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수들의 '인권 보장'?…"면회 온 배우자와 동침할 수 있어야" 주장

입력
수정2017.07.30. 오후 3:2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자메이카 정부가 수감 중인 죄수들의 배우자 면회와 더불어 동침까지 허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메트로 등 외신들에 따르면 로버트 몬타구 자메이카 국가 안보부 장관이 “죄수들에게도 배우자와의 동침을 허가해야 한다”며 “우리는 그들의 인권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이 같은 방안을 최근 제시했다.

로버트 장관은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은 개신교를 믿는다”며 “진정한 개신교인이 되려면 이런 쪽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메이카 국민 10명 중 6명은 개신교를 믿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권보장을 이유로 죄수들이 배우자와의 면회와 더불어 동침까지 허가해야 한다고 주장한 로버트 몬타구 자메이카 국가 안보부 장관. 영국 메트로 캡처.


로버트 장관의 발언이 나온 후 현지 사회에서는 ‘죄수들의 인권을 어디까지 보장할 것인가’를 놓고 반응이 엇갈린다.

한 네티즌은 “그들은 이미 먹고 잘 곳이 주어졌다”며 “배우자와 같이 밤을 보내게 한다면 교도소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물었다.

다른 네티즌은 “정부는 죄수들을 처벌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고 반응을 보였으며, 언제든 죄를 지을 준비가 됐다며 다소 격한 반응을 보인 댓글도 있었다.

반면 인권단체들은 자메이카 정부의 발언을 두 손 들어 반기고 있다.

언젠가 출소 후 사회로 돌아갈 죄수들에게 이번 정부의 제안으로 그들과 가족의 유대관계를 더욱 끈끈히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사회단체 관계자는 “가족이 기다리는 사회로 돌아간다면 재범률도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