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보다도 못한 군대급여 위헌" 주장 입영거부자 실형

입력
수정2017.09.17. 오전 6:43
기사원문
최평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징역 1년6개월…법원 "기본권 최소침해 원칙 위배 안돼"

입영 통지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최저임금보다 낮은 군대의 급여 시스템과 강제 징집제도가 위헌이라며 입대를 거부한 20대가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북부지법 형사항소1부(조휴옥 부장판사)는 병역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A(21)씨에 대한 항소심에서 A씨의 항소를 기각,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한 1심 판결을 유지했다고 17일 밝혔다.

재판부는 A씨가 신청한 위헌법률심판제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10월 서울지방병무청에서 현역입영통지서를 받고도 입영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지급하는 강제징집제도는 위헌"이라며 "입영거부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

1심 재판부는 "최저임금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바로 헌법 제32조 근로의 권리에 의해 보장된다고 보기 어렵다. 군인의 보수를 정하는 관계 법령이 청구인의 재산권을 침해했다고 볼 수 없다"며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

이에 A씨는 항소하고 "강제징집제도는 모병제라는 대안이 있음에도 정부가 이를 채택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무죄를 호소했다.

또 '정당한 사유 없이 입영하지 않으면 3년 이하 징역에 처한다'는 병역법 제88조가 헌법이 보장하는 행복추구권, 사상 및 양심의 자유, 근로의 권리를 침해한다며 위헌법률심판제청도 신청했다.

하지만 재판부는 A씨의 항소와 위헌법률심판제청 모두 기각했다.

재판부는 "우리나라의 특유한 안보 상황과 대체복무제 도입 때 발생할 병력자원 손실문제, 심사의 곤란성, 사회통합 문제 등을 고려할 때 대체복무제를 도입하지 않고 양심적 거부자 처벌 규정만 두고 있더라도 (기본권) 최소 침해 원칙에 반한다고 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이어 "종교·양심의 자유가 국민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방·병역 의무보다 더 우월한 가치라고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북부지법 [연합뉴스 자료사진]


pc@yna.co.kr

기자가 기다려요. 기사 문의 및 제보는 여기로(클릭!)

최신 유행 트렌드 총집결(클릭!)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