미 수출도 여전히 10개월 연속 증가 중이다. 중국, 미국과 더불어 한국의 주력 수출 시장인 아세안 수출은 올해 처음 100억 달러를 넘어서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미국, 중국, 아세안 등 3대 주력 시장 외에도 중남미, 인도, 일본, 중동 등 지역으로의 수출도 고르게 증가했다. 한국의 5월 수입액은 531억9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0% 감소했다. 원유(6.7%), 가스(7.1%)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가격은 0.3% 증가했지만, 자동차·패션의류를 비롯한 소비재(-20.4%) 등 비에너지 수입이 감소하면서 전체 수입은 감소했다. 이로써 5월 무역수지는 49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12월(67억 달러) 이후 41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월간 무역수지는 작년 6월 이후 12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12개월 연속 흑자로 인한 누적 흑자 규모는 327억 달러에 달했다. 올해 1∼5월 누적 무역수지는 155억 달러 흑자로 무역적자가 심했던 작년 동기(275억 달러 적자)와 비교하면 약 430억 달러 개선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수출이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경제 성장을 최전선에서 견인하고 있고, 무역수지가 1년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수출이 연말까지 우상향 흐름을 지속해 역대 최대 실적 달성으로 이어지도록 가용한 역량을 집중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자 논란' 뉴센트럴 두산위브더제니스, 결국 준공승인 불허

점자 블록 위치 등 미흡…임시 사용승인 결정 수분양자, 입주 가능하나 재산권 행사는 못 해 임시 사용 기간 6월 30일까지…"빠른 조치할 것" [아시아타임즈=김미나 기자] 다수의 하자로 입주민들과 갈등이 격화되던 '뉴센트럴 두산위브더제니스'가 결국 준공 승인을 받지 못했다. 관할 지자체인 달서구청은 이 단지에 임시 사용승인을 결정했다. 1일 대구 달서구청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두산건설이 대구 달서구에 시공한 '뉴센트럴 두산위브더제니스'에 준공 승인을 불허하고 임시 사용승인을 결정했다. 준공 승인은 중대한 하자가 없어야 하며 소방, 시설 등을 담당하는 각 유관 부서에서 미흡한 부분이 없다는 것을 최종적으로 확인 한 후 결정된다. 이 단지는 유관 부서 중 한 곳인 장애인복지과에서 본 사용승인(준공 승인)은 힘들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유는 장애인 점자 블록 위치와 방화문 사이 간격 등의 미흡이다. 이에 주무 부서인 건축과는 시공사인 두산건설과 협의해 두산건설이 제안한 '임시 사용승인'으로 가닥을 잡고 저녁 8시경 최종적으로 준공 승인이 아닌 임시 사용승인으로 허가했다. 임시 사용승인 기간은 6월 30일까지다. 승인에 따라 수분양자들은 아파트 입주가 가능하다. 다만 준공 승인을 받기 전으로 건축물대장이나 등기는 만들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재산권 행사는 불가능하다. 달서구청 건축과 관계자는 "장애인 편의 시설 조치가 완료되면 달서구청 내 장애인복지과와 협의해 준공 승인 여부를 다시 한번 논의할 예정"이라며 "이달 30일 전에 조치가 완료된다면 준공 승인 처리는 바로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단지는 사전점검에서 약 2만7000건의 하자가 발생해 입주 예정자들이 안전상의 문제로 준공 승인 연기를 촉구한 바 있다. 사전점검이 진행된 4월부터 5월 말까지 달서구청에 접수된 하자 관련 민원은 약 3000건에 달한다. 입주 예정자들이 지적한 주요 하자는 △지하 주차장 균열·누수 △내부 벽체 기울음 △계단부 시공 미흡 △바닥 균열 등이었다. 심지어 일부 계단은 계단 바닥과 천장 사이 높이(천장고)가 법적 기준인 2.1m 이상을 충족하지 못해 준공 승인을 열흘 앞두고 보수 공사에 돌입하기도 했다. 입주민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난달 23일 하자 특별점검도 진행했다. 점검 결과 중대 하자는 없었으며 경미한 하자가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준공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전·월세 등의 임대차 계약에 제약이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임시 사용승인은 건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정도의 승인이지 아직 공사가 마무리된 단계가 아니라는 것"이라며 "수분양자들이 본인의 목적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행정관청에서 공사가 마무리 됐다는 '준공 승인' 등의 승인을 받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임대 거래를 할 수는 있으나 등기 등의 서류가 안 나오는 상황이니 사실상 준공승인 전까지는 손발이 묶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두산건설 관계자는 "달서구청에서 제시한 보완 사항에 대해 입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최대한 빨리 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단지는 지하 5층~최고 44층, 3개 동, 372가구 규모다. 이 중 오피스텔 동은 총 31층, 56실이며 아파트는 전용면적 84㎡(84A타입·84B타입) 단일평형으로 마련됐다.

"상반기 취업 막차 타자"…신입 채용 마감 앞둔 기업은?

S-OIL·두산에너빌리티, 채용 연계형 인턴십 모집 중 대한전선·이랜드건설 신입사원 채용…9일, 2일 각각 마감 [아시아타임즈=김정일 기자] 2024년 상반기가 한 달 만을 남겨둔 가운데 올해 취업을 계획했던 신입 구직들이라면 이달 초 마감되는 공고들을 눈 여겨 봐야 한다. 1일 HR테크 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이달 S-OIL, 두산에너빌리티, 대한전선, 이랜드건설 등 주요 기업들이 신입 채용 원서 접수 마감을 앞두고 있다. 먼저 S-OIL은 채용연계형 인턴십을 모집하고 있다. 모집 분야는 경영전략, 경영지원, 영업/마케팅, 재무, 수급(서울 근무)과 공정, 설비기술, 경영지원(울산 근무)이다. 4년제 대학 기졸업자와 2025년 2월 이내 졸업예정자라면 지원이 가능하다. 또 7월 29일부터 8월 23일까지 4주 인턴십 풀타임 근무와 2025년 1월 정규직 입사가 가능해야 한다. 접수 기간은 오는 6일 23시 59분까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채용 연계형 인턴십을 모집 중이다. 플랜트 엔지니어링, 서비스/복합 발전 엔지니어링, 원자력 기자재 설계, 원자력 계측제어 설계, 발전 기자재 설계 등 여러 분야에서 인턴을 모집 중이다. 모집 분야에 따라 분당과 창원, 동탄으로 근무 장소가 나뉜다. 4년제 대학교(이상) 졸업자 및 8월 또는 2025년 2월 졸업 예정자는 지원이 가능하다. 인턴십 근무는 8월 4주간 이뤄지며 11월 중 입사가 가능해야 지원할 수 있다. 모집 기간은 오는 10일 18시까지다. 대한전선은 2024년 상반기 신입사원을 채용 중이다. 모집 분야는 영업, R&D, 시공, 엔지니어링, 생산, 관리다. 근무지는 모집 분야에 따라 서울, 당진, 국내 및 해외 현장으로 나뉜다. 국내/해외 대학교 기졸업자 또는 2024년 8월 학사학위 취득 예정이면서 TOEIC Speaking 110점 이상 또는 OPIc IM1 이상 성적을 보유해야 지원이 가능하다. 오는 9일 24시까지 지원서를 접수해야 한다. 이랜드건설은 건축시공 신입사원을 모집하고 있다. 4년제 이상 건축 유관학과를 졸업하고 해외여행에 결격 사유가 없으면 지원 가능하다. 최종합격자는 3개월 수습 기간을 거친다. 서류 모집 마감일은 오는 2일 23시 59분까지다. 주요 기업들의 자세한 채용 공고는 인크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