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기씨 부검영장 발부에 유족 쪽 “반대”…긴장 고조

입력
수정2016.09.29. 오전 9:55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서울중앙지법, 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발부
“부검 장소와 방법에 관해 유족 의사 존중하라”
투쟁본부 한밤 기자회견 “강행시 막을 수밖에 없다”


진통 끝에 백남기 농민의 시신 부검 영장이 발부됐다. 하지만 ‘백남기 투쟁본부’는 “부검을 강행할 시 온 국민의 마음을 모아 있는 힘을 다해 막아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혀, 영장 강제집행을 둘러싸고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28일 법원이 백씨 시신 부검을 위한 압수수색검증영장을 발부하자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진상규명 책임자 및 살인정권 규탄 투쟁본부’는 밤 10시30분께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의 손에 돌아가신 고인의 시신에 다시 경찰의 손이 절대로 닿게 하고 싶지 않다는 유가족의 입장을 밝힌다”며 부검 반대 의사를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투쟁본부는 “사인이 명확한 만큼 (부검은) 필요하지도 않고 동의할 수도 없다”고 덧붙였다. 큰딸 백도라지씨는 “아버지를 돌아가시게 만든 사람들의 손에 아버지를 다시 닿게 하고 싶지 않다. 가족은 절대 부검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영장 발부가 결정된 뒤 투쟁본부가 곧장 입장을 내지 않고 2시간 넘게 회의를 이어가자 한때 ‘부검을 수용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주변엔 영장 발부 소식이 알려진 뒤 긴장감이 흐르는 모습이었다.

앞서 서울중앙지법은 이날 저녁 8시10분께 “부검을 실시하되, 객관성, 공정성, 투명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며 검찰이 이틀 전 재청구한 시신 부검을 위한 압수수색검증영장을 발부했다.

법원은 영장에 이례적으로 4가지 조건을 달았다. 법원은 유가족이 원하면 서울대병원에서 부검을 실시하고, 유족이 지명하는 의사 2명, 변호사 1명을 부검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신체훼손을 최소한으로 하고, 부검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해야 한다는 조건도 붙였다. 경찰 관계자는 “내일 유가족과 접촉해 (부검에 대한) 의견을 듣는 게 우선이다. 유족의 의견을 최대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법원은 백남기 농민이 사망한 당일인 25일 밤 청구된 부검 영장 중 진료기록 부분만 받아들이고 시신 부검에 대해선 “부검의 필요성과 정당성이 없다”며 한차례 기각했었다. 하지만 이튿날 검찰이 영장을 재청구하자 “부검이 필요한 이유를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라”며 이례적으로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한 바 있다. 이튿날 정오께 검찰이 추가 자료를 제출했고 8시간 정도 뒤 영장이 발부됐다.

백씨 유족과 시민단체들은 백씨의 사인이 물대포에 의한 외상이 명백하므로 부검이 필요 없다고 반발해왔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소속 의사들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속 변호사들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어 “부검을 통해 밝히려고 하는 것이 범죄 사실의 인과관계가 아니라, 피의자인 경찰의 면책 사유로 보인다”며 “부검을 해 어떤 결과가 나온다 하더라도 경찰의 물대포가 백남기 농민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살인죄의 혐의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허승 김지훈 기자 raison@hani.co.kr




▶ 발랄한 전복을 꿈꾸는 정치 놀이터 [정치BAR]
▶ 콕콕 짚어주는 [한겨레 카드뉴스] [사진으로 뉴스 따라잡기]
▶ 지금 여기 [오늘의 사설·칼럼] [한겨레 그림판] [스페셜 콘텐츠]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